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릴 때 부모와 불안정한 애착… 비뚤어진 사랑의 씨앗된다

한림대 심리학과 최훈 교수 2024. 7. 26. 07:4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얼마 전 아내와 함께 챙겨보던 드라마가 있었다. ‘눈물의 여왕.’ 이제는 종방된 지 시간이 좀 흘렀지만, 아직도 그 감동에 빠져 있다. 물론 주인공 백현우(김수현)와 홍해인(김지원)의 사랑이 인상적이었지만, 심리학자로서 그 옆에 자칭(?) 사랑이란 이름으로 존재했던 윤은성(박성훈)의 마음에도 눈길이 갔다.

극 중 윤은성은 주요 악역으로 홍해인의 집안을 파멸시키려 하는 동시에, 홍해인과의 사랑을 갈구하는 인물이다. 드라마를 보면 어릴 적에 동물을 잔인하게 죽인 것으로 묘사되는데, 아동·청소년기 동물 학대가 소시오패스 혹은 사이코패스의 특징 중의 하나라는 점을 고려해 보면 작가가 생각하는 윤은성의 캐릭터를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윤은성은 홍해인의 사랑을 갈구하지만, 그 사랑은 철저히 왜곡돼 있다. 상대방의 마음에 대한 존중과 배려가 없고, 사랑이 아닌 집착과 소유욕으로 볼 수도 있을 만큼 일반적인 사랑의 모습은 아니었다. 드라마에서는 이런 윤은성의 잘못된 사랑의 원인을 그의 암울했던 성장기 경험에 두고 있는 것 같다. 윤은성은 성장기에 자신의 어머니에게서 버림받아 보육원에서 자라고, 보육원과 이후 입양된 가정에서 학대를 당한 아픈 과거가 있다.

사실 부모 혹은 양육자와 안정적이지 못한 관계가 훗날 비정상적인 행동의 원인이 된다는 식의 묘사는 드라마에서 새롭지 않다. 그렇다 보니 이런 설정은 “또? 뭐 새로운 것 없어?”라는 시청자의 반응을 만들어낼지도 모른다. 하지만 부모와 자녀 관계는 강조하고 강조해도 부족함이 없을 만큼 중요하다.

사람이 세상에 태어나서 처음으로 관계를 맺는 대상은 가족, 특히 부모다. 아이는 발달 과정을 통해 부모와의 강렬한 정서적 연결감을 갖게 되는데, 이것을 ‘애착(attachment)’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 애착은 아이가 성장한 후 갖는 연인과 관계에도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아이의 생리적·심리적 욕구에 대해서 부모가 반응하는 방식에 따라 애착은 크게 안정 애착, 불안-회피적인 애착, 불안-양가적인 애착으로 구분될 수 있다. 부모가 아이의 욕구에 대해서 적절하게 잘 대응하면 안정적으로 애착이 형성되고, 이런 아이는 부모와 떨어져도 불안해하지 않는다. 반면 불안-회피적인 애착이 형성된 아기는 부모와 떨어졌을 때 격리 불안을 느끼고, 다시 부모가 나타났을 때 회피하거나 신체적인 접촉을 꺼린다. 불안-양가적인 애착이 형성된 아기는 강한 격리 불안을 느끼며, 부모가 다시 나타나도 부모를 반기지 않고 밀어내면서 계속 불안해하는 경향을 보인다.

부모와 안정 애착을 형성하며 자라면 성인이 돼서도 연인과 안정적인 관계를 잘 형성한다. 기본적으로 상대가 자신을 버릴 것이라는 생각을 하지 않기 때문에 상호 신뢰가 형성되고, 비교적 오래 관계가 유지된다.

하지만 안정적인 애착이 형성되지 않으면 연인 관계도 불안정할 수밖에 없다. 부모와 불안-회피적인 애착이 형성된 성인은 기본적으로 타인과 관계가 깊어지는 것에 대한 불안이 있기 때문에 연인과의 관계도 매우 피상적이다. 서로 얽매이는 것에 대해 매우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며, 서로에게 간섭하지 않는 자유로운 관계를 선호한다. 편한 관계일 것 같기도 하지만, 사랑이 일시적이라는 믿음이 있는 만큼 그 관계는 굳건하지 못하다.

불안-양가적 애착이 형성된 성인은 연인에게 다가가고 싶은 마음과 상대가 자신을 거절할 것이라는 불안을 동시에 갖고 있다. 따라서 상대가 자신을 떠날 것이라는 생각이 언제나 머릿속을 떠나지 않는다. 그 결과, 연인 관계에 지나치게 얽매이게 돼, 상대에게 집착하고 외도를 의심하며 심한 질투심을 표현한다.

극 중 윤은성의 삐뚤어진 사랑은 어머니와의 관계에서 형성된 불안-양가적 애착의 결과로 보인다. 물론 부모로부터 적절한 돌봄을 받지 못한 모든 사람이 윤은성과 같은 행동을 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부모와의 관계 속에서 형성된 애착 형태가 성인이 된 후에도 타인과의 관계 형성에 영향을 끼친다는 점은 부정할 수 없으며,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안정적인 대인 관계를 형성하지 못해 힘들어 하는 것은 사실이다.

세상이 바뀌고, 양육 형태가 바뀌고, 가족의 가치가 바뀌는 요즘에도 여전히 부모와 자녀의 관계는 모든 관계의 씨앗이 되고 중심이 된다. 부모가 가정에서 뿌리는 안정적인 사랑의 씨앗이 결국 대를 이어 자녀 마음 속에서도 안정적인 사랑으로 열매를 맺을 수 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될 것 같다.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