“오렌지 말고 어륀지” 수능 영어 30년 변천사 [변별력 덫에 갇힌 영어시험]

최민지 2024. 8. 7. 12:0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표 배부일인 지난해 12월 8일 오전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효원고등학교 3학년 교실에서 학생들이 대학 지원 참고표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영어는 사교육비 절감과 변별력 강화의 두 축을 오가며 난이도가 널뛰었다. 한때는 성문종합영어로 대표되는 암기식 학습이 대세일 정도로 어려운 기조가 유지됐다. 이후 수능-EBS 연계 정책이 도입되고 연계율이 70%로 상승하며 ‘물수능’이란 별명까지 얻었다. 2018학년도에는 사교육비 절감을 목표로 절대평가가 도입됐지만, 여전히 난이도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물→불→물…94년 이후 난이도 널뛴 수능 영어


객관식 위주의 수능이 도입된 1994년 이후 영어 시험 난이도 변화가 본격화 한 건 2000년도 들어서다. 정부 정책에 따라 교육방송(EBS) 연계 출제가 시작됐다. 초창기에는 수험생들이 체감하는 연계율이 낮은 편이었지만 2011학년도 대입부터는 사교육 절감을 이유로 ‘EBS 연계 70%’ 이상이 유지되면서 EBS 교재가 가장 중요한 수능 교재로 부상했다.
서울 교보문고 광화문점에 진열된 EBS 수능 연계 교재의 모습. 뉴스1

2012학년도에도 ‘쉬운 수능’ 기조가 이어지면서 영어시험에서 만점자 비중이 1%를 넘어서는 일이 생기기도 했다. 이 때문에 ‘물수능’이란 비판이 일자 교육부는 영어 만점자 비율을 조정하겠다고 밝혔다. 이후 2015학년도에는 만점자 비율이 3.37%로 다시 늘었다.

이처럼 수능 난이도가 온탕과 냉탕을 오가는 동안 영어 시험 체제를 바꾸려는 시도도 이어졌다. 이명박 정부는 2008년에 수능 영어와 취업에 쓰이는 토익(TOEIC)·토플(TOEFL) 등의 대안으로 NEAT(국가영어능력평가) 체제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이른바 이경숙 당시 인수위원장의 “미국 가니 오렌지가 아니라 ‘어륀지’로 말하니 알아듣더라”는 발언으로 대표되는 ‘영어 몰입교육’ 정책의 일환이었다. 당시 교육과학기술부는 NEAT 개발 후 수능 대체 여부를 검토하겠다고도 했지만, 사교육이 증가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면서 결국 무산됐다.

2008년 1월 30일 인수위 대회의실에서 영어 공교육 공청회가 이경숙 인수위원장이 참여한 가운데 열렸다. 중앙포토

2018학년도 절대평가 도입했지만…사교육은 여전


가장 큰 수술은 박근혜 정부에서 이뤄졌다. 2014년 박 전 대통령이 “사교육비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영어 사교육 부담을 경감해야 한다”고 지적한 이후 정부는 2018학년도부터 수능 영어를 상대평가에서 절대평가로 전환했다. 하지만 시험 때마다 난이도가 크게 달라 수험생 혼란이 이어졌다.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수능 영어 1등급 비율은 최소 4.7%에서 최대 12.7%로 3배 차이가 났다. 올해 6월 모의평가에서는 1%대까지 떨어졌다.
신재민 기자

영어 사교육 연령도 도입 취지와 반대로 점차 빨라지는 추세다. 전국 영어 유치원은 2019년 615곳에서 지난해 842곳으로 늘었다. 4년 만에 37%가량 증가했다. 반면 일반 유치원은 2019년 8837곳에서 지난해 8441곳으로 4.48% 줄었다.

최민지 기자 choi.minji3@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