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동시각]K-콘텐츠, OEM으로 만족할 것인가

박소연 2024. 7. 12. 10:4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묘하게 반가운 뉴스가 있었다.

글로벌 OTT 시장의 최강자 넷플릭스가 K-콘텐츠 시장에 진입한 이후 업계의 많은 것이 바뀌었다.

이것을 해소하자는 취지에서 나온 대안이 힘 있는 토종 OTT의 출현, 즉 K-콘텐츠 플랫폼의 합종연횡이다.

티빙-웨이브 합병법인은 다양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담은 K-콘텐츠 제작사들의 인큐베이터이자 전 국민의 놀이터가 될 수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근 묘하게 반가운 뉴스가 있었다. 합병을 앞둔 국내 토종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인 티빙과 웨이브의 월간이용자수(MAU) 합계가 넷플릭스를 앞질렀다는 소식이다. 토종 OTT의 선전이 유독 희소식으로 여겨지는 이유는 K-콘텐츠 제작주도권에 대한 우려 때문이다.

글로벌 OTT 시장의 최강자 넷플릭스가 K-콘텐츠 시장에 진입한 이후 업계의 많은 것이 바뀌었다. 가장 큰 변화는 제작비 상승이다. 쉬운 예로 넷플릭스 오리지널(자체제작) 콘텐츠 '오징어게임'의 시즌2 제작비는 1000억원대다. 이런 대작들과 경쟁하려면 다른 드라마들도 제작 규모를 키워야 하는데 K-콘텐츠 시장에 몰리는 투자금액은 한정돼 있다. 자연스레 드라마 한 작품당 제작 규모는 커지고 제작 편수는 줄었다.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발생하며 작은 드라마와 관련 제작사들의 설 자리가 사라졌다.

또 다른 문제는 콘텐츠IP(지식재산권)다. 넷플릭스 제작투자의 기본 조건은 IP를 넷플릭스가 보유한다는 것이다. 당장은 대규모 자금을 주면서 제작을 하라고 하니 가뭄에 단비처럼 느낄 수 있다. 전 세계 시청자들이 열광하는 모습을 보면서 K-콘텐츠 글로벌 진출을 성공적이라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이런 제작 방식을 고수한다면 K-콘텐츠 제작사들은 넷플릭스의 주문자위탁생산(OEM) 업체로 전락할 위험성이 크다. IP와 주도권이 없으면 아무리 좋은 콘텐츠도 산업과 투자 측면에선 무용지물이다. 전 세계인이 보는 K-드라마가 나와서 초대박이 나도 K-콘텐츠 업계는 계속 배고플 수밖에 없다. 돈을 버는 것은 IP를 가진 글로벌 OTT 회사와 투자자들이기 때문이다.

K-팝에 이어 K-웹툰과 K-드라마로 상징되는 K-콘텐츠는 전 세계가 탐내는 '창의력 광산'이다. 그런데 이를 글로벌 소비자들에게 널리 전달하려면 우리 IP를 내줘야 하는 불합리한 상황. 이것을 해소하자는 취지에서 나온 대안이 힘 있는 토종 OTT의 출현, 즉 K-콘텐츠 플랫폼의 합종연횡이다. 그런 차원에서 CJ의 '티빙'과 SK의 '웨이브' 합병은 산업 논리로만 진행되는 일반적인 인수합병과는 달랐다. K-콘텐츠 산업 발전이나 국가 경쟁력 측면에서의 명분도 컸던 셈이다. 하지만 지난해 12월 시작된 티빙-웨이브 합병 협상은 7개월이 넘도록 끝을 맺지 못하고 있다. 합병 비율과 채무 분담 문제 등 중요한 사안에서 합의했지만, '티빙' 측 주요 주주인 SLL중앙의 합병 법인에 대한 콘텐츠 공급 조건 등이 걸림돌로 작용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글로벌 콘텐츠 기획-투자-제작-유통-판매 시장 전체 흐름을 볼 때 K-콘텐츠 산업 생태계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선순환하려면 토종 OTT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큰 시점이다. 티빙-웨이브 합병법인은 다양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담은 K-콘텐츠 제작사들의 인큐베이터이자 전 국민의 놀이터가 될 수 있다. 티빙과 웨이브의 주주 구성을 보면 이런 기대감은 더욱 커진다. 티빙은 최대 주주 CJ ENM(48.9%)을 필두로 KT스튜디오지니(13.5%), 젠파트너스앤컴퍼니(13.5%), SLL중앙(12.8%), 네이버(10.7%) 등이 보유하고 있다. 웨이브의 경우 SK스퀘어(36.7%), 문화방송(19.8%), 에스비에스(19.8%), 이케이비에스(18%) 등이 주요 주주다. 물론 티빙-웨이브가 K-콘텐츠의 용광로가 될 것이라는 기대감만큼 여러 사업자의 이해관계도 다양할 것이다. 개별 사업자의 고충과 사업적 이익을 무시할 수는 없지만, K-콘텐츠 시장의 더 큰 도약을 위한 전략적 판단과 대승적 결합이 필요한 시점이다.

박소연 증권자본시장부 차장 muse@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