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HBM2 양산 초읽기...AI 반도체 자급자족 성공시 韓 영향은
중국 대표 메모리 반도체 업체 창신메모리테크놀로지(CXMT)가 2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 생산에 돌입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당초 예상 시점보다 1년 이상 양산을 앞당긴 것으로 최근 미국이 대(對) 중국 수출규제 카드에 HBM을 추가하자 중국도 인공지능(AI) 자급 속도를 끌어올리는 모양새다.
대만 디지타임스는 2일(현지시간) CXMT가 HBM2 생산 단계에 사실상 진입했다고 전했다. 구체적인 생산량·수율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당초 일정인 2026년보다 앞당겨 양산을 시작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HBM2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표준화를 주도하고 2016년부터 상업 생산에 성공한 제품이다. 올해 양사는 5세대 HBM3E를 세계 최초로 개발하고 양산 중이며 6세대인 HBM4도 개발 중이다.
중국이 연내 HBM2 시험 생산에 성공한다면 한국과 중국의 HBM 기술 격차는 최대 10년 수준에서 약 8년 안팎까지 좁혀진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CXMT가 최근 베이징과 허페이에 대규모 반도체 공장을 증설하고 HBM 생산을 위한 장비 반입을 시작했다”면서 “이를 위한 반도체 장비 수출허가까지 진행 중”이라 말했다.
중국의 HBM 자체 생산은 중국 AI 독립을 위한 ‘마지막 퍼즐’로 꼽힌다. 화웨이가 설계하고 중국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1위 SMIC가 제조하는 AI 반도체 ‘어센드’는 엔비디아의 중국 수출용 칩 H20의 대항마로 꼽힐 만큼 중국의 추격 속도는 빠르다. HBM 양산에 성공하면 화웨이의 주력 AI 반도체인 어센드910B에 CXMT가 생산한 HBM2가 탑재될 가능성이 크다. 중국으로선 자국에서 만든 AI 가속기와 AI 메모리를 확보함으로써 산업 전반에 AI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한 9부 능선을 넘은 셈이다. 중국은 HBM 독립을 위해 CXMT에 막대한 공적 자금을 투입한 것으로 보인다.
중국 HBM 자급하면 韓 타격 불가피
2·3세대 구형 HBM도 여전히 AI 서버에 쓰이고 있어 시장 내 비중이 작지 않다. 지난해 전체 HBM 시장에서 3세대(HBM2E) 이하 구형 제품 점유율은 30%를 차지했다. 이미 시장에서 널리 쓰이고 있는 엔비디아의 A100·A800이나 AMD MI200, 구글·아마존 등이 자체 개발한 AI 칩에도 아직 HBM2E가 쓰인다. 데이터센터에서 쓰이는 수준의 HBM을 중국이 양산할 수만 있다면 중국이 자체 AI 모델을 확산하는 데 무리가 없다는 뜻이다.
결국 장기적으로 중국 시장에서 국내 반도체 기업의 영향력이 꺾일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대중 제재로 중국 시장에 직접 HBM을 팔 수 있는 기회를 잃고 엔비디아 등을 통해 제한적으로 공급해야 하는 상황에서 중국의 HBM 자급 움직임은 또 다른 악재”라 말했다.
수율 낮아도 일단 국산화 달릴 듯
인 대표는 “반도체 식각장비의 60%와 유기금속화학증착장비(MOCVD)에 사용되는 부품의 80%를 중국 내부에서 조달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식각 공정은 반도체 회로 패턴 가운데 필요한 부분만 남기고 불필요한 부분은 깎아내는 핵심 공정으로, 전체 수율과 직결된다. 국내 반도체 업계에서도 관련 장비 상당 부분을 미국·일본 업체에 의존하고 있다.
이희권 기자 lee.heekwon@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저 말 들어야 해?" 윤 터졌다…'형' 부르던 박범계의 훈시 | 중앙일보
- '한예종 전도연' 임지연, 술집 마담됐다…내연남 애인한텐 "언니!" | 중앙일보
- 새벽 4시 목격한 끔찍 장면…내 아내는 우울증입니다 | 중앙일보
- 황정음, 김종규와 14일만에 결별…"좋은 지인 관계로 남기로" | 중앙일보
- 모두 메달 들었는데, 오상욱·도경동만 빈손…금메달은 어디에? | 중앙일보
- "관중석서 강제 입맞춤"…딸 금 딴 날, 아빠는 성추문 먹칠 | 중앙일보
- 임애지, 한국 여자복싱 첫 메달에도 "동메달 따기 싫었어요" | 중앙일보
- 신유빈 품격에 일본도 반했다…"실력·예의 다 갖췄다" 찬사 | 중앙일보
- "당장 삼성폰 사겠다" 분노한 태국…결국 사과한 애플, 무슨일 | 중앙일보
- '대흥사 벚꽃길' 내년부터 못 본다…'땅끝마을' 해남에 무슨 일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