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가구, 4인 이상 가구 2배↑…3집 중 1집은 ‘나 혼자 산다’

맹찬호 2024. 7. 29. 12: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혼자 사는 1인 가구 수가 4인 이상 가구의 2배가 넘는 수준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10집 중 1곳은 65세 이상 고령자가 혼자 사는 '독거노인' 가구로 조사됐다.

4인 이상 가구는 370만3000가구로 1인 가구 절반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전체 일반 가구 중 고령자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9.7%까지 올라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통계청, ‘2023년 인구주택총조사’
‘65세 이상’ 고령 인구 950만명
혼자 사는 ‘노인’ 가구 전체 9.7%
다문화 41.6만 가구…매년 증가세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에서 노인들이 장기를 두거나 휴식하고 있다. ⓒ연합뉴스

혼자 사는 1인 가구 수가 4인 이상 가구의 2배가 넘는 수준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10집 중 1곳은 65세 이상 고령자가 혼자 사는 ‘독거노인’ 가구로 조사됐다.

다문화 가구는 지난해 처음으로 40만가구를 넘어섰다.

1인 가구 비중 35.5%…평균 가구원 수 2.21명

총가구 및 연평균 증감률 ⓒ통계청

2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인구주택 총조사(등록센서스 방식)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총가구는 2273만가구로 1년 전보다 1.5%(34만가구) 증가했다.

일반가구가 2207만가구로 총가구 대부분을 차지했다. 외국인가구 및 집단가구는 2.9%(66만가구)로 전년보다 5만가구(7.4%) 늘었다.

가구원 수별로 보면 1인 가구가 782만9000가구(35.5%)로, 전년보다 4.4%(33만가구) 증가했다.

1인 가구 수는 등록센서스 방식의 조사가 시작된 2015년 520만3000가구를 시작으로 매년 꾸준히 증가해 왔다.

2019년에는 614만8000가구를 기록해 600만 선을 넘어섰고, 2021년에는 716만6000가구로 늘어 700만 선도 돌파했다.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 역시 2015년 27.2%에서 꾸준히 증가해 지난해 35.5%까지 치솟았다.

이는 3집 중 1집이 1인 가구인 셈으로 분석된다.

작년 2인 가구는 634만6000가구로 전체의 28.8%였고 3인 가구는 419만5000가구로 19.0%였다.

4인 이상 가구는 370만3000가구로 1인 가구 절반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6.8%로 가장 낮았다.

가구당 평균 가구원 수는 2.21명으로 전년보다 0.03명 감소했다. 5년 전인 2018년과 비교하면 0.22명 줄었다.

고령인구 950만명…초고령자 비율 10% 넘었다

고령자 가구 구성비 ⓒ통계청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949만7000명으로 전년보다 45만1000명(5.0%) 증가했다.

2020년 820만6000명을 기록하며 처음으로 800만명을 넘어선 뒤, 2년 만에 900만명대를 넘어섰다.

65∼74세가 전체 고령인구의 58.2%를 차지했고, 75∼84세는 31.3%로 집계됐다. 85세 이상 초고령자의 비율은 10.5%였다.

친족과 함께 거주하는 고령인구의 비중은 72.2%로 전년보다 0.6%p(포인트) 줄었다.

85세 이상에서는 친족 가구의 비중이 54.4%까지 떨어졌다.

가구원 전체가 65세 이상인 고령자 가구 구모도 374만4000가구로 젼년보다 7.2%(25만가구) 증가했다.

고령자 1인 가구도 213만8000가구로 전년보다 8.3%(16만5000가구) 늘었다. 지난해 200만가구를 넘어섰다.

전체 일반 가구 중 고령자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9.7%까지 올라갔다.

10집 중 1집 가까이가 독거노인 가구라는 의미다.

고령자 1인 가구가 가장 많은 지역은 전남(15.5%)이었다. 특·광역시 중에서는 부산(11.9%)의 고령자 가구 비율이 가장 높았다.

다문화 가구 40만 넘어서…중국 동포·베트남 순

다문화 가구 규모 ⓒ통계청

지난해 다문화 가구는 41만6000가구로, 전년 대비 4.1%(1만5000가구) 증가했다.

다문화 대상자 중 귀화자 가구가 전체의 43.1%로 가장 비중이 높았다. 결혼이민자 가구(37.0%)와 다문화자녀 가구(11.3%)가 뒤를 이었다.

다문화 가구의 가구원 중 귀화자(내국인) 및 결혼이민자(외국인)를 뜻하는 ‘다문화 대상자’는 41만3000명이었다.

국적별로는 중국(한국계)이 13만2000명(32.0%)으로 가장 많았고, 베트남 9만2000명(22.2%), 중국 7만7000명(18.6%) 순 등이었다.

전년 대비 다문화 대상자 증가율이 큰 국적은 태국(15.9%), 인도네시아(12.4%), 러시아(7.7%) 순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대상자가 가장 많이 거주하는 곳은 경기(33.0%)였다. 전년 대비 증가율이 가장 큰 지역은 인천(6.5%)이었다.

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