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인으로 사는 길을 제시한 소설 <등대>

박용규 2024. 7. 22. 13:3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박용규 기자]

<등대>는 역사 소설이고, 팩션 소설이다. 역사적 팩트(사실)와 픽션(허구)이 어울어져 있어서 그렇다. 소설의 주인공은 서진하와 시라이 미유키(뒷날 미옥)이다. 두 사람의 아름다운 사랑 이야기가 전편에 담겨 있다. 재미와 감동을 듬뿍 준다.

또 다른 주인공으로 이준화와 서범규가 있다. 이준화와 서범규는 독자에게 정의감을 가득 심어준다. 김민환 작가는 이준화와 서범규를 통해, 핵심 요지를 제시하고 있다.

내가 나라의 주인이다
 
▲ 김민환, <등대>표지 김민환, <등대>, 솔출판사, 2024.
ⓒ 박용규
 
김민환 작가는 나주 출신으로 동학접주 나성대가 동학농민군을 이끌고 소안도로 들어왔고, 소안도 사람들을 모아 군사훈련을 시켰으며, 이때에 소안도 사람인 이준화, 이순보, 이강락, 이순찬 등에게 동학을 포교하였으며, 그래서 이들이 동학농민혁명에 합류하였다고 기술하고 있다.

작가는 장흥 석대들 전투(1894.12.15.(음력))에서 동학농민군이 궤멸당한 이후에도 소안도에서는 서당의 교육을 통해 동학사상이 젊은이들에게 스며들고 있었다고 한다.

소안도 맹선리에 거주하며 자신의 집에서 서당을 열어 가르치는 서범규 훈장을 등장시킨다. 나성대로부터 동학 책(「최제우 행장」, 「포덕문」, 「동학론」, 「수덕문」)을 전해 받은 서범규는 이들 책을 숙독하고 서당에서 동학 책을 학생들에게 가르친다.

이준화도 서당에 다니며 동학 책을 체계적으로 배우며, 자신과 나라의 현실을 깨달아 간다. 동학 공부는 1904년 러일전쟁 중에서 시작해서, 1907년 6월 헤이그 밀사 사건이 일어나기 전에 끝난다.

작가는 서범규를 통해 동학의 가르침(동학사상)이 '내가 주인이 되고, 백성이 주인이 되며, 우리 민족이 주인이 되는 새 길을 제시하였다'고 아래와 같이 강조하고 있다.
 
서범규 : "동학이 우리한테 새로운 세상으로 가는 길을 열었다고 할 수 있어. 그야말로, 동학이 칠흑 같은 어둠 속에서 우리한테 새 길을 밝힌 것이여. 간추리자면, 내가 주인이 되어야 해. 백성이 주인이 되어야 해. 또한, 우리 민족이 주인이 되어야 해. 내가, 백성이, 민족이 주인 노릇을 제대로 할 때, 천도에 이를 수 있어."(201쪽)
 
김민환 작가는 "주인 된 나, 주인 된 백성, 주인 된 민족이 되면" 새로운 세상으로 갈 수 있다. 그 새로운 세상으로 가는 길을 동학이 제시하였다고 밝히고 있다. 동학은 새로운 세상을 '다시개벽'이라고 한다. 그러니 우리 모두는 주인 된 나, 주인 된 백성, 주인 된 민족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등대>에서 작가가 강조하는 핵심 요지이다.

내가 주인이 되지 못할 때, 백성이 주인이 되지 못할 때, 우리 민족이 주인이 되지 못할 때는 절대로 새 세상으로 가는 길을 열 수 없다는 것이다. 김민환 작가의 엄숙한 분석이다. 필자는 이 분석에 경탄하며 동의한다.

최제우는 동학 경전(<동경대전>·<용담유사>)을 통해, 동학 경전을 읽은 사람과 사람마다가 주인(=하느님)이니, 각자가 주인 노릇을 당당히 해야 하며, 우리 백성이 주인 노릇을 해야 하며, 우리 민족이 주인 노릇을 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임금·양반이 주인이 아니고 모든 사람이 주인이고, 군주가 주인이 아니고 우리 백성이 주인이며, 서양 강대국과 타민족이 주인이 아니고 우리 민족이 주인이라는 것이다.

즉 주인이 된 나로 살 것인지, 아니면 남에게 예속된 나로 살 것인지를, 주인이 된 백성으로 살 것인지, 아니면 신분제에 속박된 백성으로 살 것인지를, 주권을 가진 주인이 된 우리 민족으로 살 것인지, 아니면 타민족의 지배를 받는 예속된 민족으로 살 것인지를 최제우는 강력히 성찰하라고 말하였다. 당연히 최제우는 주인이 된 나·주인이 된 백성·주인이 된 민족으로 살아야 함을 역설하였다.

나라의 주인임을 실천하는 소안도 사람들

동학 공부를 통해 나라의 주인임을 자각한 소안도 사람들이 의병을 자처하며, 1909년 2월 24일(음력 2월 5일)에 일제가 우리나라 침탈의 도구로 만든 당사도 등대를 습격하는 의거를 감행하였다. 일제는 1909년 1월 14일에 일본 화물선과 일본 군함을 위해 당사도에 등대를 세웠다.

김민환 작가는 동학 공부를 통해 나라의 주인임을 깨달은 소안도 사람들이 독립운동에 나서는 장면을 이렇게 보여주고 있다.
 
이준화 :"우리가 자네 아부지인 훈장님한테 동학 공부를 했는디, 보국이 바로 동학 정신이라고 하셨네. 잘못된 것이 있으면 바로잡는 것이 보국이라고 하셨어. 이 나라를 지키고 살자면, 저 등대는 때려 부수는 것이 맞네."(292쪽)

여기서 등장한 보국은 동학에서 강조하는 핵심 사상인 보국안민(輔國安民)의 그 보국이다. 보국(輔國)은 잘못된 나라를 바로잡는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위정척사 사상을 가진 유생들이 즐겨 쓴 보국(保國)이 아니다. 그 보국(保國)은 신분제를 유지하는 기존의 나라를 그대로 지키고 보존한다는 뜻이다. 동학의 보국(輔國)은 탐관오리를 척결하고 신분제를 폐지하며 침략자 일본을 우리 강토에서 몰아낸다는 척왜(斥倭)까지 포함하고 있다.
 
이준화 : "왜놈들이 우리나라를 삼킬라고 혈안이 되어 있는 판국인디, 우리가 저 등대를 부수면, 우리의 행동, 우리의 거사가 소안도 청년들, 완도 청년들, 나아가 대한 청년들한테 좋은 지침이 되지 않겄는가? 그렇게 된다면, 등대를 부수는 것이야말로 새 등대를 세우는 일이 아니고 뭣이겄는가?"(294쪽)

새 등대를 세우는 일은 나라의 주권을 되찾는 일이다. 나라의 주권을 되찾는 일을 독립운동이라고 한다. 당사도 등대 습격 의거는 이후 소안도와 전국의 독립운동 전개에 불쏘시개로 작용하였다. 당사도 등대 습격 의거 이후 소안도와 완도 등에서 활발한 독립운동이 일어났음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소안도 출신 항일 독립운동가로 89명이 배출되었는데, 그 가운데 22명이 독립유공자 서훈을 받았다. 일본 헌병에 의해 이준화는 총살을 당하였다. 이준화 외 5인의 당사도 의거는 우리 역사에 새겨졌고, 소설 <등대>에 의해 다시 부활하였다.

역사적 팩트(사실)를 제시한 사례

소설 <등대>가 돋보이는 이유는 역사적 팩트(사실)를 제시하고 있다는 데에 있다. 몇 개 사례만 들겠다.

첫째, 1894년 12월 소안도 동학농민혁명 지도자 이강욱·나민홍·이순칙이 관군에 의해 총살당한 사실을 기록하고 있다. <등대>에서 "소안도에 사는 이강욱이나 나민홍, 이순칙이라는 자들도 장흥의 동학도와 선을 대고 포교를 했고요.(중략) 관군은 그런 사실을 파악하고 동학도 일곱 명을 붙잡아 청산도로 끌고 가, 마을 사람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이강욱과 나민홍, 이순칙, 그 세 사람을 처행했지라우. 박경삼 등 네 사람은 사경을 헤맬 만큼 곤장을 맞고 풀려났다."(77쪽) 이러한 사실은 동학농민혁명 1급 사료인 <갑오군정실기>9의 「거문도첨사 권동진이 보고함」(갑오 12월 16일)에 나오고 있다.
  
▲ ?거문도첨사 권동진이 보고함?(갑오 12월 16일), <갑오군정실기>9. 소안도 동학농민혁명 지도자 이강욱·나민홍·이순칙이 관군에 의해 총살당한 사실을 기록.
ⓒ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둘째, 청산진(靑山鎭)의 관군이 소안도 동학농민혁명 지도자였던 이순보·이강락을 총살한 사실을 기술하고 있다. <등대>에서 "별포군은 다른 사냥감을 찾아 나선다. 그들은 소안도 이 마을 저 마을을 뒤져 동학도 열여 명을 붙잡아 청산영으로 데려간다. 별포군은 '흉포한 소안도 동학 괴수들'이라며, 청산도 사람들 앞에서 이순보와 이강락을 총살한다. 두 사람이 동학도이긴 하나, 관에 대든 적도 없고 다른 이에게 행패를 부린 적도 없다. 그 둘은 남달리 허우대가 클 뿐이다."(95쪽)

이순보·이강락 총살 사실은 <소안항일운동사료집>(1990)과 <완도군지>(1992)에 나온다. 최근에 필자는 이순보(李順甫)와 이강락(李康洛)이 1894년 11월 16일 같은 날에 서거하였고, 이들이 사촌 사이였음을 확인하였다. 이처럼 1894년 11월 16일 이순보와 이강락은 관군에 의해 처형되었던 것이다.

이순보와 이강락은 모두 본이 전주이씨이고, 효령대군파 19세손이었다. 이들은 임진왜란 때인 1593년에 의병을 일으켜 진주성에서 순절한 이잠(李潛, 1561∼1593. 선무원종공신 2등에 서훈)의 11대손이다.

이순보의 손자인 이정동(李廷東, 1905∼1983)은 1927년 11월 26일 완도청년동맹 소안지부 결성 석상에서 「배달청년회 해체에 따른 선언문」을 낭독하여 민족해방운동의 선구대로서 활동하도록 고취하다가 당일 일본 경찰에게 피체되었고, 1년 4개월간 옥고를 치렀다. 그 공로가 인정되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에 추서되어 독립유공자로 인정되었다.

셋째, 1909년 5월 일제가 이완용 매국 내각에 당사도의 등대가 의병들에게 피해를 입은 것과 관련된 여러 가지 비용을 청구해서 받아간 사실을 기록하고 있다. <등대>에서 "이완용 내각은 의병 진압비 3만 2천5백73원, 피해 유족 급여금 1천8백원, 등대 피해 비용 1천7백4원 등을 예비비에서 꺼내 일본측에 배상한다."(315쪽) 이러한 사실은 <순종실록>3권의 '순종 2년(1909년) 5월 24일'자에 나온다.

넷째, 당사도 등대 습격 의거에 참여한 소안도 비자리 출신 이순찬을 기록하고 있다. 작가의 습격 의거 추적이 참으로 돋보이는 부분이다. 필자가 확인한 바 이순찬(李順贊, 호적 이름은 이강식)은 이순보의 친동생으로, 41세 때 동학농민혁명에 참여하였고, 56세 때 당사도 등대 습격 의거에도 참여하였다.

<등대>에 나오는 동학접주 나성대(羅成大)와 소안 비자리 출신 이준화(李俊和)는 실존 인물이다. 그러나 이들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소안항일운동사료집>(1990)과 <완도군지>(1992)에는 이준화를 '李準化'로 기록하고 있다. 생몰연대도 확인이 안 된다. 현재까지 그 실체를 알 수 없다. 앞으로 밝혀야 한다. 주인으로 사는 길을 제시한 <등대>가 우리 국민의 뜨거운 사랑을 받기를 바란다.

덧붙이는 글 | 다른 매체에 송고한 바가 없음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