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OLED마저 中에 밀리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스마트폰과 태블릿 등에 장착되는 중소형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시장에서 한국이 중국에 글로벌 시장 점유율 1위 자리를 뺏겼다.
LCD(액정표시장치) 1위인 중국이 한국 디스플레이 업계의 '마지막 보루'인 OLED마저 잠식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중국은 지난 1분기 스마트폰 OLED 시장의 53.4%를 점유하며 처음으로 1위에 올랐다.
한국 디스플레이 업체들은 2021년 중국에 LCD 1위를 뺏긴 이후 OLED 시장에 집중해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삼성 1위 지켰지만 점유율 하락
스마트폰과 태블릿 등에 장착되는 중소형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시장에서 한국이 중국에 글로벌 시장 점유율 1위 자리를 뺏겼다. LCD(액정표시장치) 1위인 중국이 한국 디스플레이 업계의 ‘마지막 보루’인 OLED마저 잠식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6일 시장조사업체 시노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중국 디스플레이 기업들은 세계 스마트폰 OLED의 50.7%(출하량 기준)를 점유했다. 작년 상반기(40.6%) 대비 10.1%포인트 상승했다.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등 한국 업체의 점유율은 59.4%에서 49.3%로 줄었다.
중국은 지난 1분기 스마트폰 OLED 시장의 53.4%를 점유하며 처음으로 1위에 올랐다. 반기 기준으로도 50.7%를 차지했다. 개별 회사로는 삼성디스플레이가 점유율 43.8%로 1위를 지켰지만, 1년 전(51.6%)보다 대폭 하락했다. 2위는 중국 BOE(13.8%)가 차지했다.
화웨이, 샤오미, 오포, 비보 등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가 자국산 OLED를 적용한 스마트폰을 잇달아 출시한 것이 요인으로 꼽힌다. 비전옥스는 점유율이 작년 상반기 7.4%에서 올 상반기 11.3%로 두 배 가까이 상승했다.
한국 디스플레이 업체들은 2021년 중국에 LCD 1위를 뺏긴 이후 OLED 시장에 집중해왔다. 중소형이 시장 규모가 압도적으로 크고 수익성이 높아 OLED 시장의 핵심 격전지로 꼽힌다.
박의명 기자 uimyung@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설마 10년 전 재현되나"…미친듯이 쏟아지는 중국산 철강재 [원자재 이슈탐구]
- 나오자마자 '국내 1위' 찍었다…인기 폭발한 전기차 뭐길래
- 효자 종목된 사격…그 뒤엔 200억 '키다리 아저씨' 있었다 [2024 파리올림픽]
- 반포 자영업자가 밝힌 '찐부자' 특이점…"처음 보는 집단"
- 무더위에 '목 선풍기' 하고 다녔는데…"이제 못 쓰겠네" 충격
- 신유빈 덕분에 대박난 회사 "이렇게 노출될 줄은 꿈에도"
- "여름휴가 도저히 못 가겠어요"…직장인들 돌변한 이유
- "집 비밀번호까지…" 청라 '전기차 화재' 피해 주민 '눈물'
- 손흥민, 강남 클럽서 수천만원 결제?…소속사 "선처 없다" 분노
- "내 차 아닌줄"…'주차장 화재'서 살아남은 테슬라 상태 '눈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