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대선 쟁점된 '낙태권'…해리스 "트럼프 금지법" 공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아이오와주가 29일(현지시간) 임신 6주 이후 낙태를 금지하는 법을 시행하면서 낙태권 이슈가 대선 뇌관으로 급부상했다.
뉴욕타임스(NYT) 등 외신에 따르면 아이오와주는 태아의 심장 박동을 감지할 수 있는 시점부터 낙태를 할 수 없도록 하는 법을 이날부터 시행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아이오와주가 29일(현지시간) 임신 6주 이후 낙태를 금지하는 법을 시행하면서 낙태권 이슈가 대선 뇌관으로 급부상했다.
뉴욕타임스(NYT) 등 외신에 따르면 아이오와주는 태아의 심장 박동을 감지할 수 있는 시점부터 낙태를 할 수 없도록 하는 법을 이날부터 시행한다.
이전에는 임신 22주까지 낙태가 합법이었다. 이제는 임신 약 6주 이후에는 낙태할 수 없도록 한 것이라고 NYT는 설명했다.
해당 법안은 공화당이 주도했다. 2022년 미국 연방 대법원이 연방 차원에서 낙태 권리를 인정한 '로 대 웨이드' 판결을 폐기한 이후, 공화당이 다수인 아이오와주의회는 법안을 통과시켰고 공화당 소속 킴 레이놀즈 주지사가 법안에 서명했다. 레이놀즈 주지사는 "생명의 승리"라고 말했다.
외신들은 이번 법안 시행이 대선을 앞둔 공화당 입장에서 악재가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미국 내에서 낙태권 옹호 여론이 낙태 금지 여론보다 우세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중도파 유권자들이 돌아설 수 있다는 것이다. 법안이 통과된 아이오와주의 경우에도 2016년, 2020년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우세했다. 그러나 지난해 3월 레지스터·미디어컴 여론 조사에 따르면 낙태 합법을 지지하는 의견은 61%에 달했다.
민주당은 아이오와주의 낙태 금지법 시행을 대선 이슈화하며 공격에 나섰다. NYT는 "민주당이 아이오와주 등지에서 낙태권 지지를 표심을 잡는 데 유리하게 활용하려고 한다"고 평가했다.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은 이날 동영상 성명을 내고 아이오와주의 낙태금지법을 '트럼프 낙태금지법'이라고 부르며 "우리가 해야 할 일은 투표"라고 강조했다. 과거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임기 중 임명했던 대법관 3명으로 인해 대법원이 보수 우위가 됐고, '로 대 웨이드' 판결이 폐기됐다는 것이다.
해리스 부통령 캠페인은 아이오와주 법안 시행을 계기로 주요 접전 주에서 '생식의 자유를 위한 투쟁 행동 주간'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미 CNN 방송은 "해리스 부통령이 지지율을 높이는 가장 빠른 방법은 낙태 문제에 대해 그와 동의하는 유권자들을 견고히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해리스 부통령은 바이든 정부에서 낙태권 문제 관련 트럼프 공격수 역할을 해왔다. 독실한 가톨릭 신자로 '로 대 웨이드' 판결 폐기는 비판하지만, '낙태'라는 단어를 언급하는 것을 꺼리던 바이든 대통령과는 대조적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연방 단위의 낙태 금지를 공약하지 않고, 연방 대법원 판단의 취지에 맞게 각 주가 알아서 판단하도록 둬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그러나 공화당 부통령 후보인 J.D.밴스 상원의원은 강간 등의 경우에도 낙태가 정당화될 수 없다고 하는 등 과거 초강경 발언을 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민주당은 공세를 강화하고 있다.
오수연 기자 syoh@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영월 산골서 마이바흐로 미행하다 쾅…가해자는 피해자 여친 남동생이었다 - 아시아경제
- "송파도 제쳤다"… 올해 아파트값 가장 많이 오른 곳 1위는? - 아시아경제
- "한달 3500만원 벌어요"…3억 마이바흐 베이징 택시 놀라운 수입 - 아시아경제
- "얼마나 민폐였으면"…카공족에 작정하고 경고장 날린 스타벅스 - 아시아경제
- "대통령이랑 밥 한 끼 먹을 사람?"…한마디에 76% 폭등한 '트럼프 밈코인' - 아시아경제
- "나이 드니 후회" "지금도 잘 살아"…SNS로 본 딩크족들 속마음 - 아시아경제
- "이러다 굶어 죽는다, 도와달라"...한국 모욕하고 다니던 유튜버 근황 - 아시아경제
- "불 타는 모습 지켜봐" 10년 모아 산 4억짜리 페라리, 인수 1시간 만에 '활활' - 아시아경제
- "미장보다도 훨씬 낫네"… 작년부터 72% 급등, 천장 안보이는 '금값' - 아시아경제
- "마통으로 버텼는데…부고 문자 눌렀다가 5000만원 털렸어요"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