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경데스크] 시니어 인력 활용, 갈 길 먼 韓금융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일본 등의 금융사를 살펴보니 우리보다 몇 년 정도는 더 일하는 거 같습니다. 금융이라는 게 경험·관계가 중요한데, 시니어(60세 이상)의 장점을 살리지 못하고 너무 일찍 일터를 떠나게 하는 게 아쉽습니다. 퇴직자 재고용 방안을 고민해보고 있습니다."
일본은 저출산·고령화에 대한 대응으로 시니어 인력 활용 제도를 갖춰왔다.
일본은 원칙적으로 60세 이상으로 정년을 정하도록 하고 있는데, 2006년 '65세까지 고용 확보 조치'(정년 폐지·상향, 계속고용)를 의무화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임금피크 포기후 56세 퇴직
'시니어 노하우' 활용길 없어
퇴직자 재고용 자리잡은 日
전문업무 활용 처우도 개선
"일본 등의 금융사를 살펴보니 우리보다 몇 년 정도는 더 일하는 거 같습니다. 금융이라는 게 경험·관계가 중요한데, 시니어(60세 이상)의 장점을 살리지 못하고 너무 일찍 일터를 떠나게 하는 게 아쉽습니다. 퇴직자 재고용 방안을 고민해보고 있습니다."
최근 만난 국내 대형 보험사 최고경영자(CEO)는 경영 효율성을 높이고 저출산·고령화로 벌어질 인력 부족에 대응하기 위해 이런 고민들을 하고 있다고 했다. 이 CEO의 고민에서 알 수 있듯이 한국 금융권에서도 이제 시니어 재고용·활용에 대해 본격적으로 머리를 맞대야 할 때가 됐다는 생각이 든다.
시니어 인력 활용에서 우리와 대비되면서 참고할 만한 곳이 일본이다.
우선 한국의 상황을 보자. 은행의 상황은 사실상 '조기퇴직'이라고 봐도 무방할 수준이다. 은행의 정년은 만 60세이지만, 56세부터 이전 임금의 50~60%를 받는 임금피크에 들어간다. 하지만 56세가 되면 대부분이 임금피크를 선택하지 않고 특별퇴직을 신청하는 게 은행의 문화다. 임금피크로 받은 보수와 특별퇴직금에 별반 차이도 없는 데다, 후선으로 밀려나 어떤 일을 맡게 될지도 모를 일이기 때문이다. 결국 임원으로 올라가지 못한다면, 은행원들이 체감하는 '정년퇴직'은 56세인 셈이다. 그동안의 경험과 인적 네트워크 등을 활용해 한창 일해야 될 나이지만, 50세 초반이 되면 슬슬 퇴직을 준비하게 되는 셈이다.
56세에 떠나가는 직원들이 갖고 있는 노하우를 살려 경영 효율·성과를 높일 방법도 뚜렷하지 않다. 퇴직자를 전문 감사 인력 등으로 활용하기도 하지만 재고용 같은 방식으로 제도적으로 자리 잡고 있지는 않다. 은행보다 조금 사정이 나은 곳도 있겠지만 다른 금융업권도 전반적으로 시니어 인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 같다.
그렇다면 일본 상황은 어떨까. 일본은 저출산·고령화에 대한 대응으로 시니어 인력 활용 제도를 갖춰왔다. 일본은 원칙적으로 60세 이상으로 정년을 정하도록 하고 있는데, 2006년 '65세까지 고용 확보 조치'(정년 폐지·상향, 계속고용)를 의무화했다. 계속고용의 방법 중 하나가 퇴직자 재고용이다. 여기에 더해 2021년에는 고용주에게 '70세까지 취업 기회 확보를 위한 노력'을 부여하기도 했다.
금융사를 비롯한 일본 기업은 이 제도를 활용하는 데서 한발 더 나아간다. 효율·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시니어의 처우를 개선하거나 인사제도를 개편하는 등 진전된 방안을 도입한다. 미쓰비시UFJ신탁은행에서는 퇴직 후 재고용된 시니어가 400명 정도 일하고 있다. 2030년에는 이 숫자가 전 직원의 10% 수준인 800명까지로 늘어날 전망이다. 이 회사는 특히 시니어 직원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작년에 '직무형 고용제'를 도입했다. 60세 이상의 재고용자를 대상으로 직무 내용을 명확히 해놓는 방식인데, 이 제도를 통해 해당자의 연 수입도 100만엔가량 올렸다.
금융사 리소나그룹은 60세였던 정년을 최장 65세까지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퇴직자 재고용 제도를 이용하면 70세까지 일하는 것도 가능하다. 미즈호파이낸셜그룹은 만 55세가 되면 일률적으로 임금 수준이 내려가는 구조를 철폐했다. 60세까지 30·40대 사원처럼 직무에 따라 급여를 지급한다. 60세까지 임금이 줄지 않고 유지될 수 있는 길을 만들어 놓은 셈이다.
최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정년의 단계적 폐지와 명예퇴직 제한'을 제안했을 정도로 저출산·고령화를 겪는 한국의 인력난은 갈수록 심화될 것이다. 기업의 경영 효율을 위해서도, 고령화 대응 차원에서도 시니어 인력의 활용은 고민해야 할 숙제다.
[김규식 금융부장]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트럼프 총격범 신원 밝혀졌다…“펜실베이니아 출신 20세 남성, 공화당 등록당원인 듯” - 매일
- [속보] 트럼프 “믿기지 않는다, 미국서 이런 일이…희생된 분에 깊은 애도” - 매일경제
- 손흥민 170억 쏟아부었는데…‘SON아카데미’ 중단 위기, 왜? - 매일경제
- 트럼프 피격에 비트코인값 치솟았다…6만달러 목전, 이유는? - 매일경제
- “피 말라”…손석희 만난 백종원, 연돈볼카츠 점주 갈등에 입 열었다 - 매일경제
- 김용건 “24년만에 전처 만났다” 고백…“건강 안좋아 마음 짠해” - 매일경제
- 담배꽁초 버렸더니 대기업 공장에 불났다…60대男에 벌금 1천만원 선고 - 매일경제
- 3일 외박한 고2 딸에게 흉기주며 “죽어라”…코뼈 부러뜨린 친아빠와 계모 - 매일경제
- 2심서 이겼던 ‘세월호’ 유병언 장남…대법원서 뒤집혔다 - 매일경제
- 시작부터 ‘무자격’ 국가대표팀 코치였던 홍명보, 영원한 리베로는 ‘특혜도 무제한’인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