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금 동결 시 재정 1조↑ 투입"… 예정처, 인상 필요성 제기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학 등록금 동결이 16년째 계속되는 가운데 대학 재정을 계속해서 정부 지원으로 보전할 경우 투입되는 재정은 해마다 최소 수천억원에서 최대 1조원 이상인 것으로 분석됐다.
분석 결과에 대해 예정처는 "등록금 인상 대신 정부의 재정지원 사업을 통해 대학 재정을 뒷받침하는 기조는 유지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며 "등록금 현실화를 포함해 지속가능한 대학정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수도권 국립대 등록금 인상률 15% 수준
등록금 인상 법정 상한선보다 높아
예정처 "재정 지원 기조 유지하기 어려워"
대학 등록금 동결이 16년째 계속되는 가운데 대학 재정을 계속해서 정부 지원으로 보전할 경우 투입되는 재정은 해마다 최소 수천억원에서 최대 1조원 이상인 것으로 분석됐다.
23일 국회예산정책처 '교육위원회 결산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예정처는 "등록금 3% 인상분을 재정으로 보전할 경우(2022년 등록금 수입 기준) 3230억원이 소요되며, 5% 인상 시 5383억원, 7% 인상 시 7536억원, 10% 인상 시 1조765억원이 소요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는 학령인구 감소, 지방소멸 위기 등으로 열악해진 대학의 수입을 보전하기 위해 정부가 대학에 재정 지원을 확대한 데 따른 것이다. 지난해 정부는 대학 지원을 위해 9조7000억원 규모의 고등·평생교육지원 특별회계를 신설했다. 고특회계는 교육청에서 유·초·중등교육에 쓰던 교육세 일부를 대학에 떼어주는 것이다.
지난해 일반재정지원의 대학별 배분 현황을 살펴보면 대학에 투입되는 재정은 늘고 있다. 수도권 국립대 5곳은 전년대비 84.4% 증가한 395억2000만원, 수도권 사립대 51곳은 전년대비 66.0% 증가한 4392억1000만원이 지원됐다. 지역 국립대 31곳에는 전년대비 53.1% 증가한 4312억2000만원, 지역 사립대 66곳은 전년대비 139.5% 증가한 6294억6100만원이 투입됐다. 지원율은 지역 사립대가 가장 높았으며 지원액은 지역 국립대가 가장 높았다.
이는 등록금 인상 가능 범위보다 높은 수준의 지원폭이다. 지난해 대학들이 등록금을 인상할 수 있는 법정 상한선(직전 3년 평균 소비자물가상승률의 1.5배)은 4.05% 수준이었다. 정부는 2012년 이후 등록금을 동결·인하한 대학에만 '국가장학금Ⅱ 유형(대학이 자체 기준으로 학생에게 주는 장학금) 지원금'을 지급해왔기 때문에, 지원금을 받기 위해선 상한선 안에서만 등록금을 올릴 수 있다. 올해는 전년보다 1%대 늘어난 5.64%다.
그런데 예정처가 2022년 대학별 등록금 수입과 일반재정지원 증가액을 비교한 결과 수도권 국립대학은 15.9%, 수도권 사립대학은 3.1%, 지역 국립대학은 11.9%, 지역 사립대학은 9.6%였다. 수도권 사립대학을 제외하고 모두 법정 상한선보다 더 많은 비중의 지원이 이뤄진 셈이다.
대학들은 그간 정부에 등록금 인상 규제 완화를 요구해 왔다. 실제 정부 지원금을 포기하고서라도 등록금을 올리는 대학들도 생겨나고 있다. 대교협의 지난 4월 대학정보공시 분석 결과에 따르면 올해 4년제 대학 193곳 중 26곳은 대학 등록금을 인상했다. 지난해에는 4년제 대학 중 17곳이 등록금을 올린 바 있다.
지난달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하계 대학총장세미나에서도 총장들은 "고특 회계가 3년 한시제로 벌써 2년이 흘러가는데 후속 조치가 있느냐", "대학 혁신을 위해서는 등록금 인상이 필요하다"는 등의 의견을 제시했다. 이에 대해 교육부는 "고등교육 재정을 확충하면서 학생과 학부모에게 직접적인 재정 부담을 높이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답했다.
분석 결과에 대해 예정처는 "등록금 인상 대신 정부의 재정지원 사업을 통해 대학 재정을 뒷받침하는 기조는 유지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며 "등록금 현실화를 포함해 지속가능한 대학정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박준이 기자 giver@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가수 벤 "아이 낳고 6개월만에 이혼 결심…거짓말에 신뢰 무너져" - 아시아경제
- '초가공식품' 패푸·탄산음료…애한테 이만큼 위험하다니 - 아시아경제
- 100명에 알렸는데 달랑 5명 참석…결혼식하다 인생 되돌아본 부부 - 아시아경제
- "황정음처럼 헤어지면 큰일"…이혼전문 변호사 뜯어 말리는 이유 - 아시아경제
- "범죄증거 있으니 당장 연락바람"…대구 기초의원들 딥페이크 협박피해 - 아시아경제
- "번호 몰라도 근처에 있으면 단톡방 초대"…카톡 신기능 뭐지? - 아시아경제
- "언니들 이러려고 돈 벌었다"…동덕여대 졸업생들, 트럭 시위 동참 - 아시아경제
- "'김 시장' 불렀다고 욕 하다니"…의왕시장에 뿔난 시의원들 - 아시아경제
- "평일 1000만원 매출에도 나가는 돈에 먹튀도 많아"…정준하 웃픈 사연 - 아시아경제
- 올해 지구 온도 1.54도↑…기후재앙 마지노선 뚫렸다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