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근성 좋고 상품 다양… ‘슈퍼+마트’ SSM 뜬다

김성훈 2024. 7. 25. 12:2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매출 1년새 8% 증가… 8년 만 최대 상승폭
외식비 부담에 소포장 신선식품 판매 ↑
당일 배송 ‘퀵커머스’ 도입… 시너지 기대
게티이미지뱅크


기업형 슈퍼마켓(SSM) 업계가 특수를 맞고 있다. 고물가 장기화로 외식비 부담이 커지면서 집밥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영향으로 풀이된다. 슈퍼마켓은 편의점과 대형마트의 장점이 섞인 근거리 장보기 채널로 입지를 다지고 있다. 동네 곳곳에 매장이 있어 대형마트보다 접근성이 좋고, 편의점보다 상품이 다양하다. 최근 SSM 업계는 구매한 상품을 집까지 당일 배송해주는 퀵커머스 서비스까지 도입하면서 온라인으로 장을 보는 소비자들까지 끌어안고 있다.

SSM 매출 상승세… 식품 비중 압도적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GS더프레시, 롯데슈퍼, 이마트에브리데이, 홈플러스 익스프레스 등 SSM 4개사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8% 증가했다. 이는 8년여 만에 최대 상승 폭으로 대형마트(6.2%), 편의점(6.0%), 백화점(5.5%) 등과 비교해 오프라인 유통 채널 중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그동안 SSM은 대형마트와 편의점에 밀려 존재감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아왔지만 SSM 매출은 지난해 2분기 이후 4분기 연속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 연간 기준으로도 지난해 SSM 매출은 전년보다 3.7% 늘었다. 2021년 -9.1%, 2022년 -2.5%로 감소세를 보이다 반등에 성공했다.

SSM의 성장에는 업계가 1~2인 가구를 위한 소포장 신선식품을 강화하고 식품 위주로 매장을 새롭게 단장한 점이 주효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상품별 매출 비중을 봤을 때도 SSM의 실적을 견인하는 건 단연 식품이다. 업계 관계자는 “휴지, 세제 등 비식품은 가격이 저렴한 이커머스로 구매하고 신선도를 확인할 수 있는 농·축·수산물은 슈퍼마켓에서 구매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지난 5월 기준 식품 품목 매출 증가 폭은 5.5%로 전체 품목 평균인 4.8%를 웃돌았다. 같은 달 SSM 매출에서 식품 부문 비중은 92.0%로 대형마트의 식품 매출 비중(66.8%)보다 월등히 높았다.

SSM 성장에는 외식 물가가 치솟고 있는 환경적 요인이 크게 작용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외식 물가 상승률은 3%로, 외식 물가 상승률이 전체 소비자 물가 상승률 평균치를 웃도는 현상은 2021년 6월부터 37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SSM을 찾는 소비자가 늘어나면서 업계는 신규 출점에 나서는 모양새다. GS더프레시 점포 수는 500개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GS더프레시 올해(1월 1일~7월 18일 기준) 매출은 전년 1~3분기(1~9월)보다 11.6% 늘었고, 영업이익은 무려 130% 뛰었다.

신도시 인근 점포를 중심으로 고객 연령대도 크게 낮아졌다. 회사는 기존 주요 고객인 4050 소비자는 물론 젊은 소비자를 신규 고객층으로 적극 받아들이겠다는 목표다. GS리테일 관계자는 “지난해 신도시 내 출점한 11개 매장의 고객 연령대를 분석한 결과 2030 고객 매출 비중이 절반을 넘어섰다”고 했다.

마트-슈퍼 통합 시너지 기대… 퀵커머스 가속화
서울 동대문구 롯데슈퍼 장안점에서 매대에 진열된 채소 상품을 고르는 모습. 롯데마트 슈퍼 제공

롯데슈퍼, 이마트에브리데이는 각각 롯데마트, 이마트와 통합 소싱·마케팅을 통해 시너지 창출에 나섰다. 지난 3월 기준 356개 매장을 운영 중인 롯데슈퍼는 올 상반기 매출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10%가량 늘었다. 롯데마트와 슈퍼는 2022년 상품팀을 통합해 상품 공동 매입에 나서면서 그로서리 품질과 가격 경쟁력을 끌어올렸다. 지난 1분기 롯데마트와 롯데슈퍼의 합산 매출은 1조3831억원, 영업이익은 37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0.8% 줄었지만 영업이익은 37.9% 늘었다.

이마트에브리데이와 이마트는 이달 통합 법인을 출범시켰다. 이마트에브리데이는 전국 250여개 점포 중 70여개 점포에 이마트 후레쉬센터와 미트센터 신선상품을 공급하고 있다. 기존 이마트 상품을 이마트에브리데이에서 구입할 수 있게 고객 편의를 키웠고 초저가 상품을 공동 론칭하고 있다. 회사는 내년쯤 본격적인 통합 시너지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소비자들이 인천 검단신도시 내 GS더프레시 매장에서 신선·조리식품 코너를 둘러보는 모습. GS리테일 제공


SSM은 전국 곳곳의 매장을 활용해 근거리 즉시배송 서비스도 키우고 있다. GS더프레시는 요기요, 네이버, 배달의민족 등 온라인 채널을 퀵커머스와 연계해 1시간 장보기 배송을 강화했다. 홈플러스익스프레스는 240곳의 점포에서 반경 2~2.5㎞ 이내 오후 10시 이전 주문하면 1시간 내외로 배송받을 수 있는 ‘즉시배송’을 운영 중이다. 이마트에브리데이 온라인 서비스 ‘이마일’은 지난달 배민과 제휴로 퀵 주문 서비스를 강화해 각 점포 반경 3~4㎞까지 배달 권역을 확대했다.

의무휴업 적용… “간판 바꿨다고 규제 대상”

한편 일각에선 SSM에도 적용되고 있는 의무휴업·영업제한 조치를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유통산업발전법에 따르면 SSM은 대형마트와 마찬가지로 의무적으로 월 2회 휴업을 해야 하고 휴무일을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도 없다. 이 규제는 개인 점주가 소유·운영하고 있는 가맹점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업계는 2012년 이 법안이 시행된 이후 시장 환경이 변화하면서 온라인 유통, 대형 식자재마트 등이 규제의 반사 이익을 누렸지만 소상공인 가맹점주의 어려움은 가중되고 있다고 입을 모은다. GS더프레시의 경우 가맹점 비중이 77%를 넘어섰다. 롯데슈퍼 역시 2019년 102개였던 가맹점이 지난해 143개로 증가했다.

서울에서 개인 슈퍼마켓를 운영하다가 재고 처리와 소싱·마케팅 어려움 등으로 SSM으로 전환한 점주 A씨는 “생계를 위해 같은 사람이 같은 자리에서 간판만 바꿨는데 한 달에 두 번 문을 닫아야 하는 상황”이라며 “개인사업자가 한순간에 대기업과 같은 규제 대상이 돼버려 허탈하다”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취임 초 대형마트·SSM 규제 폐지를 내걸었고 여당을 중심으로 유통산업발전법 개정안이 발의됐지만 법안은 21대 국회에 이어 22대 국회에서도 여소야대 정국 속 표류하고 있다. 법이 개정될 기미가 보이지 않자 지방자치단체가 팔을 걷어붙였다. 대구시, 충북 청주시에 이어 서울 서초구·동대문구, 부산시가 대형마트의 의무휴업일을 휴일에서 평일로 전환했다. 서초구는 이달부터 전국 최초로 영업 제한 시간을 기존 8시간(오전 0~8시)에서 1시간(오전 2~3시)으로 축소했다.

업계 관계자는 “대형마트와 SSM 직영점 대상 규제 완화도 논의해야 하지만 사회적 합의에 상당 시간이 걸리는 만큼 우선 가맹점만이라도 규제 범위에서 제외시키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