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배터리, 美대선 두고 진퇴양난..."트럼프도 해리스도 리스크"

정인혁 2024. 8. 1. 13:5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공화당 대선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좌측)과 민주당 유력 대선 후보인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우측)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의 미국 대선 대진이 유력한 가운데 전미자동차노조(UAW)가 해리스 부통령 지지로 가닥을 잡으면서, 국내 배터리 업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업계 안팎에선 누가 대통령으로 당선되든 리스크가 존재할 것이란 데 의견이 모인다.

1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는 지난 30일(현지시간) "전미자동차노조가 해리스 부통령 대선 지지 선언을 며칠 내로 진행할 가능성이 높다"는 관계자의 말을 인용보도했다.

전미자동차노조는 미국 내 최대 자동차 노조로, 조합원이 40만명에 달해 대표적인 경합지에서 영향력이 크다. 당초 해리스 부통령 지지에 유보적 태도를 보여왔지만, 최근 자동차 및 배터리 공장 노동자에 우호적인 공약을 약속 받으며 입장을 선회한 것으로 알려졌다.

노조 측은 최근까지도 바이든 정부에 자동차 공장 근로자들의 임금 인상 등 처우 개선을 강력히 요구해 왔다. 자국내 우후죽순 들어서는 전기차, 배터리 공장 근로자에도 같은 조건을 요구하고 있다.

이같은 전미자동차노조의 요구는 이미 업계에 관철되는 분위기다. 지난 6월, LG에너지솔루션과 제너럴모터스(GM)의 배터리 합작법인 얼티엄셀즈 노사는 향후 3년간 임금을 30% 인상하기로 잠정 합의했다. 2022년 대비 임금이 2배 수준으로 상향됐다.

업계에선 삼성SDI, SK온 등 국내 주요 배터리 기업들이 미국 자동차 제조사와 합작 공장을 설립하며 현지 진출을 가속화하는 만큼 노조 결성은 시간 문제라는 목소리가 나온다. 업계 한 관계자는 "미국에선 제조업 종사자의 입김이 강해 노조 결성은 당연할 것으로 보인다. 향후 노조 리스크라는 부담이 이어질 것 같다"고 말했다.

로이터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전미자동차노조는 올해부터 2026년까지 2년 동안 미국 내 비노조 공장 및 전기차 배터리 공장에 노조를 조직하는 데 4000만 달러(약 556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전문가들은 이같은 미국의 상황으로 국내 배터리 기업들이 진퇴양난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를 낸다. 문학훈 오산대 미래전기자동차학과 교수는 "해리스가 당선되면 노조 리스크가 불거지면서 인건비 상승 부담이 있을 테고, 트럼프가 당선되면 전기차 보편화가 뒤로 밀리면서 캐즘이 더 길어질 것이기 때문에 어느 누가 되든 리스크가 존재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호근 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도 "진퇴양난의 상황이다. 중국에 경쟁력이 밀리고 있고 실적도 부진하는 가운데, 최대 전기차 시장인 미국의 유력한 두 대통령 후보 모두 리스크가 있다는 건 국내 업체들 입장에선 이중고"라고 말했다.

한편 미국 현지에선 최근 해리스 부통령이 대선 승패를 가를 경합주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보다 높은 지지율을 기록한 여론조사가 나오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이 지난 24일부터 28일까지 온라인으로 실시한 등록 유권자 4973명 대상으로 경합주 여론조사 결과, 7곳의 경합주에서 해리스 부통령은 48%, 공화당 대선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47%의 지지율을 보였다.

해리스 부통령이 전국 단위의 여론조사에서도 상승세를 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국내 배터리 업계의 긴장 수위는 한층 더 높아질 전망이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사실 우리 기업들이 컨트롤 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기 때문에 그저 지켜보는 수밖에는 없지만, 상황이 우호적으로 흘러가진 않다보니 긴장하며 지켜보고 있다"면서 "미국 진출이라는 큰 틀을 바꿀 순 없겠지만 대응책 마련은 꼭 필요해보인다"고 말했다.

이호근 교수는 "미국 대선에 중요한, 표심이 걸린 지역이기 때문에 당선 이후 상황을 살펴봐야겠지만 현재 전개되는 것을 보면 국내 배터리 기업들과 현대차, 기아차 등 자동차 기업들이 긴장의 끈을 놓아서는 안되는 쪽으로 상황이 흘러가고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