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보다 기대수익률 낮은데 굳이…매력 떨어지는데 유인책도 부족
한국 증시 이탈 현상을 가볍게 봐서 안 되는 이유는 시장 트렌드에 밝은 젊은 투자자가 떠나고 있기 때문이다. 이유는 복합적이다. 경제 성장동력이 부족하고 미국 증시에 비해 기대수익률도 낮다. 이처럼 상대적으로 매력이 떨어지는데 각종 규제까지 더해지며 투자자를 끌어당길 유인이 점점 사라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잊을 만하면 벌어지는 주가 조작 사태도 한국 증시에 대한 신뢰를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한국에선 이익 내도 ‘글쎄’
한국 증시가 외면받는 가장 큰 이유는 미국에 비해 낮은 기대수익률이다. 수익을 거두기 위해 주식에 투자하는 투자자 입장에서 더 높은 수익률이 기대되는 시장으로 옮겨 가는 것은 당연한 현상이다. 특히 저축으로는 미래 대비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젊은 세대에게 높은 기대수익률은 무엇보다 중요한 잣대다.
‘주가는 기업 이익의 함수’라는 표현이 국내 증시에서는 잘 성립되지 않는다. 실제 데이터가 이를 증명한다. 신한투자증권에 따르면 지난해 코스피 기업의 전년 대비 이익 성장률은 22%다. 반면 이 기간 주가 상승률은 19%에 그친다. 미국은 다르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기업의 이익 성장률은 6%로 코스피 기업의 이익 성장률에 못 미친다. 그런데 주가 상승률은 24%로 코스피 상승률을 웃돈다.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다. 올해 상반기에도 이 같은 현상은 반복됐다. 올 상반기 코스피 기업 이익 성장률은 13%인데, 주가 상승률은 5%에 불과하다. 반면 S&P500 기업 이익 성장률은 7%, 주가 상승률은 15%다. 올 상반기 코스닥 시장 수익률은 -2%로 오히려 뒷걸음질 쳤다.
기업 이익이 주가로 반영되지 않는다는 뜻은 그만큼 투자 난이도가 높다는 의미다. 기업 실적 외에도 고려해야 하는 요소가 많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선거 결과에 따라 바뀌는 정책이나 장기간 국내 증시 발목을 잡은 ‘코리아 디스카운트’ 등 장기적 증시 부양을 위해 넘어야 할 과제가 수두룩하다. 기업 이익이 온전히 주가로 이어지지 않는 배경이다. 이 같은 이유로 국내 증시는 그동안 장기 우상향곡선을 그리지 못했다. 최근 10년 누적 코스피 수익률은 40%다. 반면 이 기간 나스닥과 S&P500은 각각 300%, 180%씩 상승하는 성과를 거뒀다. 2021년 말 고점과 비교해도 나스닥과 S&P500이 각각 11%, 14% 오르는 동안 코스피는 오히려 15% 하락했다.
최근 미국 증시 성장세를 경험한 젊은 세대에게 이른바 ‘박스피’로 불리는 국내 증시가 매력적인 선택지로 다가오지 않는 이유다. 오태동 NH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국내 증시는 미국 증시와 달리 그동안 장기 우상향 패턴을 보여주지 못했다”며 “젊은 세대도 각종 콘텐츠를 통해 미국 증시의 장기 우상향 흐름을 잘 알고 있는 반면 한국에서는 그 정도 수익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국내에 투자할 이유를 못 느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삼성전자 죽 쑤고 ‘노잼’ 중간재만
젊은 세대가 국내보다 미국 증시를 선호하는 현상을 단순히 생각하면 투자할 만한 종목이 미국에 더 많기 때문이다. 미국은 애플, 테슬라, 엔비디아 등 두드러지는 성장세를 보이는 기업이 계속해서 나온다. 모두 글로벌 기술 혁신을 주도하는 기업이다. 반면 국내에서는 떠오르는 혁신 기업이 마땅치 않은 현실이다.
기술 혁신의 차이가 벌어지는 배경은 연구·개발(R&D) 투자에서 비롯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이 발표한 2022년 세계 R&D 투자 현황 자료에 따르면, 글로벌 R&D 투자 상위 2500개 기업 중 미국 기업은 827개다. 2013년 804개보다 늘어났다. 반면 2500개 기업 중 한국 기업은 47개에 그친다. 특히 매년 이 숫자가 줄어들고 있다는 점에서 위기감이 고조된다.
2013년 한국 기업은 80개가 상위 2500곳에 속했다. 이후 10년 사이 40% 이상 감소했다. 중국 기업은 2013년 199개에서 2022년 679개로 3배 이상 늘었다는 점에서 국내 R&D 투자 기업 감소세가 두드러진다.
R&D 투자 기업이 줄어들수록 혁신 기술 도입은 해외와 비교해 뒤처질 수밖에 없다. 실제 아이폰이나 챗GPT 등 혁신을 주도하는 제품이나 서비스가 미국에서는 끊임없이 나온다. 반면 국내에서는 글로벌 시장을 주도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찾아보기 어렵다. 삼성전자나 현대차 등 소비자에게 최종 전달되는 최종재를 만드는 기업도 있지만, 국내 상장사 중 다수가 중간재를 생산하는 기업이라는 점도 젊은 세대 흥미를 끌지 못하는 이유로 꼽힌다.
혁신 기술 등장은 기업 이익으로 이어지고 미국 증시에서 기업의 이익 성장은 곧 주가에 연동된다. 과거 인텔, 애플, 테슬라 등이 기술 혁신을 통해 주가 상승을 이뤄냈다. 엔비디아도 마찬가지다. AI 시대 필수적인 AI 반도체 시장을 주도하는 엔비디아는 지난해 매출 609억달러, 영업이익 329억달러를 기록했다. 전년 대비 각각 125%, 311%씩 증가했다. 주가도 지난 1년간 246% 상승했다. 올 상반기에도 100% 이상 주가가 치솟았다. 반면 국내에서는 투자자를 사로잡을 혁신 기업이 좀처럼 등장하지 않는다. 엔비디아에 고대역폭메모리(HBM)를 공급하는 SK하이닉스가 그나마 주식 시장에서 반응하는 모양새다. 그마저도 엔비디아 주가 상승폭은 언감생심 꿈도 꾸지 못하는 현실이다. 올 상반기 SK하이닉스 주가 상승률은 67%다.
“투자자 입장에서 국내 기업은 미국에 비해 선명성이 부족한 측면이 있다. 예를 들어 AI 트렌드가 등장했을 때 미국은 오픈AI에 투자한 마이크로소프트, 반도체 시장에서 독점력을 갖춘 엔비디아 등 투자할 기업이 선명했다. 반면 국내에서는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가 AI 트렌드를 주도할 기업인지 판단하기 애매하다. 한국은 특정 트렌드를 이끄는 기업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대기업에서 분사하는 방식으로 트렌드를 따라가는 구조다. 혁신 기업이 등장하기 구조상 쉽지 않다.” 고태봉 하이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의 분석이다.
[문지민 기자 moon.jimin@mk.co.kr 조동현 기자 cho.donghyun@mk.co.kr]
[본 기사는 매경이코노미 제2267호 (2024.07.03~2024.07.09일자) 기사입니다]
Copyright © 매경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호중, 징역 30년형 수준 중범죄”…사실상 지상파 퇴출 - 매일경제
- “아파트도 아닌데 3억 껑충?”...신고가 잇따르는 이곳 [김경민의 부동산NOW] - 매일경제
- “집주인들 매물 싹 거둘까”...자고 나면 오르는 이 동네 [김경민의 부동산NOW] - 매일경제
- 트럼프 피격에 비트코인 ‘급등’…무슨 일? - 매일경제
- 풍경화일까? 추상화일까? 서양화일까? 동양화일까? - 매일경제
- 불과 3일 만에 결정된 최저임금 1만30원...‘졸속 심의’ 도마 위 - 매일경제
- “내남결·눈물의 여왕도 역부족이었나”...눈높이 낮아지는 스튜디오드래곤 - 매일경제
- 현대차 주가 파죽지세...목표주가 40만 원 등장 [MONEY톡] - 매일경제
- 짝퉁·최음제·욱일기 팔아요…‘무법지대’ 알리·테무 [스페셜리포트] - 매일경제
- “전월세 무기 계약 도입”...조국혁신당式 황당 주거권 시끌 - 매일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