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때 댐 계획, 文정부서 무산, 尹이 부활…6년마다 치수 대격변
30일 정부가 신규 댐 후보지 14곳을 발표하면서 2018년 국가 주도의 대규모 댐 건설을 중단하겠다는 문재인 정부의 치수 정책을 6년 만에 뒤집었다. 이에 과거 정부에서 무산됐던 댐 후보지들도 부활했다.
이번에 후보지로 선정된 금강 지천댐과 낙동강 감천댐이 대표적인 사례다. 두 댐은 당초 이명박 정부가 건설을 계획했던 댐 후보지였다. 2012년 당시 국토해양부는 “이상 기후로 인한 국지적 돌발 홍수가 국내외서 증가하고 있어, 지역적 홍수 방어능력을 제고하기 위한 대비가 필요하다”며 댐건설장기계획(2012~2021년)을 발표했다. 지천댐과 감천댐도 신규 댐 계획에 포함됐지만 이후 박근혜·문재인 정부를 거치면서 사장됐다.
박재현 환경부 물관리정책실장은 “2012년에도 해당 지천에서 홍수 방어, 용수 공급 등 해결해야 할 문제가 있었기 때문에 댐 건설 계획이 수립됐었는데, 추진되지 못했다”며 “올해 두 댐의 후보지는 2012년과 같지만, 계획이 똑같지는 않다. 댐의 위치 등을 세밀하게 조정해 홍수 등 피해를 막고, 환경 영향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6년마다 180도 뒤집힌 치수 정책…다시 원점으로
윤석열 정부의 기후대응댐 건설 계획은 이명박 정부의 2012 댐 계획과 많은 면에서 닮았다. 환경부는 이날 극한호우로 인한 홍수 위험과 가뭄 등으로 인한 미래 용수 부족에 대비해 총저수용량 3.2억㎥, 연간 용수 2.5억㎥를 공급할 댐 14개의 건설이 필요하다고 발표했다.
2012 댐 계획도 기후변화로 인한 국지적 돌발홍수 방어 등을 위해 지천댐을 포함한 국가 주도 댐 6개소와 감천댐을 포함한 지역 건의 소규모 댐 8개소 등 총 14개 후보지를 대상으로 댐 건설을 추진하기로 했다.
반면 문재인 정부는 물관리 정책의 방향을 개발에서 보전에 방점을 찍으면서, 신규 댐 건설을 중단할 뿐 아니라 이전 정부에서 만든 보 해제도 추진했다. 2018년 9월 환경부는 ‘통합물관리 비전’을 발표하면서 “댐 정책의 ‘인식 체계(패러다임)’를 건설에서 관리로 전환한다”며 “앞으로 국가 주도의 대규모 댐 건설은 중단하고, 중소규모 댐은 유역 협치(거버넌스)를 통한 합의 및 공감대 확보 아래 추진할 것”이라고 했다.
“정치가 아닌, 과학자가 유역별 대책 평가해야”
정은혜 기자 jeong.eunhye1@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권력의 문지방을 넘어라” 나는 대한민국 특수부 검사다 <특수부 사람들-1> | 중앙일보
- "샤워하고 나오면 훤히 다 보인다"…女육상선수 분통, 무슨 일 | 중앙일보
- 뱃속 아이는 소리 못 듣는다…"태교는 사기" 갓종관 일침 | 중앙일보
- 머스크도 사격 김예지에 반했다…"액션 영화 캐스팅하자" | 중앙일보
- 오상욱 "이건 어따 쓰죠?"…금메달과 받은 '의문의 상자' 정체 | 중앙일보
- "서울대 가려고 새벽마다 '이것' 먹었다" 이혜성 눈물보인 이유 | 중앙일보
- '제주 갈 돈이면 일본 간다'…실제 여행비 비교해보니 깜짝 | 중앙일보
- 체육관도 없던 남수단의 첫 승, 그 영광 뒤엔 한국인 있었다 | 중앙일보
- 승진 후 폭군 돌변한 동료…'뇌'에서 발견된 충격 현상 | 중앙일보
- 수영 세계신기록 女선수, 올림픽 불참에도 상금 3000만원…왜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