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장 수출국 1위' 한국…사람도 돈도 다 떠난다 [엑시트 코리아]
" 한국은 기업 수출대국(big exporter)이다. " 미국 제조기업의 복귀를 지원하는 단체 ‘리쇼어링 이니셔티브’는 지난 5일 낸 2023 연례 보고서에서 한국을 이렇게 진단했다. 지난해 미국에 새로 생긴 일자리 28만7299개 중 14%가 한국에서 나왔다고 분석하면서다. 한국의 미 일자리 기여도는 세계 1위였다.
반면, 한국은 비어가고 있다. 제조 기업들이 원가 절감을 위해 공장을 동남아로 옮긴 데 이어, 반도체·배터리 등 첨단기술 기업들이 정책 보조금 많은 미국·유럽으로 나가면서다. 2022년 한국에 순유입된 외국인직접투자(FDI)는 국내총생산(GDP)의 1.5%에 불과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국 중 30위다. 이에 비해 한국 기업들의 해외직접투자(ODI)는 2018년 이후 5년간 22.2% 늘었다. 지난해 633억8000만달러(약 87조7800억원)에 이르렀고, 5년간 총 3454억4000만달러(약 478조4700억원)를 기록했다.
이상호 한국경제인협회 경제산업본부장은 “이러다 산업이 공동화될까 우려된다”며 “한국 기업들이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따라 해외로 갈 수밖에 없다면, 정부는 일본이나 동남아로 향하는 글로벌 기업들을 국내에 유치하기 위해 규제·노동시장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라고 말했다.
“한국 떠나는 게 합리적 선택”이라니…
2차전지 소재인 동박 제조사 SK넥실리스는 지난해 11월 말레이시아 코타키나발루 공장 가동을 시작했다. 전기 요금과 인건비 등 원가 경쟁력이 높은 이곳에 국내 정읍 공장 물량을 최대한 이관해 수익성을 높일 계획이다.
원가 외에, 경직된 규제 때문에 해외로 눈 돌리는 기업도 있다. 샴푸·린스 제조업체인 A사는 반려동물 시장이 급성장하자 동물용품 사업을 추진했다. 하지만 국내에선 기존 설비로 동물용 목욕 용품을 제조하면 불법이 된다. 동물용 의약외품이라 별도 규정에 맞는 시설과 인력을 갖추고 검역본부장에게 별도로 신고해야 한다. 이 회사는 베트남에 공장을 짓는 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해외에선 한국 첨단기술 기업 유치 경쟁이 뜨겁다. 석유 경제를 디지털·기술 기반 경제로 전환하려는 사우디아라비아는 최근 국내 반도체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중소기업 다수와 미팅을 했다. 사우디 측과 만났던 국내 반도체 기업 관계자는 “사우디가 ‘돈은 얼마든 쓸테니 어떻게든 모래 위에 공장을 지어달라’는 식이었다”라며 “한국에선 별다른 혜택 없이 힘겹게 투자해온 터라, 사우디 제안을 받고 좀 허탈해졌다”라고 말했다.
미국은 각 주 정부의 주지사들이 ‘영업사원’을 자처하고 있다. 지난 8일 방한한 그레그 애벗 텍사스 주지사는 시간 단위로 일정을 쪼개가며 한국 기업들을 만났다. 텍사스는 주 정부 차원에서 반도체법을 따로 만들었다. 애벗 주지사는 지난 9일 국내 기자들과 만나 “텍사스 칩스법을 통해 조성한 기금으로 반도체 산학 연구를 지원할 수 있을 것”이라며 “반도체 외에도 지난 5년간 거의 모든 제조업 공장을 유치하려고 애썼다”라고 말했다. 세아그룹은 이날 텍사스주에 1억 달러 이상을 투자해 특수합금 공장을 짓겠다고 발표했다.
조지아주는 세제 정책으로 한국 기업을 설득 중이다. 미국의 높은 인건비를 부담스러워하는 한국 기업들을 위해 지역 평균보다 급여를 10% 더 주는 외국 기업엔 5년 간 직원 1인당 5000달러의 세액공제와 최대 10년까지 세액감면 혜택을 준다. 한국과 조지아주의 무역 규모는 지난해만 158억 달러로 주 전체 교역의 10%를 차지하며, SK이노베이션·금호타이어·LX하우시스 등 140여개의 한국 기업 공장들이 ‘코리안 벨트’ 이룰 정도다. 인디애나주는 한국에 사무소를 열고 한국 중소기업까지 유치 중이다. 조지아에 진출한 한 소재 업체 관계자는 "미국 진출을 결정하기까지는 쉽지 않았지만 다양한 인센티브와 비즈니스에 친화적 환경을 보고 나갔다"라고 말했다.
“첨단산업 생태계 키워 투자도 유치”
전문가들은 한국 정부가 기업 친화적인 환경에 나서야 한다고 말한다. 조철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기업이 해외로 계속 나가기만 하면 내수가 상당히 타격을 입을 것”이라며 “첨단기술 대기업들과 연결된 소재⋅부품⋅장비 생태계를 국내에서 키우고, 대기업의 해외 이전을 소부장 기업의 수출 길로 활용하기라도 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신산업을 육성해 글로벌 산업자본이 한국의 생태계에 투자할 이유를 만들어야 한다는 조언도 나온다. 조성대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 실장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첨단 반도체를 아직 국내에서 만들고 있으니, ASML 같은 해외 반도체 장비 기업들도 한국을 찾고 중소기업들에도 기회가 생긴다”라며 “생태계 전체의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산업이 반도체 말고도 더 있어야 한다”라고 진단했다.
박해리·최현주 기자 park.haelee@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친가는 핏줄을 의심한다” 외갓집이 용돈 더 주는 이유 | 중앙일보
- "동남아서 7000원 발마사지 받고 수술…죽을 뻔했다" 무슨 일 | 중앙일보
- "RRR이면 무조건 사라"…중소기업맘 30억 아파트 쥔 비결 | 중앙일보
- "당장 금메달 줘야한다" 몽골 올림픽 단복 극찬…어땠길래 | 중앙일보
- 방콕 유명 호텔서 6명 숨진 채 발견…'7번째 투숙객' 추적 중 | 중앙일보
- "계란말이 먹고 9억 저축, 비참하다" 조기은퇴 꿈 무너진 남성, 왜 | 중앙일보
- 드라마서 전처 김보연과 재회…전노민 "합의된 내용 아니었다" | 중앙일보
- '황희찬 인종차별' 구단 적반하장…"재키 찬이라 불렀다" | 중앙일보
- "어디 사세요?" 이 질문이 대화 망친다…'습관의 힘' 그 저자 꿀팁 | 중앙일보
- 고추·배추 수확할 때도 기계화율 0%…사람 손만 쓰는 이유 [위기의 국민작물]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