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가 된 '햄릿', 성별만 바꾼 게 아니다
[안지훈 기자]
▲ 연극 <햄릿> 공연사진 |
ⓒ 국립극단 |
이번 여름 극장가에는 '셰익스피어 열풍'이 불고 있다고 할 만하다. 정동환, 전무송, 박정자 등 원로 배우들이 총출동한 <햄릿>이 현재 서울 대학로 아트센터 대극장에서 공연되고 있고, '천만 배우' 황정민의 <맥베스>도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얼마 전 개막했다.
여기에 국립극단이 또 다른 <햄릿>을 선보이고 있다. 2021년 백상예술대상에서 연극 부문 여자 연기상을 수상한 이봉련을 앞세운 <햄릿>이다. 원작의 햄릿 왕자가 아닌 햄릿 공주를 탄생시켰고, 이에 따라 햄릿이 사랑한 '오필리어'도 여자가 아닌 남자로 재탄생했다. 배역의 성별만 바꾼 것이 아니라, 이야기마저도 각색해 신선한 햄릿의 이야기를 그려낸다.
원작에서는 햄릿이 복수를 하는 과정에서 인간성에 기반한 고뇌를 거듭하고, 마지막 순간 복수가 진정 유의미한 것이었는지 자문하며 삶을 돌아본다. 하지만 국립극단과 이봉련이 선보이는 <햄릿>에서는 그 고뇌가 잘 드러나지 않는다. 오히려 햄릿은 다음과 같이 말하며 복수를 자행한다.
"착한 공주는 할 수 있는 게 없지만 악한 공주는 뭐든지 할 수 있지."
원작에서는 아버지에 대한 복수심이 크게 느껴졌다면, 각색을 거친 <햄릿>에서는 자신이 왕좌를 차지하지 못한 것에 대한 미련이 이따금씩 느껴졌다. 모두가 죽는 마지막 순간, 햄릿이 상처입은 몸을 이끌고 왕좌까지 걸어가 왕관을 쓰는 모습은 그야말로 새롭다.
그렇다면 무엇이 햄릿으로 하여금 '악한 공주'가 되도록 했는가? 햄릿을 둘러싼 말도 안 되는 일들과 그런 일들이 일어나도록 한 세상이다. 우리는 그 세상을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어떤 세상인가?
왕위를 노린 왕의 동생이 자신의 형을 죽이고 왕위에 오른다. 그는 형의 아내마저 탐하여 결혼한다. 햄릿은 자신의 아버지를 죽이고 어머니를 빼앗은 삼촌을 향해 복수를 다짐한다. 이것이 익히 알려져있는 <햄릿>의 스토리다. 국립극단의 <햄릿>도 이런 스토리 라인을 따른다.
▲ 연극 <햄릿> 공연사진 |
ⓒ 국립극단 |
연극의 시작과 끝은 죽음에 대한 조사위원회가 열리는 장면이다. 첫 번째로 선왕의 죽음에 대한 조사위원회가 열린다. 여기서 선왕은 사고로 죽은 것으로 판명되고, 선왕의 동생인 '클로디어스'가 왕위에 오른다. 이후 마지막 장면 전에 조사위원회가 한 번 더 등장한다. 두 번째 조사위원회에서는 충신 '플로니어스'의 죽음에 대한 논의가 이뤄지고, 마지막 세 번째 조사위원회에서는 모두의 죽음에 대한 논의가 이뤄진다.
플로니어스를 죽인 건 햄릿이지만 두 번째 조사위원회에서 진상은 딱히 밝혀지지 않는다. 그리고 이후 햄릿이 복수를 자행하고 일시적이지만 왕위에 오른다. 이런 햄릿도 얼마 지나지 않아 죽게 되고, 모두의 죽음에 대한 조사위원회가 열리게 된다. 그리고 그 결과, 이웃 국가의 통치자인 '포틴브라스'가 위기를 수습할 총독으로 추대된다.
새로운 지도자가 된 포틴브라스는 영토 확장의 야욕을 가진 인물이다. 이쯤에서 돌이켜보면 조사위원회가 진상을 밝히는 기능을 했다기보단 나름의 야욕을 가진 인물들이 권력을 움켜쥐는 데 기여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조사위원회 이후 권력을 쥔 인물의 권력이 영원했는가? 그렇지 않다. 클로디어스의 권력은 저물었고, 햄릿도 마찬가지다. 이전의 사례들을 토대로 귀납적으로 추론해보면, 포틴브라스의 권력도 언젠간 무너질 것이다. 권력은 유한하다.
아이러니하게도, 연극에서 권력을 만들어낸 조사위원회만 무한하다. 조사위원회는 처음부터 끝까지 흔들림없이 자신의 자리를 지키고, 새로운 권력을 만들어낸다. 그렇다고 해서 조사위원회가 사라져야 하는 건 아니다. 조사위원회는 사건의 진상을 규명하기 위해 만들어진 합리적인 장치이며, 따라서 조사위원회는 필요하다. 이것 역시 아이러니하다. 합리적인 장치가 비합리적인 결과를 만들어냈다는 사실 말이다.
문득 <햄릿>이 그려내는 세상을 보며 독일의 사회학자 막스 베버(Max Weber)가 떠올랐다. 합리성의 지나친 추구는 결국 우리를 '쇠 우리(iron cage)'에 가둬 억압할 것이라는 베버의 설명이 뇌리를 스쳐 지나갔다. <햄릿> 속 세상은 분명 그런 세상이었다.
이런 생각이 들자마자 <햄릿>의 세상은 어디이고 언제인지, 그 배경을 묻게 됐다. 원작은 12세기 덴마크를 배경으로 하고 있지만, 국립극단이 각색한 <햄릿>은 그렇지 않다. 극중 대사에 따르면 "어느 때, 어느 곳"으로, 배경을 특정해두지 않았다. 바꿔 말하면 어느 때, 어느 곳이든 이야기를 적용할 수 있다는 말이다.
한편, <햄릿>은 오는 29일까지 국립극단 명동예술극장에서 공연된다. 이봉련을 비롯해 김수현, 성여진, 김용준, 류원준, 안창현 등이 원캐스트로 출연한다.
▲ 연극 <햄릿> 공연사진 |
ⓒ 국립극단 |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재벌 무례함 앞에 고개 숙인 이 남자가 씁쓸한 까닭
- "윤석열 단골 한우집, 불법 영업에도 총리 표창... 적절한지 의문"
- 뻔했던 '놀면 뭐하니' 노동 체험, '사입 삼촌'이 살렸다
- '동정녀' 수녀가 밝혀낸 수녀원의 추악한 진실
- 뉴진스 '버블검' 표절 의혹 제기, 영국 재즈 밴드는 누구?
- 5남매 중 셋째 금쪽이의 폭력성, 엄마도 몰랐던 뜻밖의 원인
- 남자의 히치하이킹 거절한 여자, 심상치 않은 이들의 인연
- 몰려드는 중국인 손님들, '서진이네2' 또 다른 고민거리
- 도쿄 시내 점령한 케이팝 패션, 15년 살면서 처음 봅니다
- 90세 레즈비언 신혼부부가 말하는 '결혼제도'의 모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