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가 없앤 '귀한 몸' 강원 고성서 뛰논다…"여기 있소, 칡소"
━
줄무늬 호랑이와도 비슷 '호반우'로도 불려
강원도 고성군에 가면 많은 농가에서 검은색 줄무늬가 있는 토종 한우를 볼 수 있다. 이 소는 온몸에 칡넝쿨을 칭칭 감아놓은 것처럼 보여 ‘칡소’로 불린다. 줄무늬가 호랑이와도 비슷해 ‘호반우(虎斑牛)’라는 이름도 갖고 있다.
최근 고성군이 칡소로 주목받고 있다. 사육 두수도 500마리를 돌파했다. 지난달 9일 토성면 용촌1리 축산농가에서 500번째 칡소가 태어났다. 35㎏으로 태어난 이 칡소는 암송아지다. 현재 우리나라 전체 칡소 사육두수는 2400마리에 그친다. 우리나라 전체 칡소의 20% 이상이 고성군에서 사육되는 것이다.
10년째 칡소를 키워 온 박상준(49)씨는 “처음에 4마리를 분양받아 키우기 시작한 칡소가 이제는 43마리가 됐다”며 “칡소의 우수한 품질을 알리기 위해 앞으로 칡소 사육 두수를 꾸준히 늘려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의 목표는 1000마리 이상의 칡소를 사육하는 것이다.
현재 2314㎡(약 700평) 규모의 축사에서 일반 한우와 칡소 등 총 150마리의 소를 키우는 그는 인근에 561㎡(170평) 규모의 축사를 추가로 짓고 있다.
박씨처럼 칡소에 대한 자부심을 가진 농민이 늘어나면서 현재 고성군은 전국에서 가장 많은 칡소를 키우는 지역이 됐다. 고성군에 따르면 2021년 말 기준 28개 농가(286마리)의 칡소를 사육했었다. 하지만 고성군이 본격적으로 칡소 브랜드 육성사업을 시작하고 ‘고성 칡소 보호ㆍ육성에 관한 조례’까지 제정하자 사육 두수가 꾸준히 늘기 시작했다. 3년 만에 사육두수가 200마리 이상 늘어날 정도다.
━
3년 만에 200마리 이상 늘어
함명준 고성군수는 “고성 칡소 브랜드 활성화ㆍ차별화를 통해 명품브랜드 선점과 경쟁력 확보, 무궁무진한 칡소 산업 잠재력을 극대화하겠다”며 “칡소의 고장 이미지 제고에 나서는 등 전략적인 비전 설정으로 농가 자생력 향상에 도움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고성군이 칡소 브랜드화에 나선 건 칡소가 질병에 강한 데다 육질이 부드럽고 담백해서다. 조선 시대엔 임금 수라상에도 자주 올랐다고 한다.
하지만 일제 강점기를 거치며 우수한 품종의 칡소는 한때 자취를 감췄다. 일제는 1938년 한우 심사표준을 만들어 “조선 한우의 모(毛ㆍ털)색을 적색으로 한다”고 규정했다. 털 색깔을 통일하면서 다른 색깔의 품종은 도태시켰다. 일제 강점기에 발간된 권업모범장 축산연구사업 보고서에 따르면 1910년 당시 한우의 약 80%가 지금 흔하게 볼 수 있는 황색의 한우이며 흑우ㆍ칡소 등 다양한 품종이 존재했다고 기록돼 있다.
━
2026년까지 사육 규모 900마리 늘릴 계획
일제 강점기 이전엔 검은색의 흑우(黑牛), 흰색의 백우(白牛), 검푸른 색의 청우(靑牛) 등 다양한 소가 존재했다는 얘기다. 당시 한우의 우수성을 간파한 일본의 육종 학자들은 조선의 칡소ㆍ흑우를 일본으로 가져가 일본 소와 교잡해 품종 개량에 이용하기도 했다. 참고로 일제는 1910년~1945년 사이 150만 마리 이상의 한우를 한반도에서 반출해갔다.
우수한 품질에도 현재 칡소 사육 농가가 많지 않은 건 한우 대비 낮은 경제성 때문이다. 칡소와 한우의 대표적인 차이는 사육 기간과 가격, 등급율이다. 한우의 경우 사육시간이 평균 30개월인데 칡소는 33개월로 3개월이 더 길다. 가격은 한우가 도축 전 700~800㎏ 기준 900만~1000만원인데, 칡소는 600만~700만원 수준이다. 등급율도 한우는 1+ 등급 이상 출하량이 70%인데 칡소는 20%에 불과하다.
고성군은 연말까지 사육두수를 550마리 이상으로 늘리는 게 목표다. 이어 2025년 730마리, 2026년엔 900마리까지 사육 규모를 확대할 계획이다. 사육두수를 늘리는 동시에, 칡소의 우수성에 대해서도 꾸준히 알려간다는 계획이다.
고성=박진호 기자 park.jinho@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킬러 로봇? 더 큰 위협 있다”…‘카이스트 천재’ 윤송이 경고 | 중앙일보
- "관중석서 강제 입맞춤"…딸 金 딴 날, 아빠는 성추문 먹칠 | 중앙일보
- 전자레인지 3분 돌리자 '헉'…21억개 나노플라스틱 뿜었다 | 중앙일보
- "왜 우리만 의심하나" 中선수 폭발…파리서도 미∙중 갈등, 무슨 일 | 중앙일보
- '금메달 포상금' 1위 홍콩은 10억 쏜다…9위 한국은 얼마 주나 | 중앙일보
- 센강 나온 뒤 '우웩'…"구토만 10번" 포착, 그대로 생중계 됐다 | 중앙일보
- "X신 같은게" "지가 뭔데" "이리 와바"…막말 시궁창 된 국회 | 중앙일보
- "여자라면 XX싶다" 야구중계 중 성희롱 발언 캐스터, 대기발령 | 중앙일보
- "걷지 못하면 기어서라도"…희귀병 셀린 디옹, 기적 일어났다 | 중앙일보
- 뜨거운 밤엔 미지근한 물 샤워?…꿀잠 자는 꿀팁 따로 있다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