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인구 3년만에 증가…외국인 늘고 내국인 줄어

세종=조유진 2024. 7. 29. 14: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국내 총인구가 3년 만에 증가 전환했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23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총인구는 5177만5000명으로 1년 전보다 8만2000명(0.2%) 증가했다.

권역별로 보면 수도권 총인구는 2622만6000명으로 전체의 50.7%를 차지했다.

지난해 총가구는 2272만8000가구로 전년보다 34만5000가구(1.5%) 증가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통계청, 2023년 인구주택총조사
15∼64세 생산인구 감소세 이어져

지난해 국내 총인구가 3년 만에 증가 전환했다. 저출산·고령화 영향으로 내국인 감소세는 이어졌지만, 외국인은 큰 폭으로 늘어난 영향이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23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총인구는 5177만5000명으로 1년 전보다 8만2000명(0.2%) 증가했다. 2021년 이후 2년 연속 감소세를 깨고 3년 만에 증가 전환한 것이다.

총인구 증가세는 외국인이 견인했다. 지난해 상주 외국인은 193만5000명으로 전년보다 18만3000명(10.4%) 늘었다. 국적별로는 중국(한국계)이 53만2000명(27.5%)으로 가장 많았고 베트남(24만7000명·12.8%), 중국(22만1000명·11.4%) 등 순이었다. 중국과 베트남 국적만 100만명(51.7%)에 이른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입국자 증가, 고용허가제 확대 등이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 통계청의 분석이다.

초복을 나흘 앞둔 11일 서울 성북구 한성대학교 케이키친 한상에서 열린 '국제여름학교 초복맞이 삼계탕 데이'에 참가한 외국인학생들이 삼계탕을 먹고 있다. 사진=강진형 기자aymsdream@

반면 내국인 수는 2021년 이후 3년째 내리막길이다. 2022년 4994만명을 기록하며 4년 만에 4000만명대로 내려앉은 데 이어 지난해에는 4983만9000명으로 10만명 더 줄었다.

연령별로 보면 유소년·생산연령인구는 줄고 고령인구는 늘어나는 등 고령화 현상이 뚜렷했다.

15∼64세 생산연령인구는 3654만6000명(70.6%)으로 전년보다 14만명 줄었다. 0∼14세 유소년 인구도 24만1000명 줄어든 561만9000명으로 집계됐다.

반면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46만2000명 늘어난 960만9000명을 기록, '1000만명 선'에 한 발 더 다가섰다.

고령화 영향으로 중위 연령은 전년보다 0.6세 상승한 45.7세였다. 유소년 인구 100명당 고령인구를 뜻하는 노령화 지수는 171.0명으로 2018년(113.9)보다 57.1명 증가했다.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부양해야 할 유소년 인구는 15.4명으로 전년보다 0.6명 줄었고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고령인구인 노년 부양비는 26.3명으로 1.4명 늘었다.

권역별로 보면 수도권 총인구는 2622만6000명으로 전체의 50.7%를 차지했다.

지난해 총가구는 2272만8000가구로 전년보다 34만5000가구(1.5%) 증가했다. 이중 일반 가구는 2207만3000가구(97.1%)였고 집단·외국인 가구는 65만5000가구(2.9%)였다.

일반 가구 중 친족 가구가 1369만9000가구(62.1%)로 가장 많았다. 1인 가구는 782만9000가구(35.5%), 비친족 가구는 54만5000가구(2.5%)를 차지했다.

전년과 비교하면 친족가구(-5만8000가구)는 감소한 반면 1인 가구(32만7000가구), 비친족가구(3만1000가구)는 증가세가 뚜렷했다.

가구원 수별로 보면 1인 가구 비중이 35.5%로 가장 높았고 2인 가구(28.8%), 3인 가구(19.0%), 4인 가구(13.3%) 등 순이었다.

세종=조유진 기자 tint@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