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장에서 웬 트로트 노래가? 아, 이래서였구나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이의연 기자]
나는 대학 졸업 뒤 3년 정도 직장생활을 했다. 그러다 직장을 그만두고 전일제 대학원생이 되었다. 출근하지 않는 일상은 웬만한 의지가 아니고서는 쉽게 나태해진다. 매일 하던 운동시간을 굳이 아침으로 옮긴 이유도 여기에 있다.
아침에 눈을 뜨면 뇌가 정신을 채 차리기도 전에 운동화를 신고 헬스장으로 향한다. 헬스장에서 1시간가량 땀을 흘리면, 남은 하루도 잘 살 수 있을 것 같은 기분이 들어서다.
서울의 변방 오래된 동네, 그럼에도 내가 다니는 헬스장은 활력있는 곳이다. 오로지 몸을 움직이기 위한 공간이니 당연한 말일 수도 있겠다. 거기에 더해 넓은 공간을 채우는 쇳덩이들, 에어컨 바람에 저항하는 인체의 열기, 강한 비트의 힙합과 전자음악 소리는 한 뼘의 무기력함도 허용하지 않는다.
이곳에선 시간을 젊음에다 붙잡아둘 수 있을 것 같은 막연한 기분마저 든다. 대단지 아파트도 없는 서울 변두리 한적한 동네에서, 가장 활력 있는 곳을 꼽으라면 이런 곳이 어울릴 것이다.
그런데 몇 주 전부터 작은 변화가 생겼다. 다니는 헬스장에서 이른 아침 시간에, 딱 내가 운동하는 7~9시 사이에 트로트를 틀기 시작한 것이다. 나는 그 시간 전엔 가보질 않았으니 어쩌면 그보다 이른 시간에 트로트 BGM이 시작됐을지도 모른다.
'쿵짝' 리듬 위에 들리는 정직한 가사와 끓어오르는 목소리, 트럼펫의 간주를 듣고 있자니 별스러운 웃음이 났다. 명절날 어르신들이 모인 거실에 나 혼자 어정쩡하게 서있는 기분이었다.
▲ 평일 오전 헬스장 풍경 |
ⓒ 이의연 |
에스파와 두아 리파가 아닌 박상철, 장윤정씨와 운동하려니 왜인지(?) 자꾸 힘이 빠졌다. 숨을 들이마시고 배에 단단히 가둔채 운동을 해야 하는데, '아~그리운 사랑~' 하는 간드러진 소리에 '흡'하고 참았던 호흡이 새어나가기 일쑤였다. 음악이 운동에 이토록 큰 영향을 주는지, 전에는 미처 몰랐다.
당혹스러움에 제대로 운동하지 못하는 며칠이 지났다. 처음엔 땀에 젖을까봐 집에 두고 다녔던 이어폰을 챙겨가는 것으로 나름의 돌파구를 찾았다. 그리고 다시 익숙한 감각을 되찾으려 하니, 어느날 보이는 풍경이 조금 달라진 걸 깨달았다.
저녁시간대에 헬스장을 찾으면, 주류는 바디프로필이 어울리는 청년들과 코어근육을 갈망하는 중년의 직장인들이다. 수십 년 구력의 몇몇 몸짱 할아버지를 제외하면, 노인들은 보통 러닝머신이나 자전거에서나 간간이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아침 시간대 헬스장의 주 고객은 노인들이었다. 특히 환갑을 갓 넘겼을, 얼마 전 자녀의 결혼식을 치렀을 법한, 주기적으로 단골 미용실에서 검게 염색한 것 같은 할머니들이 많이 와 계셨다.
생각해보 나는 여기에 지금껏 몇 달을 다녔는데, 다니면서도 다니는 사람들은 미처 인식하지 못했다. 그저 기구가 많고 자리가 여유로우니 좋다고 생각했을 뿐. '도대체 왜 이런 음악을 트는 거지'하고 의문을 가지려던 찰나, 비로소 그들이 눈에 들어왔다.
'헬스장엔 젊은 사람들만 온다'는 편견
내가 상당한 결심으로 시작했던 아침 운동이 그들에겐 일상인듯했다. 고강도 근력운동 대신 가벼운 걷기 운동과 스트레칭으로 아침을 깨우고 있었다.
내가 그토록 괴로워했던 트로트를 그분들은 운동하며 즐거운 듯 흥얼거렸다. 대화 없이 신음만 들리던 저녁시간대와 달리 오전엔 소소한 잡담이 있었고, 또 한 명 한 명 입장할 때마다 서로 반갑게 나누는 인사들이 있었다.
17세기 철학자 베이컨은 종족의 우상을 말하며, 모든 것을 인간의 잣대로 바라보지 말 것을 경고했다. 그런데 나는 이보다 더 좁은 청년, 또는 직장인, 경제활동인구의 잣대로 그 공간을 해석했던 것 같다.
▲ 평일 오전 헬스장 풍경 |
ⓒ 이의연 |
그럼에도 여전히 나는 뽕짝 리듬에 힘을 내서 운동하기는 어렵다. 고강도 근력운동에 이런 노래는 확실히 어울리지 않는 것 같기도 하다.
그러나 그뿐이다. 헬스장은 말 그대로 '건강'을 위한 곳 아닌가. 신체를 가진 사람이라면 누구나 올 수 있으며, 건강을 추구하는 방식도 다양할 것이다. 그곳에 고강도 근력 운동에 최적화된 '힙한' 음악만 나와야 한다는 법은 없다.
한편, '힙하다'는 말은 비주류, 개성을 추구하는 '힙스터'에서 나온 말이다. 그러나 최근의 용례를 보면 그 반대로 주류 문화, 유행을 충실히 따르는 것을 지칭하는 것 같기도 하다.
그런 의미로 생각해보자면 트로트를 틀어주는 헬스장이야말로 주목받지 못한 비주류에 집중하는, 그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진정한 '힙스터'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오랜만에 아주 '힙한' 헬스장을 만났다.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