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물에 박제된 천재, 46년 만에 유고시집으로 돌아온 시인

강혜란 2024. 7. 14. 07:0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남정국(1958~1978) 유고시집 '불을 느낀다'. 사진 엠엔북스

1978년 봄, 서울 고려대 인문학부에 갓 입학한 청년은 엄혹한 시대에 목마른 영혼의 노래를 빈 원고지에 채워갔다. ‘독백체’ 연작에선 봄날 모든 물상이 새롭게 옷을 갈아입는 날, 자신은 토요일 오후 네 시 희망처럼 피는 꽃과 평화처럼 살랑이는 바람의 안부에도 심심하다고 고백했다. 사랑하는 사람 ‘순’이에게 들려주는 ‘독백체 7’에선 ‘어떤 코뮤니스트의 깃발보다도 더욱더욱 붉게’ ‘활활 타며 날아가는 새’ ‘불같이 붉은 새’가 되고 싶다고 썼다.

그러나 불새처럼 비상하기도 전에 스무살 청년은 그해 11월 경기도 대성리 북한강에서 불의의 사고로 세상을 떠난다. ‘독백체 7’은 그의 유작이 되고 말았다. “불을 안고 산 이 미완의 천재”(노혜경 시인)가 남긴 시들은 이듬해 유고문집으로 나왔지만 제대로 평가받지 못했다. 이후 반세기 가까이 잊혔던 ‘요절 시인’ 남정국(1958~1978)이 최근 유고시집 『불을 느낀다』(엠엔북스)로 46년 만에 되돌아왔다. 두살 터울 누나 남인복 ‘문학뉴스’ 편집인이 그의 시 27편과 일기, 초고와 메모 등을 묶어 너무 일찍 가버린 천재를 추모했다.

불을 느낀다
발끝에서 머리끝까지
마침내 가슴으로 쳐들어가는
결심하는 자의 망설임
그의 광기(狂氣)를 듣는다.
〈불을 느낀다〉 전문

남정국의 시를 분석한 백학기 시인은 “시편들을 하나하나 넘길 때마다 갓 스무 살이 채 안 된 시인이 이러한 시어와 울림을 빚어내고 구사할 수 있을까 찬탄이 흘러나온다”고 했다. 여고 시절 그를 통해 랭보와 김수영을 알게 됐다는 노혜경 시인은 “질풍노도 시대를 함께 헤쳐오던 도중에 사라져 버린 그를 46년의 시간 뒤에 다시 만난다”라며 미완의 천재를 안타까워했다.

스무살의 나이에 요절한 남정국(1958~1978)이 유고시집 '불을 느낀다'로 되돌아왔다. 사진 엠엔북스


시집에는 일부 중·고교 시절에 쓴 시편들도 있다. 1974년부터 1976년까지 쓴 6편 가운데 ‘사랑 타령’(1975)은 그의 작품 가운데 유일하게 산문 형식을 취한다. ‘철들 때부터 나는 무던히도 사랑을 투정해왔는데’로 시작하는‘사랑 타령’은 다소 관념적인 표현과 구조 속에서 조숙한 시어 사용이 돋보인다. 시 뒤에 이어지는 초고와 메모에선 “모름지기 현대의 문학은 인간의 소외에 대하여 쓰지 않으면 안된다”며 각오와 구상을 담기도 했다.

너무 일찍 “박제가 돼버린 천재”(이재욱 문학뉴스 대표)를 반세기만에 톺아보는 행사도 열린다. 7월23일 서울 세종문화회관 지하 1층 서클홀에서 열리는 ‘46년 만에 돌아온 스물의 시인 남정국 불을 느낀다’는 김미옥 문예평론가 사회로 진행되며 바리톤 안희동과 뮤지컬배우 나정윤의 노래가 곁들여진다.

“더럽고 지저분한 이 땅덩어리 위에서 어렵고 어렵게 살아온 너와 나의 노고를 위해 어떻든 한 번쯤은 사랑해 보렴.”
(시집 64쪽)

‘46년 만에 돌아온 스물의 시인 남정국 불을 느낀다’ 북콘서트. 사진 엠엔북스

강혜란 기자 theother@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