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자가게 카운터 앉은 93세 할머니의 건강 비결

이진순 2024. 8. 5. 17:2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리뷰] EBS 다큐프라임 <내 마지막 집은 어디인가> 3부 '죽는 것보다 늙는 게 두려운'

[이진순 기자]

미국 의사이자 <타임>지가 선정한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사상가 100인' 중 1인이기도 한 아툴 가완디의 <어떻게 죽을 것인가>를 예전에 읽었다. 

저자는 "현대화가 되면서 노인들에 대한 존중은 없어졌을지 모르지만, 그것이 젊음에 대한 존중이 아니라 독립적인 자아에 대한 존중으로 대체됐다"고 언급했다. 그리고, 우리가 지향하는 삶의 목표가 독립이라면, 독립을 더 이상 유지할 수 없게 되었을 때 어떻게 해야 할지를 묻는다. 아마도 이 책은 이 질문을 풀어가는 긴 과정일지도 모르겠다.

이 책에는 미국 오리건주의 '어시스티드 리빙'(Assisted Living, 노인을 위한 생활지원 주택) 이야기가 나오는데, 지난 5월 EBS 다큐프라임 <내 마지막 집은 어디인가> 3부 '죽는 것보다 늙는 게 두려운'에서도 이를 다뤘다.
 
 방송 갈무리
ⓒ EBS
 
요양원 아닌 '내 집'

'어시스티드 리빙'은 단독·아파트 형태로 100~200세대 마을을 이루는 곳을 말한다. 요양원이 '병원' 개념이라면 이곳은 '집'의 개념이다. 노인들이 누군가에 의존해야 하는 시기가 와도 삶의 방식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공간이자, 주민들이 이곳을 '집'이라고 느낄 수 있게 하려는 노력으로 만들어진 공간이다. 

80년대에 문을 열자마자 입주 인원이 꽉 찼는데, 이곳 노인들은 1인실인 자신의 방에서 드라마를 보며 각자의 습관과 취향에 맞는 일상을 보낸다. 직원들은 이들에게 어떤 도움이 필요한지 세심하게 묻고 살핀다.

오리건주의 '어시스티드 리빙'은 초기에 노인들에게 자유를 허용하는 게 너무 위험하다는 지적을 많이 받았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이곳에 머무는 주민들의 건강이 좋아지고 이들의 만족도가 높다고 드러났다. 

창립자 케런은 이 시설에 사셨던 분이 처음 돌아가셨을 때 신문에 났던 부고를 떠올리며 말했다. 그는 "집에서 돌아가셨다는 부고가 나왔을 때, 감동적이었다"고 전한다. 이곳에서 사는 사람들은 당연하듯 "(어시스티드 리빙이) 저의 집이에요"라고 말한다.

케런은 "나이 든 분들이 스스로 표현하기를 겁내지 않기를 바란다. 우리도 나이 든 분들의 말을 주의 깊게 듣고 이들이 자율적인 인간이라는 점을 기억하며, 존중해야 한다"면서 "가족 구성원, 전문적인 간병인, 인간적인 사회가 이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내가 나답게 머무는 요양원 
 
 방송 갈무리
ⓒ EBS
다큐멘터리에 나오는 일본의 요양원에서는 식사 시간이 2시간이다. 노인 각자의 몸 상태에 따라 먹는 음식도 다르다. 가능한 자신의 속도대로 스스로 식사하고, 또 천천히 약을 챙겨 먹는다. 사실 '느리다'는 건 외부의 기준을 세우고, 상대적으로만 비교할 수 있는 평가 기준이다. 하지만 이 요양원에서 노인들의 속도는 '느린 것'이 아니라 '나다운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그리고 필요할 때만 주위의 도움을 받는다. 본인이 삶의 중심이 되어야 자유롭게 생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요양원 소장은 돌봄이 지나치면 결국 노인들의 자유를 빼앗는 것이라 생각한다. 그렇기에 치매 노인들이 집에 간다고 시설을 나서도, 제지하는 대신 배웅 인사를 하며 그 뒤를 따라간다. 적절한 때 말을 걸으며, 노인들이 시설로 자연스럽게 돌아올 수 있도록 대화한다.

요양원에서 운영하는 과자가게에는 93세의 최고령자 할머니가 계산대에 앉아 있다. 할머니는 6년 반 동안 이곳에서 살고 있다. 그는 "여러 사람들이 잘 챙겨줘서 말도 잘할 수 있다"며 자기소개를 한다. 과자가게 손님 중에는 할머니의 손자도 있다. 할머니는 "혼자 화장실에 갈 수 있어 행복하다. 건강이 나빠지지 않으려고 열심히 걷는다"면서 "내년부터는 수영장을 다닐 계획"이라고 말한다.
  
인간적인 삶의 마지막 과정에는 '느린 노인', '치매에 걸린 노인'이라는 평가나 진단보다 개개인의 속도와 욕구를 인정하고 함부로 고치려 하거나 침범하지 않는 인간적 시선이 필요하다. 일본의 요양원은 그랬다. 도움이 필요할 때는 숙련된 이들이 조심스레 손을 내밀었다. 나이나 질병에 상관없이 우리는 근본적으로 같은 인간이라는 연대 의식, 그리고 필요할 때 기꺼이 손을 내미는 연민이었다.

늙음에 대한 우리 사회의 과도한 혐오와 공포는 인간적 연대와 연민, 돌봄이 부재한 현실을 반영하는 현상인 듯하다. 다큐멘터리 앞부분에는 한 모녀가 등장해 죽음에 대해 이야기 나눈다.

엄마는 "어떻게 죽을까, 많이 생각해. 앞으로 사는 게 너무 갑갑해. 너무 오래 살아"라고 딸에게 털어놓는다. 돌봄이 없는 장수는 재앙일 수밖에 없기에, 길어진 수명을 탓하는 어쩌면 마음에 없는 말로 대화를 마무리한다.

EBS 다큐프라임 <내 마지막 집은 어디인가> 3부작은 고령화 속도 세계 1위를 자랑하는 우리 사회가 물어야 할 질문들을 깊게 다룬다. 우리가 죽음을 이야기하는 이유는, 마지막 순간까지 '좋은 삶'을 살고 싶은 우리 모두의 근본적인 바람 때문이지 않을까. 이를 실현하기 위해 반드시 물어야 할 질문들이 있다. 이를 끈기 있게 깊이 있게 다루는 작품들이 꾸준히 나오기를 기대하고 응원한다.

덧붙이는 글 | 브런치에도 올릴 예정입니다.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