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주째 오른 서울 아파트 전셋값…“임대차2법 때문” vs “공급난 영향”
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62주 연속 상승(한국부동산원 주간 조사)하는 가운데, 전셋값(전·월세 임대료)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임대차 2법(계약갱신청구권·전월세상한제)’이 지목된다. 이달 말이면 2020년 8월부터 시행된 ‘임대차 2법’ 시행 4년을 맞는데, 한 차례 계약갱신청구권을 사용한 물량이 시장에 대거 풀리면서 전셋값 상승을 부채질한다는 것이다.
6일 국토교통부가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연희 의원에게 제출한 전·월세 계약 신고자료를 분석한 결과, 2년 전인 2022년 하반기 계약갱신청구권을 사용한 서울 전·월세 계약은 2만3003건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현재 4년(2+2년) 만료 계약이 꾸준히 도래하고 있는데, 그동안 전셋값을 5% 이상 올리지 못한 일부 집주인들 사이에서 신규 계약을 통해 이를 한꺼번에 올리려는 시도가 나타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여러 채널을 통해 ‘임대차 2법’ 폐지를 추진하겠다고 밝힌 상태다.
하지만 ‘임대차 2법’은 최근 전셋값 상승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다는 반론도 많다. 전·월세 계약이 특정 시점에 몰려 있지 않고 분산된 데다, 계약갱신청구권 소진 물량이 앞으로 줄어드는 추세라 향후 시장에 미치는 영향도 크지 않을 것이란 주장이다.
실제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전·월세 갱신계약 가운데 갱신권 사용 비중은 2022년 8월까지 60%대를 유지하다가 전셋값이 하락하며 2022년 12월 30%대로 떨어졌다. 이 비중은 올해 2월 27.3%까지 내려왔다. 갱신권 사용 물량 역시 2022년 3분기 1만3802건, 4분기 9201건, 지난해 1분기 6100건, 2분기 5881건, 3분기 4905건 등으로 점차 줄어드는 추세를 보인다.
최근 전셋값 상승 원인은 ‘임대차 2법’보다는 주택공급 부족 우려, 전세 사기에 따른 빌라·오피스텔 등 비(非)아파트 기피 현상 등의 영향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제도 시행 4년 차인 임대차 2법이 전·월세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에는 오래된 이슈가 됐다”고 설명했다.
정부의 의지대로 제도를 폐지하기도 쉽지 않다. 지난 정부에서 ‘임대차 2법’을 도입한 야당은 오히려 임차인 보호 강화를 주장하는 상황이다.
지난해 말 국토연구원이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국민 54.1%가 현행 계약갱신요구권 유지에 찬성 입장을 나타내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임대차 2법의 완전 폐지보다는 보완책 마련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서진형 광운대 부동산법무학과 교수(한국부동산경영학회장)는 “계약갱신청구권 기간을 ‘2+1년’으로 변경하거나 일정 금액 이하 주택에만 적용하는 등의 보완책을 검토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김원 기자 kim.won@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절친과 딴살림 차린 아내…그에겐 "고통이자 매력"이었다 | 중앙일보
- 오은영 만난 '1200억대 수퍼리치'…이 남자 사기 혐의로 기소 | 중앙일보
- 티메프 쇼크가 다 까발렸다, '10% 할인쿠폰' 몰랐던 진실 | 중앙일보
- 보다 못한 김연경이 돈 냈다…다시 떠오른 '금메달 김치찌개' 사건 | 중앙일보
- "홍명보로 애들 잡히겠어?" 말 돈다…이천수, 축구협회 또 저격 | 중앙일보
- 안산, 임시현 금메달 축하했다가…"낄끼빠빠 좀" 악플 세례 | 중앙일보
- 여비서관 컵라면 내오자 "이 일 하고 싶나"…김동연 호통 논란 | 중앙일보
- 노출 심한 옷 입고 무단이탈…결국 선수촌서 퇴출된 미녀 선수 | 중앙일보
- '3관왕' 임시현 얼굴 활 자국에 "시술 생각 없어요?" 인터뷰 질문 논란 | 중앙일보
- 모두 메달 들었는데, 오상욱·도경동만 빈손…금메달은 어디에?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