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한번 깜박거릴 때마다 장관이 펼쳐진 곳
[윤성효 기자]
▲ 몽골 무릉에서 홉스골 호수 가는 도로에서 만난 야크 무리 |
ⓒ 윤성효 |
▲ 몽골 무릉에서 홉스골 호수 가는 도로 옆 대초원 |
ⓒ 윤성효 |
비행기에서 내려 이동하는 버스 안에서 누군가 "와, 멋있다"라는 말을 했다. '저 말은 너무 단순해'라는 생각을 할 즈음 들린 말은 "저기 봐라, 너무 멋있다"였다.
고개를 돌리는 순간마다, 눈을 한번 깜박거릴 때마다 아름다운 풍광이 펼쳐졌다. 지난 칠월 말에 다녀온 몽골이 그랬다(관련기사: [사진] 누가 이렇게 광활한 정원을 꾸며 놓았는가 https://omn.kr/29mjt).
그들은 차량이 달려오든 말든 느릿느릿 지나갔다
도보 여행을 좋아하는 환갑 전후 나이대의 열 명이 모여 울란바토르로 가는 비행기에 몸을 실었다.
칭기즈칸 공항에 내려 버스를 타고 시내로 이동했다. 공항을 벗어나자 대초원이 펼쳐졌다. 말과 양, 야크, 염소들이 그 땅의 주인이었다. 간혹 유목민의 집인 '게르'가 보여 사람도 살고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공항과 울란바토르 사이에 난 고속도로를 탔다. 그런데 명색이 고속도로인데 지나는 차량은 풀을 뜯고 있는 가축, 아니 게르의 숫자보다 적었다. 고속도로를 지나는 동안 너무나 뜸하게 차량이 지나갔지만, 울란바토로 시내 분위기는 영 딴판이었다.
시내에 들어서자 차들이 도로를 가득 메우고 있었다. 전체 국민 350여만 명인 몽골에서 거의 대부분 인구가 사는 도시답게 시내는 매우 혼잡했다. 우리 일행과 함께 한 안내자는 "출퇴근 시간 없이 하루 종일 교통체증"이라고 했다.
주몽골 한국대사관 옆에 있는 숙소까지 가는 데 한참 걸렸다. 가는 도중에 도로 한복판에서 사람이 수신호를 하는 광경도 봤다.
둘째 날 아침 일찍 숙소를 나서 칭기즈칸 공항으로 향했다. 아침 출근 시간이라서 그런지 여전히 도로에는 차들로 가득 차 있었다. 도심을 지나 버스 창문 바깥으로 펼쳐진 대초원을 보며 위안을 삼았다.
칭기즈칸 공항에서 국내선을 타고 무릉으로 한 시간 정도 날아갔다. 몽골 북부로 러시아 국경 근처에 있는 홉스골 호수(Khuvsgul Lake)에 가기 위해서다.
무릉 시내에서 아침을 먹으러 예약한 식당에 도착해 보니 바깥 풍광에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건물 2층 식당 바로 앞에 광활한 초원이 펼쳐져 있고 말들이 그곳에서 '아침 식사'를 하고 있었다. 아름다운 풍광을 보며 먹는 식사는 '꿀맛'이었다.
버스를 타고 무릉에서 홉스골 호수로 가는 동안 펼쳐지는 바깥 풍광은 한시도 눈을 뗄 수 없게 만들었다. 대초원이 끝없이 펼쳐져 있었고, 야크와 말, 염소, 양의 무리가 풀을 뜯는 광경이 심심치 않게 나타났다.
간혹 야크를 비롯한 가축들은 아스팔트 도로도 자기들 땅인 양 버티고 서 있기도 했다. 그들은 차가 달려오든 말든 느릿느릿 지나갔다. 차는 그들이 다 지나갈 때까지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
포장도로가 끝나고 울퉁불퉁 파인 비포장 길을 지나는 게 고역이었다. 무릉에서 홉스골까지 차로 3시간 정도 거리인데 절반 가량이 비포장 길이었다.
▲ 몽골 대초원(항공기에서 촬영). |
ⓒ 윤성효 |
▲ 몽골 대초원(항공기에서 촬영). |
ⓒ 윤성효 |
홉스골의 일출도 장관
넓은 홉스골 호수를 보며 사흘 밤을 지냈다. 원래 계획은 이틀 밤만 잘 생각이었는데, 무릉에서 울란바토르로 가는 국내선 비행기를 예약했는데 그날 승객이 적어 결항이라는 연락을 받고 숙소를 옮겨 하루 더 지낸 것이다.
홉스골 호수는 '몽골의 푸른 진주'라고 불리는 몽골에서 가장 큰 담수호다. 너비 136km에 이르는 넓은 호수로, 우리나라 제주도 면적의 1.9배나 된다고 한다. 세계 담수 총량의 1%를 차지하는 호수라고 한다. 이 정도면 호수라기보다 바다라고 해야 할 것 같았다.
호수가 바로 보이는 곳에 숙소를 잡았다. 여러 개의 게르를 숙소로 두고 운영하고 있었는데, 입구에 붙은 이름은 '리조트'였다. 이틀 동안 이 숙소를 사이에 두고 하루씩 양옆으로 호수를 따라 한참을 걷다가 돌아왔다.
호숫가까지 풀밭이었고 군데군데 소·말·양들이 배설물로 흔적 표시를 해놓았기에 함부로 발을 뗄 수 없어 늘 경계하면서 걸어야 했다. 그 땅 주인인 가축의 허락도 없이 침범한 우리들이기에 그 정도의 수고는 참아야 했다.
어둠은 늦게 찾아왔다. 현지 시각으로 오후 10시(한국보다 1시간 늦음) 정도 되어야 이제 밤이구나 했다. 별 보기는 자정을 넘어야 했다. 머무는 동안 하루는 구름이 드리워져 별을 많이 볼 수 없었다.
유람선을 타고 호수 안에 있는 섬으로 갔다. 그 섬의 이름은 '소원의 섬'. 이 섬에서 소원을 빌면 꼭 이루어진다고 했다. 그래서 그런지 두 소늘 잡고 사랑이 영원하기를 바라는 듯한 연인들이 많이 보였다.
홉스골 호숫가에서 지낸 셋째 날에는 숙소를 다른 게르로 옮기고 등산을 했다. 산 정상에 오르기까지 계속해서 펼쳐지는 초원에다 온갖 야생화 그리고 오를수록 더 넓게 보이는 호수가 장관이었다.
산 정상까지 말들이 풀을 뜯고 있었다. 주인은 보이지 않는데 말 무리는 사람들이 다가가도 아랑곳하지 않고 자기 배 채우기에 열심이었다. 자연의 아름다움과 여유로움을 만끽한 시간이었다.
▲ 홉스골 호수의 일출 |
ⓒ 윤성효 |
▲ 홉스골 호수 |
ⓒ 윤성효 |
"나라 이름을 '대한몽골'로 바꾸어야 할 것 같다"
홉스골 호숫가에서 사흘을 보낸 일행은 다시 왔던 길을 되돌아왔다. 한참 동안 비포장 길을 달리다 아스팔트 도로가 눈앞에 들어왔을 때 '이제 살았구나' 하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무릉에서 다시 비행기를 타고 칭기즈칸 공항으로 돌아왔다. 날씨가 맑아 비행기 창문 바깥으로 펼쳐지는 광활한 대초원을 볼 수 있었다.
공항에서 다시 버스를 타고 테를지 국립공원으로 향했다. 테를지 국립공원은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돼 있다. 관광객들은 주로 '거북바위'를 찾거나 열트산(열드산, 해발 1900m) 능선을 걸었다.
열트산에는 푸른 초원 속 각양각색의 기암괴석들이 열병하듯 줄지어 서있고, 온갖 야생화가 끝없이 피어나 있었다. 열트산 전체가 광활한 정원 같았다.
게르로 된 숙소에서 이틀 밤을 지냈다. 어둠이 짙어지면서 게르 앞 의자에 앉아 하늘에 박혀 있는 별들을 감상하며 시간 가는 줄 몰랐다. 아침에는 말이 게르 앞까지 와서 풀을 뜯는데 신기했다.
몽골을 떠나기 하루 전날 울란바토르로 가는 길에 칭기즈칸 동상을 찾았다. 거대한 기마상 위의 칭기즈칸(1162~1227년)은 지금도 세상을 호령하는 듯한 기상을 보여주었다.
도로를 가득 메운 차들 사이를 뚫고 울란바토르 시내에 겨우 들어온 일행은 국립박물관 관람에 이어 몽골 독립 영웅 수흐바타르(1893~1923년)의 이름이 붙은 광장을 둘러봤다.
가는 곳마다 한국인 관광객이 많았다. 선물을 사려고 들렀던 백화점에도 마찬가지였다. 누군가 말했다. "나라 이름을 '대한 몽골'로 바꾸어야 할 것 같다"라고.
▲ 몽골 기행 |
ⓒ 윤성효 |
▲ 몽골 무릉의 일부 지역 |
ⓒ 윤성효 |
▲ 몽골 홉스골 호수의 야크 무리 |
ⓒ 윤성효 |
▲ 몽골 무릉에서 홉스골 호수 가는 도로 옆 대초원의 염소 무리와 파란 하늘 |
ⓒ 윤성효 |
▲ 홉스골 호수 내 소원의 섬에서 바라본 호수 |
ⓒ 윤성효 |
▲ 홉스골 호수 인근 산 |
ⓒ 윤성효 |
▲ 홉스골 호수 인근 산 |
ⓒ 윤성효 |
▲ 홉스골 호수와 주변 산 |
ⓒ 윤성효 |
▲ 홉스골 호수 |
ⓒ 윤성효 |
▲ 홉스골 호수 |
ⓒ 윤성효 |
▲ 몽골 대초원 |
ⓒ 윤성효 |
▲ 테를지 국립공원 내 열트산. |
ⓒ 윤성효 |
▲ 테를지 국립공원 내 열트산. |
ⓒ 윤성효 |
▲ 징기스칸 동상에서 내려다 본 대초원. |
ⓒ 윤성효 |
▲ 징기스칸 동상 옆 초원의 낙타 |
ⓒ 윤성효 |
▲ 징기스칸 동상 |
ⓒ 윤성효 |
▲ 징기스칸 동상 |
ⓒ 윤성효 |
▲ 징기스칸 동상 |
ⓒ 윤성효 |
▲ 몽골 수흐바타르 동상 |
ⓒ 윤성효 |
▲ 몽골 수흐바타르 동상 |
ⓒ 윤성효 |
▲ 수흐바타르 광장 |
ⓒ 윤성효 |
▲ 몽골 무릉에서 홉스골 호수 가는 도로 옆 대초원의 염소 무리와 파란 하늘 |
ⓒ 윤성효 |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지옥서 탈출한 한준호·민형배... 김민석은 '수석 최고' 성큼
- "선생님, 왜 학교 계세요? 사교육 가면 대박인데"
- 파리 유학파 기자의 몰락... 이런 거짓말까지 퍼트렸다
- 이상하게 들리겠지만 과학책으로 육아합니다
- 화려한 라인업... 없는 것 빼고는 다 있는 미술관
- 81%가 '내 삶 만족한다'... 한국은 이럴 수 없을까
- 사방이 대포와 총알... 동학군, 장렬한 최후 전투
- 폭염엔 제발 밭일 쉬세요... 온열 사망 이어져
- '사상 최악 폭염' 2018년 이후 첫 '40도'... 열흘은 더 폭염
- 광주 간 김두관 "대선주자, 임종석·박용진 함께 키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