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혁신하고 성공하는 새로운 전북 약속드렸다"

최육상 2024. 7. 13. 14:0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취임 2주년 맞은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

[최육상 기자]

 김관영 도지사는 “그동안 역점적으로 추진해 온 전북의 탄소산업, 수소산업, 재생에너지, 이차전지, 방산, 바이오 등 미래 먹거리 사업들을 남은 2년 임기 동안 정상화시키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전북특별차지도
 
"그동안 해오던 정책들이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매듭짓는 일들이 굉장히 중요하다. 새로운 사업을 많이 펼치는 것보다는 그동안 탄소산업, 수소산업, 재생에너지 그다음에 이차전지, 방산, 바이오 등 전북의 미래 먹거리 사업들을 역점에 두고 계속 추진했는데 제대로 속도가 나지 않는 것들이 있다. 이런 것들을 잘 정리해서 정상화시키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

지난 3일 취임 2주년을 맞은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를 도지사 접견실에서 인터뷰했다. 김 도지사는 지난 2년을 돌아보면서 "전북의 새로운 미래 먹거리 사업 추진 정상화"를 첫손가락에 꼽고 남은 2년 임기에 대한 포부를 이같이 전했다.

김 도지사는 '리얼미터'가 실시한 '5월 광역단체장 직무평가'에서 57.0%를 기록하며 17개 광역시·도 단체장 중 김동연 경기도지사(58.8%)에 이어 2위에 올랐다. 김 도지사는 36대 마지막 전라북도지사이자 1대 전북특별자치도지사라는 기록을 남기게 됐다.

1969년 군산 출생인 김 도지사는 ▲ 1988년 공인회계사 시험 합격 ▲ 1992년 행정고시(재경직) 합격 ▲ 1999년 사법고시 합격 ▲ 2012~2020 제19·20대 국회의원(전북 군산시) 등의 경력을 갖췄다. 1993~2000년 경제기획원 재정경제부 사무관으로 사회생활을 시작해 공인회계사와 변호사 활동을 거쳐 재선 국회의원을 역임하며 행정부, 사법부, 입법부를 두루 경험했다.

김 도지사에게 국회의원과 도지사의 차이에 대해 물었다. 그는 "국회의원은 평소에 바쁘고 안 바쁘고가 오로지 개인의 역량에 달려 있기 때문에, 열심히 일하고 안 하고 개인 편차가 심하다"면서 "그런데 자치단체장은 기본적으로 저의 의도와 무관하게 굉장히 빡빡하고 바쁜 일정을 소화해야 한다는 게 제일 큰 차이점"이라고 전제한 후 설명을 이었다.

"입법은 말 그대로 입법 활동하는 거고, 예산은 열심히 노력해서 결국 지방자치단체에 확보해 주는 거다. 그러나 국회의원은 집행 권한이 없으니 확보한 예산이 어떻게 현장에서 어떻게 쓰이는지 잘 알기 어렵다. 거꾸로 행정 수장은 예산을 집행하는 사람이니 의도하는 대로 행정을 끌고 나갈 수 있다. 지시한 데 대한 반응성이 굉장히 좋고 저의 철학을 행정 현장에서 펼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

전북 경제 부흥 위한 '이차전지 특구 지정' 관철
 
 지난 3일 도지사?접견실에서 인터뷰 중인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
ⓒ 최육상
 
김 도지사는 "도민들께서 워낙 경제 회복에 대한 열망이 크기 때문에 최대한 도민들의 뜻을 따라서 경제 살리는 데 집중해야 되겠다고 결심했다"면서 "보통 한 달 내지 한 달 반 정도 미리 짜인 일정이나 누굴 만나야 하는 일정들이 있기 때문에 이걸 조정하는 게 보통 어려운 일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전북이 워낙 열악하고 갈 길이 멀기 때문에 제가 일을 하면 할수록 곳곳에 씨를 뿌려야 될 게 너무 많구나 하는 생각이 들어서 정말 열심히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전북특별자치도에 따르면 6월 기준으로 김 도지사는 '전북 경제 부흥'을 목표로 취임한 이후 2년간 총 12조 8394억 원의 투자 유치, 고용인원 1만 3695명이라는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한 것으로 파악됐다. 취임 1년차에는 60개사 5조 3511억 원의 투자를 유치했고, 2년차에는 70개사 7조 4883억 원의 투자 유치를 기록하며 시간이 흐를수록 늘어나고 있다.

김 도지사는 전북 핵심사업으로 추진했던 '이차전지 특화단지 지정'을 관철시켰다. 이차전지는 재충전해 사용할 수 있는 배터리로 4차산업혁명과 탄소 제로 시대를 이끌어 갈 핵심 소재다. 전기차, 스마트폰, 드론 등 수많은 전자기기가 이차전지로 구동되고 있다.

김 도지사는 "산업부의 '이차전지 특화단지 지정' 공고가 났을 때만 해도 내부에서도 어렵다고들 했다"면서 "포항이나 오송 같은 지역의 경쟁력이 압도적이었고, 전북에는 성일하이텍을 제외하고는 선도기업조차 없었다"라고 '이차전지 특화단지 지정' 과정을 돌이켰다.

"객관적 여건으로는 전북이 밀리는 게 현실이었다. 제가 먼저 '도전해 보자'라고 나섰다. 전문가와 공직자들이 힘과 지혜를 모았고 선도기업 유치를 위해 모두가 최선을 다했다. 저도 직접 프레젠테이션을 준비했다. 나중에 보니 이차전지와 반도체, 디스플레이 특화단지 지정을 신청한 25개 지자체 중 도지사가 직접 프레젠테이션한 곳은 전북이 유일했다. 심사위원들도 인상적이었다는 평을 전했다."
 
 김관영 전북도지사가 지난 4월 30일 열린 ‘국가첨단 전략산업 바이오 특화단지 발표평가’ 현장으로 들어가고 있다. 김 도지사는 이날 직접 프레젠테이션을 진행했다.
ⓒ 전북특별자치도
  
김 도지사는 새만금 국가산단 등에 삼성, LG, 두산 등 대기업 계열사 6개사를 유치해 당초 공약인 5개 목표를 2년 만에 초과 달성했다. 교육발전특구와 기회발전특구 등 2개 특구도 지정받는 성과를 보여줬다.

기회발전특구는 전북도내 7개 시·군과 함께 최초로 지정됐다. 전주는 탄소융복합 분야 30만 평, 익산과 정읍은 동물의약품과 건강기능성식품 분야 21만 평, 김제는 모빌리티 분야 37만 평에 대해 각각 지정됐다. 특구 내 투자기업에는 ▲ 법인세 5년간 100%, 2년간 50% 감면 ▲ 재산세 5년간 100% 감면 등 세제 혜택과 지방투자촉진보조금 5% 지원 확대, 규제 특례 등도 부여된다.

인구 소멸 대응? '정부의 근본 대책' 마련 강조

전북 인구는 지난 2023년말 기준 175만 4757명으로 전년도에 비해 1만 4850명 줄었다. 전북도내 14개 시·군 중 행정안전부가 지난 2021년 10월 '인구소멸위험지역'으로 지정한 곳은 10곳이다. 여기에 인구감소관심지역인 익산시까지 더하면, 전주시와 군산시, 완주군을 제외한 전북도내 11곳이 인구소멸위험지역이다.

완주군은 '전주시 위성도시' 이점에 따라 인구가 지속적으로 늘면서 2023년 말 기준 9만 7827명으로 10만 명 돌파를 앞두고 있다. 순창군은 지속적으로 인구가 감소하며 지난 2021년 기준 전국지자체 인구감소율 1위에 오르는 불명예를 안았다. 하지만 최영일 순창군수 민선 8기 상반기에 전국 최초로 '순창형 아동행복수당(2~17세) 월 10만원 지급' 등 보편적 복지정책을 확대하며 9년 만에 인구감소세를 벗어나 37명이 증가하는 반전을 꾀했다.

김 도지사는 "순창군은 보편적 복지정책 확대 등으로 인구감소세를 벗어났는데, 전북도의 인구소멸 대응 방안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저도 고민인데… 우리가 인구 대책 부서에서 열심히 하고 있다"면서 깊은 고민을 전했다.

"인구감소는 우리나라 전체적인 추세고 지방이 가지고 있는 한계가 같이 겹치다 보니 이 위기를 근본적으로 벗어나는 데 상당한 한계가 있다. 보편적 복지 정책으로 풀어내기에는 우리 호주머니가 사실은 너무 비어있다. 다른 지역에 있는 사람을 우리 쪽으로 잠깐 이동시킬 수는 있어도 우리나라 전체적으로 보면 인구 전체를 증가시키는 것은 쉽지 않다. 저는 단기적인 복지 정책보다는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각 지자체가 그동안, 한 10여 년 동안 시행하면서 상당히 효과를 본 정책들이 있다. 현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인구전략기획부'가 만들어지면 우리 동네에서, 다른 시군에서 효과를 본 정책을 채택해 국비로 지원해야 된다. 특정 지역에서 검증된 정책들을 나라 정책으로 채택해서 우리나라 전체로 확산시키자는 거다. 그런 정책들을 중앙정부 차원에서 과감하게 나라 정책으로 적극 해보자고 계속 주장하고 있다."

김 도지사는 전북도내 14개 시·군 현황을 꿰뚫고 있는 듯 '순창군 현황'을 예로 들면서 도지사의 역할에 대해 설명했다.

"순창을 포함한 전북 동부산악권 쪽 농민들 소득을 실질적으로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더 고민하고, 그 지역 자치단체장들이 하려는 일들이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도지사로서 열심히 도와줘야겠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면 순창에 강점이 있는 두릅, 블루베리, 고랭지 채소 등 특화작물들이 확산되고, '스마트팜', '청년농' 같은 정책, 최영일 순창군수님이 중점적으로 하려는 '은퇴자 마을' 등도 적극 조성하고, 학령인구 감소로 폐교위기에 놓인 시골 농촌 학교에 활력이 되고 있는 '전북 농촌 유학'도 더욱 활성화해서 속도감 있게 추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전주시-완주군 통합'·'새만금 특별지방자치단체' 숙제
 
 김관영 도지사는 “전주·완주 통합은 도지사 공약사항이고, 전북 발전을 위해 필요한 일”이라면서 “하지만 주민 갈등이 번지거나 어느 한쪽이 상처를 입는다면 통합 후에도 후유증이 남을 것”이라며 조심스럽게 해법을 제시했다.
ⓒ 전북특별자치도
  
김 도지사는 '전주시-완주군 통합'과 '군산시·김제시·부안군'을 묶는 '새만금 특별지방자치단체'라는 숙제도 풀어야 한다. 그는 "전주·완주 통합은 도지사 공약사항이고, 전북 발전을 위해 필요한 일"이라면서 "하지만 주민 갈등이 번지거나 어느 한쪽이 상처를 입는다면 통합 후에도 후유증이 남을 것"이라며 조심스럽게 해법을 제시했다.

"최근 완주군 민간단체에서 통합을 정부에 건의하기 위해 절차에 따라 통합건의 서명부를 완주군에 제출했다. 완주군에서 적법 요건을 심사하고 문제가 없으면 통합건의서가 전북도에 제출된다. 두 지역의 객관적 의견을 종합 수렴해 전북 발전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도지사 의견을 첨부할 계획이다.

새만금 특별지방자치단체는 규모의 경제를 실현해 지역 경쟁력을 확보하고 소멸위기를 극복할 해법 중 하나다. 관할권을 두고 이견이 있지만 3개 시·군의 접점을 찾아 견고한 협력관계를 만들고 개발 실익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공동협력사업을 추진하면서 주민 이익을 확보하고 신뢰를 구축해 나가겠다."

김 도지사는 끝으로 전북도민들에게 "'함께 혁신하고 함께 성공하는 새로운 전북'의 꿈을 약속드렸다"면서 희망을 강조했다.

"전북은 할 수 있다. 지난 2년의 시간은 우리 모두에게 '할 수 있다, 도전하면 이룰 수 있다'는 희망과 자신감을 확인한 시간이었다. 남은 임기 동안 초심을 잃지 않고 도민과 함께 그 꿈을 향해 계속 전진할 것이다. '전북이 가는 길이 대한민국이 가는 길'이 되도록 하겠다. 도민 여러분도 함께해 주시길 바란다."

덧붙이는 글 | 전북 순창군 주간신문 <열린순창> 7월 10일 보도된 내용을 수정, 보완했습니다.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