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우버 최고위급 방한…규제에 묶인 K모빌리티 재공략 | 팩플

윤정민 2024. 7. 16. 16:4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모빌리티 플랫폼 우버가 한국 시장 재공략에 나섰다. 2015년 카풀 형태 승차공유 서비스 우버 엑스(X) 퇴출 이후 명맥만 이어갔던 국내 서비스를 재정비하고 공격적으로 시장 점유율 확대를 노리고 있다.

송진우 우버택시 대표가 16일 서울 종로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서비스 이름을 '우티'에서 '우버'로 바꾸는 등 리브랜딩을 진행한 이후의 성과와 '우버 블랙' 서비스 재개를 비롯한 향후 사업 계획에 대해 밝히고 있다. 뉴스1


무슨 일이야


16일 모빌리티업계에 따르면 우버의 토니 웨스트 최고법률책임자(CLO)가 지난 5월 말 한국을 비공개 방문했다. 버락 오바마 정부에서 법무부 차관을 지낸 토니 CLO는 우버의 사업 관련 주요 결정이 필요할 때 나서는 핵심 인사다. 2020년 비공개 방한 이후엔 우버와 SK텔레콤 티맵모빌리티 간 합작 법인 설립 계획이 발표됐고, 2021년 4월 ‘우티’가 설립됐다. 웨스트 CLO는 이번에도 국내 우버 관계자들을 만났고, 국회를 찾아 모빌리티 관련 인사들과 면담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버의 한국법인 우버택시 관계자는 “한국이 우버에 매우 중요한 시장이기 때문에 점검차 방문한 걸로 안다”며 “공격적 마케팅으로 국내에서 존재감을 키워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게 왜 중요해


지난달 한국을 방문한 토니 웨스트(가운데) 우버 최고법률책임자(CLO)가 국회 로텐더홀에서 송진우 우버택시 대표(왼쪽에서 네번째) 등 관계자들과 기념사진을 촬영했다. 우버 CLO는 사진을 자신의 SNS 계정에 업로드했다. 사진 토니 웨스트 CLO 링크드인
우버는 최근 동북아시아(한국·일본·대만) 시장을 집중 공략하고 있다. 이미 클만큼 큰 북미 시장 대신, 아시아와 유럽 등 성장 여력이 충분한 지역으로 눈을 돌리는 것. 실제 지난해 북미에서 매출 성장률은 한자릿수에 머물렀지만, 아시아에선 30% 가량 늘었다. 이에 따라 우버는 라이드헤일링(차량 호출) 할인과 음식배달 할인 혜택을 묶은 ‘우버 원’ 구독 상품의 학생 버전을 출시하며 일본을 1차 도입국에 포함시켰다. 우버이츠에서 코스트코 물건을 주문할 수 있는 서비스도 일본에 출시했다. 또 지난 5월에는 대만 1위 배달앱 ‘푸드판다’를 약 1억 3000억원에 인수했다.

한국에선 외국인이나 기업 고객 등을 노린 프리미엄 서비스 블랙을 16일 재출시하며 사업을 확장 중이다. 기존에도 서비스는 있었지만, 요금제를 새롭게 정리하고 기사를 확보해 이 시장을 제대로 공략하겠다는 것. 지난 2월 서비스 이름을 우티에서 ‘우버’로 바꾸는 등 리브랜딩도 진행했다. 사업 철수를 검토 중인 티맵의 지분을 인수해 단독 사업에 나설 수 있단 전망도 나온다. 이날 기자간담회를 연 송진우 우버택시 대표는 “한국 시장에서 성장을 확신한다. 과거 2년과는 확실히 달라진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걸 알아야해


지난해 2월 14일, 유성욱 공정거래위원회 시장감시국장이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카카오모빌리티에 대한 제재 내용을 발표하고 있다. 당시 공정위는 카카오모빌리티가 자회사 가맹택시에 콜을 몰아주기 위해 배차 알고리즘을 조작했다며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을 부과했다. 뉴스1

우버의 움직임이 더 위협적인건, 국내 업체들이 규제 등으로 성장 정체상태여서다. 카카오모빌리티(카모)의 경우 택시 호출 시장에서 90% 이상의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지만, 각종 규제와 정치권·택시업계 등의 강한 압박 때문에 새로운 시도를 하기 어렵다. 지난해 윤석열 대통령이 직접 “택시에 대한 횡포가 매우 부도덕하다”며 카카오를 비판했고, 공정거래위원회는 ‘콜 몰아주기’와 관련해 271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현재 금융위원회 증권선물위원회(증선위)에서도 카모의 ‘매출 부풀리기’ 관련 제재를 검토 중. 이르면 오는 17일 열릴 증선위 회의에서 징계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이같은 상황으로 인해 카모는 수수료 및 관리 권한을 축소한 새 가맹택시 모델을 내놓는 등 시장 장악력을 스스로 낮추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다른 국내 업체 역시 규제로 인해 성장하기 어려운 상태다. 타다가 대표적이다. 2020년 3월, 과잉 규제 논란 속에서도 국회는 ‘타다 금지법(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 개정안)’을 통과 시켰고, 타다는 핵심 서비스였던 타다 베이직(기사 포함 승합차 렌트)을 포기해야 했다. 이후 2021년 토스에서 인수했고, 지난 1월 토스가 100억원을 추가 투입하며 타다 살리기에 나섰지만 여전히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다. 최근들어서야 구조조정과 신규 서비스, 마케팅 투자 등을 통해 재도약을 모색 중인 상태다.


앞으로는


지난해 카모의 매출은 약 6000억원, 우버는 약 51조 7000억원이었다. 덩치가 큰 우버의 재공습이 본격화하면서 국내 시장 지배자인 카모의 아성에도 균열이 생길지 관심을 모은다. 이용자 입장에선 경쟁이 치열해지면 혜택을 보겠지만 업계에선 다른 분야처럼 모빌리티 역시 해외 빅테크로 인해 국내 업체가 경쟁력을 상실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실제 우버는 지난 4월 부산에 진출한 뒤 공격적으로 마케팅을 했고, 5월 들어 부산 공공택시 플랫폼 동백택시의 호출 건수는 15만 4378건으로 2년전 동기(45만 2534건) 대비 60% 정도 줄었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인터넷 생태계를 유튜브가 집어 삼킨 것처럼, 모빌리티 등 다른 시장에서도 같은 일이 벌어지지 말라는 법은 없다”고 말했다.

윤정민 기자 yunjm@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