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노믹스 종식’ 日 BOJ 금리 0.25%로↑…“점진적 엔화 강세 전망”
이창희 2024. 8. 2. 06: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BOJ)이 추가 금리 인상을 결정하면서 기존 경제정책 기조였던 아베노믹스의 확실한 종식으로 연결됐다.
일본은행은 금리 인상을 발표한 뒤 공개한 성명문에서 "물가 2% 목표의 지속적·안정적 실현 관점에서 금융완화 정도를 조정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했다"며 "향후 경제·물가 추이가 전망대로 진행된다면, 계속 정책금리를 올리고 금융완화 정도를 조정할 것"이라며 추가 인상 가능성도 시사했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일본 중앙은행, 단기 정책금리 인상에 ‘15년 7개월만’ 최고치
“유동성공급 정책을 유지 측면에서 급격한 엔화 추가 강세는 없을 것”
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BOJ)이 추가 금리 인상을 결정하면서 기존 경제정책 기조였던 아베노믹스의 확실한 종식으로 연결됐다. 아울러 양적완화 정책에서 양적긴축 계획도 구체화했다. 증권가는 점진적인 엔화 강세가 전망되나, 그 폭은 크지 않을 것으로 내다본다.
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일본은행은 지난 30일부터 31일까지 이틀간 열린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단기 정책금리를 0~0.1%에서 0.25%로 인상했다. 이에 따라 지난 2008년 12월 리먼 브라더스 사태 직후로 15년 7개월 만에 가장 높은 금리로 되돌아갔다.
일본은행은 금리 인상을 발표한 뒤 공개한 성명문에서 “물가 2% 목표의 지속적·안정적 실현 관점에서 금융완화 정도를 조정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했다”며 “향후 경제·물가 추이가 전망대로 진행된다면, 계속 정책금리를 올리고 금융완화 정도를 조정할 것”이라며 추가 인상 가능성도 시사했다.
일본은행은 양적긴축인 국채 매입 감액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도 내놨다. 그동안 월간 국채매입을 약 6조엔 규모로 매입해 왔으나, 오는 2026년 1~3월까지 월간 3조엔 수준까지 감액하기로 했다. 이같은 방침에 대해 일본은행 정책위원 9명 전원이 찬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경제는 지난 1990년대 촉발된 버블 경제 붕괴 이후 경기침체 속 물가하락인 디플레이션 상태에 빠졌다. 물가 하락으로 경기가 침체하는 악순환에서 벗어나지 못한 셈이다. 이에 일본은행은 지난 2013년 장기 국채 매입을 통한 본원통화량 2배 확대와 위험자산(ETF·J-REIT) 매입 증가 등 양적·질적 금융완화 정책을 도입했다.
일본은행은 지난 2016년 1월 마이너스 금리(-0.1%)를 도입하고 9월 수익률곡선정책(YCC)를 실시해 장단기 금리 조절에 나섰다. 단기금리를 -0.1%로 고정하고, 장기금리를 0% 수준으로 유지한 것이다.
이후 일본 경제가 서서히 디플레이션에서 빠져나오며 금융정책도 정상화에 돌입하기 시작했다. 이는 올해 3월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17년 만에 금리를 0~0.1%로 인상한 뒤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종료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이번 인상으로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의 양적완화 중심 경제정책인 ‘아베노믹스’ 시대가 확실히 마무리됐단 평가를 받는다.
권아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최근 대내적으로는 정치권의 통화정책 정상화 촉구 및 일본은행 환시개입, 대외적으로는 트럼프 후보 측의 엔화 약세 비판 등 논의가 달러·엔 환율의 빠른 하락에 기여했다”며 “이번 금리인상으로 추가 엔화 약세를 방어하겠다는 당국 의지는 명확히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증권가는 중앙은행 유동성과 성장측면을 고려했을 때 점진적인 엔화 강세에 무게를 두고 있다.
권 연구원은 “전통적인 금리 조정은 하반기 미국 인하, 일본 긴축 방향성에 미·일 금리 차 방향성은 축소로 전망한다. 일본은행의 국채 매입 전망으로 유의미한 금리 차 축소는 제한될 환경”이라며 “미국과 성장 전망을 비교하면 최근 엔화 강세가 과도하다고 볼 수 있다. 순환적으로는 달러·엔 환율의 점진적 하락이 전망되나, 강세 폭은 크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추가 금리 인상이 불투명하고 양적완화 축소 지연 등 당분간 상당 규모의 유동성공급 정책을 유지한다는 측면에서 엔화의 급격한 추가 강세는 없을 것”이라며 “엔화의 급격한 추가 강세에 따른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 리스크는 완화 것이다”고 평가했다.
이창희 기자 window@kukinews.com
이창희 기자 window@kukinews.com
“유동성공급 정책을 유지 측면에서 급격한 엔화 추가 강세는 없을 것”
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BOJ)이 추가 금리 인상을 결정하면서 기존 경제정책 기조였던 아베노믹스의 확실한 종식으로 연결됐다. 아울러 양적완화 정책에서 양적긴축 계획도 구체화했다. 증권가는 점진적인 엔화 강세가 전망되나, 그 폭은 크지 않을 것으로 내다본다.
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일본은행은 지난 30일부터 31일까지 이틀간 열린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단기 정책금리를 0~0.1%에서 0.25%로 인상했다. 이에 따라 지난 2008년 12월 리먼 브라더스 사태 직후로 15년 7개월 만에 가장 높은 금리로 되돌아갔다.
일본은행은 금리 인상을 발표한 뒤 공개한 성명문에서 “물가 2% 목표의 지속적·안정적 실현 관점에서 금융완화 정도를 조정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했다”며 “향후 경제·물가 추이가 전망대로 진행된다면, 계속 정책금리를 올리고 금융완화 정도를 조정할 것”이라며 추가 인상 가능성도 시사했다.
일본은행은 양적긴축인 국채 매입 감액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도 내놨다. 그동안 월간 국채매입을 약 6조엔 규모로 매입해 왔으나, 오는 2026년 1~3월까지 월간 3조엔 수준까지 감액하기로 했다. 이같은 방침에 대해 일본은행 정책위원 9명 전원이 찬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경제는 지난 1990년대 촉발된 버블 경제 붕괴 이후 경기침체 속 물가하락인 디플레이션 상태에 빠졌다. 물가 하락으로 경기가 침체하는 악순환에서 벗어나지 못한 셈이다. 이에 일본은행은 지난 2013년 장기 국채 매입을 통한 본원통화량 2배 확대와 위험자산(ETF·J-REIT) 매입 증가 등 양적·질적 금융완화 정책을 도입했다.
일본은행은 지난 2016년 1월 마이너스 금리(-0.1%)를 도입하고 9월 수익률곡선정책(YCC)를 실시해 장단기 금리 조절에 나섰다. 단기금리를 -0.1%로 고정하고, 장기금리를 0% 수준으로 유지한 것이다.
이후 일본 경제가 서서히 디플레이션에서 빠져나오며 금융정책도 정상화에 돌입하기 시작했다. 이는 올해 3월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17년 만에 금리를 0~0.1%로 인상한 뒤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종료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이번 인상으로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의 양적완화 중심 경제정책인 ‘아베노믹스’ 시대가 확실히 마무리됐단 평가를 받는다.
권아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최근 대내적으로는 정치권의 통화정책 정상화 촉구 및 일본은행 환시개입, 대외적으로는 트럼프 후보 측의 엔화 약세 비판 등 논의가 달러·엔 환율의 빠른 하락에 기여했다”며 “이번 금리인상으로 추가 엔화 약세를 방어하겠다는 당국 의지는 명확히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증권가는 중앙은행 유동성과 성장측면을 고려했을 때 점진적인 엔화 강세에 무게를 두고 있다.
권 연구원은 “전통적인 금리 조정은 하반기 미국 인하, 일본 긴축 방향성에 미·일 금리 차 방향성은 축소로 전망한다. 일본은행의 국채 매입 전망으로 유의미한 금리 차 축소는 제한될 환경”이라며 “미국과 성장 전망을 비교하면 최근 엔화 강세가 과도하다고 볼 수 있다. 순환적으로는 달러·엔 환율의 점진적 하락이 전망되나, 강세 폭은 크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추가 금리 인상이 불투명하고 양적완화 축소 지연 등 당분간 상당 규모의 유동성공급 정책을 유지한다는 측면에서 엔화의 급격한 추가 강세는 없을 것”이라며 “엔화의 급격한 추가 강세에 따른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 리스크는 완화 것이다”고 평가했다.
이창희 기자 window@kukinews.com
이창희 기자 window@kukinews.com
Copyright © 쿠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쿠키뉴스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돈·시간 들여 검사했더니 다른 병원으로?…“‘환자 회송’ 구멍 없어야”
- 실적 부진 이어지는 건설업계, ‘인사 칼바람’ 예고
- 청소년 사이버도박 활개…1년간 4715명 검거
- 포스코 포항제철소 3파이넥스공장서 화재…3시간여 만에 진화(종합)
- ‘준공영제 20년’…서울 간선버스, 운영 효율화 ‘중거리 수송 중심’ 개편해야
- 강득구, 시민의 시각으로 ‘환노위 정책국감’…“민생중심 의정” [22대 쿡회]
- 부동산 경기 침체에 경제성장 발목잡힌 中, 2000조원 투입
- 늦가을 여행의 三美 ‘새벽안개와 구름바다·서리꽃’
- 중국발 공급 과잉, 악영향 지속…석화업계 3분기도 부진
- 금성호 침몰사고 실종자 12명…이틀째 밤샘 수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