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우크라이나 전쟁 조속히 끝내도록 힘 보탤 것”

박태인 2024. 7. 9. 16:2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8일(현지시간) 미국 하와이 태평양국립묘지(펀치볼)에서 헌화한 뒤 묵념하고 있다. 김현동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8일(현지시간) 오후 미국 방문 첫 일정으로 하와이의 태평양 국립묘지를 찾아 한국전쟁 참전 용사들의 넋을 기렸다. 제임스 호튼 국립묘지 소장의 안내에 따라 열린 추모식에서 윤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는 묘지 헌화대 앞에서 고개 숙여 참배했고, 미군은 예포 21발로 예우했다.

헌화를 마친 윤 대통령 부부는 추모식에 참석한 6명의 한국전 참전 미군과 인사했다. 윤 대통령은 한국전에 두 차례 참전했던 토마스 타하라씨와 악수하며 “한국 전쟁에서 부상을 당하셨음에도 또 참전해주셨다”며 감사를 전했다. 또 다른 참전 용사인 한국계 미국인 알프레드 김씨는 윤 대통령에게 “제가 한국계 미국인인 게 자랑스럽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 부부는 이어 한국전에 참전했던 고(故) 벤자민 윌슨 소령의 묘를 찾았다. 윌슨 소령은 1951년 6월 5일 강원도 화천 전투에서 뛰어난 공적을 올려 미국 최고 무공훈장인 명예훈장을 받았다.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은 이날 현지 브리핑에서 “대한민국의 자유와 평화를 위해 기꺼이 몸을 바쳤던 참전 용산의 숭고한 희생과 헌신에 윤 대통령은 최고의 예우를 표했다”고 말했다. 추모식엔 사무엘 파파로 인도태평양사령관 부부와 폴 라캐머라 주한미군사령관, 필립 골드버그 주한미국대사 등도 함께했다.

미 태평양 국립묘지에 안장돼 있는 미 한국 참전용사 무명용사의 석판. 사진 미국 국방부

사화산 분화구에 있어 움푹한 그릇(Punch Bowl)을 닮아 ‘펀치볼 국립묘지’ 혹은 하와이어로 푸오와니아(희생의 언덕)라 불리는 태평양 국립묘지에는 제2차 세계대전과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에서 산화한 6만3000여명의 미군 유해가 안장돼 있다. 그중 1만여명은 낯선 한국 땅에서 목숨을 잃었던 이들이다. 아직 신원을 밝히지 못해 가족의 품으로 못 돌아간 무명용사 수백 명은 ‘US UNKNOWN KOREA’라는 문구가 적힌 석판 아래 묻혀있다. 태평양 국립묘지는 혈맹인 한·미 동맹을 상징하는 곳으로, 윤 대통령에 앞서 이승만·이명박·문재인 전 대통령도 찾았다.

윤 대통령은 이날 저녁엔 하와이 동포 만찬 간담회에 참석했다. 윤 대통령은 격려사에서 “러시아와 북한은 유엔 안보리 결의를 정면으로 위반하는 군사 경제 협력에 나서면서 국제사회에 우려를 더하고 있다”며 “정부는 자유와 인권, 법치의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는 국가들과 협력하며 우크라이나 전쟁을 조속히 끝내고 국제사회가 평화와 번영을 이루는 데 힘을 보태겠다”고 말했다.

김태효 국가안보실 제1차장이 8일(현지시간) 미국 하와이 힐튼하와이안빌리지에 마련된 한국 프레스센터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하와이 방문 등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통령실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9일(현지시각) 오전엔 하와이 호놀룰루에 위치한 인도·태평양 사령부(United States Indo-Pacific Command)를 찾아 장병을 격려하고 파파로 인태사령관 등으로부터 브리핑을 받는다. 한국 대통령의 인태사령부 방문은 김영삼 전 대통령에 이어 29년 만이다. 이후 워싱턴 DC로 이동해 10~11일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 정상회의 일정을 소화한다.

대통령실은 나토 정상 회의 기간 일본을 포함해 10개국 이상의 국가와 양자 회담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8일 현지 브리핑에서 “출국 전, 양자 회담이 5개 이상 될 것이라고 했는데 현재는 10개 이상이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분주하다”며 “현재 후보로는 독일·캐나다·네덜란드·스웨덴·체코·핀란드·일본· 노르웨이·영국 정도가 매우 적극적으로 진전된 상태”라고 전했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일본과의 양자 회담은 확정됐고,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의 한·미 정상회담은 미국이 주재하는 다자회의 일정이 다수라 불투명하다.

11일엔 인도·태평양 파트너 4개국(IP4, 한국·일본·호주·뉴질랜드)과의 회동이 예정돼 있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의 한·일 정상회담에선 준동맹 수준으로 격상된 북·러 군사 협력에 맞선 대응책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호놀룰루=박태인 기자 park.taein@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