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비디오테이프·워크맨…1000년 뒤 서울에선 뭐가 발굴될까

권근영 2024. 7. 15. 14:2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롯데뮤지엄 대니얼 아샴 개인전 ‘서울 3024-발굴된 미래’
롯데뮤지엄 전시장 바닥을 도시유적박물관처럼 만든 대니얼 아샴의 '발굴 현장'. 3024년 서울에서 유적 발굴을 한다면 비디오테이프, 기타가 나오지 않을까 하는 이야기를 입혔다. 권근영 기자


칸칸이 나뉜 바닥에 붓ㆍ채ㆍ끌 같은 발굴 도구들이 놓였다. 이 발굴 현장의 주인공은 금속활자나 도기 파편이 아니다. 분홍색ㆍ파란색 석고로 만든 워크맨, 귀퉁이가 부식된 비디오테이프, 펜탁스 K1000 카메라, 부서진 기타 따위가 이름표와 함께 소중하게 놓였다. ‘미술 고고학자’ 대니얼 아샴(44)의 신작 ‘발굴 현장’이다. 지난 12일부터 서울 송파구 롯데뮤지엄에서 열리고 있는 그의 개인전 ‘서울 3024-발굴된 미래’에 나왔다. 에비뉴엘 6층, 명품관에 있는 미술관 바닥을 도시유적박물관처럼 꾸몄다.

'3024년 북한산에서 발견된 투구를 쓴 아테나 여신'. 사진 대니얼 아샴 & 페로탱


1000년 뒤 서울에서 유적 발굴에 나설 고고학자는 어떤 유물을 건질까. 아샴은 “지금 있는 모든 것은 결국 유물이 될 것”이라며 “모든 것은 깨지기 쉽고 부식된다”고 말했다. '1000년 뒤 유적지'에는 그림도 두 점 걸렸다. '3024년 북한산에서 발견된 투구를 쓴 아테나 여신'과 '3024년 북한산에서 발견된 신격화된 로마 조각상'이다.
미래의 서울 북한산 암벽과 소나무 사이에서 달빛을 받고 선 아테나 조각상이 뜬금없다. 이 쓸쓸하고 신비로운 광경을 홀로 마주한 인물의 뒷모습은 19세기 독일 낭만주의 화가 카스파르 다비트 프리드리히의 그림을 닮았다. 장소와 시간을 뒤틀리게 해 혼란을 일으키는 게 그의 장기다. 그는 "내 작업의 대부분은 관객들이 시간 속에서 자신의 위치를 다시 생각해보도록 초대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뉴욕 스튜디오를 재현한 공간에 선 대니얼 아샴. 권근영 기


11일 전시장에서 만난 그는 문득 자신이 색맹이라고 털어놓았다. 단색의 석고 조각, 흑백에 가까운 톤의 회화가 새삼스럽게 눈에 들어왔다. “초기작에 색감이 배제돼 있음을 눈치챌 수 있을 거다. 내가 보는 것과 남들이 보는 게 다르다는 걸 알았다. 이제는 안경과 교정 렌즈 덕분에 색감을 더 느낄 수 있지만 12가지 색에 번호를 매겨 그 번호로 작업하고 있다”고 말했다.

AI를 활용해 고전 조각상의 평온한 얼굴과 현대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다채로운 표정을 병치한 ‘분절된 아이돌ⅩⅧ’. 사진 대니얼 아샴 & 페로탱


시작은 2010년 남태평양의 이스터 섬이었다. 아샴은 작업을 위해 방문한 이곳에서 유적 발굴 현장을 목격하고는 ‘상상의 고고학’이라는 개념을 만들어 냈다. 일상의 물건들을 석고나 화산재로 주조한 뒤 인위적으로 부식시켜 천 년 뒤에 발굴할 유물처럼 만든다. 이렇게 해서 전시장에 과거ㆍ현재ㆍ미래가 뒤섞인 ‘시간’을 가져오겠다는 거다. 지난해 뉴욕 전시에서는 ‘3023 뉴욕’, 파리에서는 ‘3023 파리’라는 제목으로 발굴 현장을 만들었다. "세계가 점점 비슷해지고 있으니까"라고 그는 설명했다.

‘떨어지는 시계’‘숨겨진 인물들’에선 2시 방향으로 바람이 부는 것 같은데, 옷자락은 제각각 나부낀다. 있을 법 하지만 있을 수 없는 장면이다. 권근영 기자


1992년 허리케인 앤드루를 겪지 않았다면 그는 예술가가 되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미국 마이애미를 강타한 이 재해에 집이 무너졌고 12살 아샴은 벽장에 몸을 웅크린 채 살아남았다. "건축이 무엇을 할 수 있고 할 수 없나 질문하게 됐다. 건축과에서는 받아주지 않아 미대를 갔다"고 말했다. 그의 작품은 ‘갑작스럽게 모든 게 무너져 내리는 순간, 세계의 잔해는 어떻게 보일까’라는 질문에 대한 대답이기도 하다.

롯데뮤지엄에 만들어진 '포켓몬 동굴'. 권근영 기자


일껏 조각을 만든 뒤 훼손하고 부식시켜 낡게 만드는 그와 디오르ㆍ리모와ㆍ포르셰ㆍ티파니 등 세계적 브랜드가 다투어 협업한다. 그는 소비 사회의 아이콘들을 재창조하며 오늘날의 소비재들이 시간을 이겨냈을 때, 먼 미래에 어떤 모습으로 발견될 지 묻는다. 2020년에는 애니메이션 포켓몬의 감독 유야마 구니히코와 협업해 90분짜리 영상 ‘시간의 파문’을 제작했다. 시간을 넘나드는 포켓몬 캐릭터 세레비가 주인공이다. 이 영상과 함께 미술관 흰 벽에 ‘포켓몬 동굴’을 만들어 표면이 풍화돼 속에 자수정이 드러난 피카추 석고상을 전시했다.

'푸른 방해석의 침식된 아를의 비너스'(오른쪽)가 놓인 첫 전시장. 권근영 기자


250여 점을 총 9개 섹션으로 구분해 보여주는 이번 전시의 첫 작품은 파리 루브르박물관에 전시된 ‘아를의 비너스’를 본뜬 ‘푸른 방해석의 침식된 아를의 비너스’다. 17세기 프랑스 남부 아를의 고대 로마 극장의 폐허에서 발견된 당시, 이 조각엔 오른팔이 없었고 왼팔도 일부만 남아 있었다. 루이 14세 때 조각가 지라르동은 이 조각을 비너스상으로 추정하며 여신의 모습에 걸맞게 왼손에는 거울을, 오른손에는 사과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복원했다.
맨 처음에 어떤 모습이었을 지 아무도 알 수 없는 이 조각상은 여전히 상상력을 불러일으킨다. 아샴은 이 조각이 3020년에 발견됐다는 가상의 이야기를 더해 석고로 만든 뒤 훼손해 안에 심어둔 방해석을 드러냈다.
있을 법하지만 세상에 없는 장면들을 늘어놓은 그의 전시가 말하는 바는 ‘시간’이다. 10월 13일까지, 성인 2만원.

권근영 기자 young@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