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년 전 오디션 본 작품을 영화로... 이 여성 감독을 주목하라

최해린 2024. 7. 22. 10:3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리뷰] 영화 <이매큘레이트>

[최해린 기자]

※ 영화의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시드니 스위니 주연의 공포 영화 <이매큘레이트>가 극장 개봉했다. '무결함'이나 '완벽함'이라는 뜻을 지닌 영단어 'Immaculate'를 제목에서 삼은 데서 짐작할 수 있듯이, 영화는 한 수녀가 홀로 '죄 없이' 임신하면서 일어나는 일들을 다룬다.

어디선가 들어 봄직한 소재 때문에 뻔한 영화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이매큘레이트>는 작중의 간접 언어와 작품 밖의 독특한 프로듀싱 과정 덕분에 여타의 공포 영화들 사이에서 두각을 드러낸다.
  
 영화 <이매큘레이트> 포스터
ⓒ 네온
 
서브텍스트의 유려한 활용

<이매큘레이트>의 플롯은 단순하다. 이탈리아로 오게 된 미국 출신의 수녀 '세실리아'가 수녀원 내에서 갑자기 임신을 하게 되고, 이를 너무나도 쉽게 기적으로 받아들이는 수녀원 사람들에게 수상함을 느끼고 거듭 탈출을 계획하는 이야기다.

원치 않는 임신, 이를 둘러싼 음모, 그리고 그 주동자들을 처단하는 방식의 공포 영화가 본작만의 특성은 아니다. 2022년 6월 24일에 미 법원이 낙태권을 보장하는 데 쓰이던 '로 대 웨이드 판결'을 뒤집으면서, 여성의 신체적 자기결정권이 침해되는 일에 대한 우려를 드러내는 영화들은 곳곳에서 제작되어 왔다. 불과 올해 4월에 개봉한 영화 <오멘: 저주의 시작> 역시 수녀의 임신이라는 소재와 공포 장르의 결합을 유사하게 다룬 바 있다.

하지만 <이매큘레이트>는 서브텍스트(직접적인 대사가 아닌 곳에서 드러나는 주제 의식) 의 유려한 활용을 통해 그 개성을 입증한다.
 
 영화 <이매큘레이트> 스틸컷
ⓒ 네온
 

작중 주인공 세실리아는 아직 이탈리아어에 능통하지 않은 미국 출신의 인물이다. 따라서 세실리아는 이야기 전개 내내 다른 등장인물들의 이탈리아어 대화를 알아듣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는데, 이는 2003년 영화 <사랑도 통역이 되나요?>와 유사한, '언어적 소외'를 통해 외로움을 드러내는 방식이다.

자기 의사와는 상관없이 성녀로 추앙받거나 창녀라는 소리를 듣는 세실리아의 여정을 보면, 여성·소수자 당사자들의 이야기는 들리지 않는 정치적 논쟁 현장을 떠올릴 수밖에 없다.

이외에도 <이매큘레이트>는 세실리아의 임신을 둘러싼 이견을 보이는 수녀를 정신병자로 몰아가는 상황이나, 예수의 상처를 예로 들며 '고난은 사랑이다'라고 강조하는 수녀원장의 모습을 통해 여성의 목소리를 원천 차단하는 종교적 억압을 강조하기도 한다.

비슷한 소재를 다룬 <오멘: 저주의 시작>이 악마나 빙의와 같은 장르적 특성을 통해 해당 요소를 부각한 것과는 대조되는 모습이다. 한편 <이매큘레이트>는 초자연적 요소에 의존하지 않으면서 자칫 약해질 수 있는 호러 장르의 특성을 이따금 '툭 튀어나오는' 점프 스캐어, 그리고 단단한 심리적 묘사로 대체한다.

시드니 스위니가 직접 나섰다

<이매큘레이트>는 작품 자체만 놓고 보아도 완성도 있는 영화라고 평할 수 있지만, 본작이 제작되기까지의 과정은 이 영화의 특별함에 한 층위를 더해 준다.

주연을 맡은 시드니 스위니는 본작의 프로듀서로도 참여했는데, 9년 전 <이매큘레이트>의 원안이 되는 영화 오디션을 보았으나 제작이 불발됐다고 한다. 이후 <유포리아> 그리고 <핸드메이즈 테일> 등의 작품으로 몸값을 올린 후 어린 시절 자신의 마음을 끌었던 각본을 다시 찾아, 약간의 각색 끝에 <이매큘레이트>를 다시 만들게 되었다는 것이다.

영화의 제작자로 참여하는 것이 단순한 '금전적 지원'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으나, 할리우드에서 프로듀서란 창작 과정에도 깊이 관여하는 존재다. 데이비드 린치 등 작가주의 감독들도 스튜디오·프로듀서와의 갈등 끝에 작품을 수정한 적이 있을 정도다. 이러한 프로듀서와 창작자 간의 괴리는 미 영화 업계의 고질적인 문제로 지적되기도 했다. 하지만 시드니 스위니를 비롯한 배우 당사자들이 프로듀싱에 직접 나서면서, 프로듀서-창작자 사이의 경계는 나날이 더 허물어지고 있다.

또 하나 주목해야 할 포인트는 할리우드의 여성 배우들이 이러한 프로듀싱·창작의 세계에 직접 나서고 있다는 점이다. 엠마 스톤은 최근 본인이 주연한 영화 <가여운 것들>의 프로듀서를 직접 맡았고, <듄: 파트 2>나 <챌린저스> 등으로 흥행 가도를 달리고 있는 젠데이아는 영화 촬영장에서 제작에 대해 배우며 감독 데뷔작을 준비하고 있다는 인터뷰를 한 적도 있다.
 
 영화 <바비> 스틸컷
ⓒ 워너브라더스
 

영화배우로 일하다가 <레이디 버드>와 <작은 아씨들>을 통해 감독으로서의 역량을 입증하고 <바비>의 10억 달러 흥행을 통해 박스 오피스 장악 능력까지 보여준 그레타 거윅 감독은 이러한 최근의 경향성이 성공적일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해 주기도 한다.

이처럼, <이매큘레이트>는 작품 내적으로도 의미 있는 공포 영화이며 작품 외적으로는 떠오르는 신진 여성 프로듀서들의 가능성을 보여 주는 지표이다. <이매큘레이트>의 성공을 통해 시드니 스위니의 프로듀서로서의 여정이 더욱 순탄해지기를, 그리고 스위니와 같이 프로듀싱에 참여하는 여성 제작가들이 늘어나 창작가들과 상부상조하며 시대에 필요한 이야기들을 담대하게 펼쳐낼 수 있게 되기를 기도해 본다.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