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 떠난 빈 마을 지키는 군산 하제마을 팽나무 천연기념물 된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남 군산시 옥서면 남쪽 끝자락의 하제마을은 원래 섬이었으나 1900년대 초부터 간척사업을 통해 육지화되고 군사시설이 들어서며 주민들은 떠나고 팽나무만이 빈 마을을 지키고 있다.
국가유산청은 이 '군산 하제마을 팽나무'(사진)와 함께 '부여 석성동헌 탱자나무' 등 두 노거수를 국가지정자연유산 천연기념물로 각각 지정 예고했다고 7일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남 군산시 옥서면 남쪽 끝자락의 하제마을은 원래 섬이었으나 1900년대 초부터 간척사업을 통해 육지화되고 군사시설이 들어서며 주민들은 떠나고 팽나무만이 빈 마을을 지키고 있다. 국가유산청은 이 ‘군산 하제마을 팽나무’(사진)와 함께 ‘부여 석성동헌 탱자나무’ 등 두 노거수를 국가지정자연유산 천연기념물로 각각 지정 예고했다고 7일 밝혔다.
하제마을 팽나무는 2020년 537(±50)살로 측정돼 팽나무 중 가장 나이가 많은 것으로 추정된다.
‘부여 석성동헌 탱자나무’는 과거 부여 석성현에 소재했던 관아의 일부인 ‘석성동헌’(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의 내삼문 오른쪽에 자리한다. 조선시대 지방 관아건물에 유일하게 남아있는 탱자나무 노거수이다. 나무높이 4.8m, 나무너비 6.8m로 탱자나무로는 매우 큰 규모를 자랑한다.
조선시대 홍만선의 ‘산림경제’에 따르면 유배된 죄인이 거처하는 집 주변에 가시나무로 울타리를 치고 그 안에 죄인을 가두는 형벌인 위리안치(圍籬安置)의 가시나무로 탱자나무가 쓰였다. 석성동헌 탱자나무가 죄인을 가두고 형벌을 주던 관아의 동북쪽에 심겨 있는 것으로 보아 상징적인 의미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손영옥 미술전문기자 yosohn@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포장 안 뜯음”…선수단에 준 Z플립6, 중고사이트 떴다
- 김건희 여사, 휴가중 부산 깜짝방문…깡통시장서 ‘셀카’
- “함소원이 때렸다” 피 사진 올린 진화…“8년간 힘들어”
- 中·日선수와 미소 ‘찰칵’…北 5번째 메달 안긴 리세웅
- 고교 시절 교사 찾아가 흉기질… 20대 13년 징역형
- “매일 10%씩 널뛰기”… 비트코인 뺨치는 日증시 변동성
- 中, 아기보다 반려동물 많아진다… “2030년 2배 육박” 전망도
- ‘강진 피해’ 초5 日소녀, 파리 런웨이 서는 사연
- 안세영 “한국서 다 얘기하겠다”…감독 ‘쌩’-협회장 ‘런’
- “매일같이 싸우는 소리”… 70대 아버지 살해한 아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