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배터리 다시 쓰는 포엔, 390억 규모 시리즈B 투자 유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기차 폐배터리 재제조사 포엔이 390억원 규모 시리즈B 투자를 유치했다고 9일 밝혔다.
포엔은 이번 투자금으로 배터리 모듈·팩 개발 및 상용화 등 자사의 기술력 고도화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최성진 대표는 "이번 투자 유치는 우리 회사의 비전과 기술력 등 신뢰를 기반으로 이루어졌다"며 "국내에서 고도화한 배터리 재제조 기술을 전세계에 전파해 지구촌 환경보호, 자원 순환 등에 기여하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기차 폐배터리 재제조사 포엔이 390억원 규모 시리즈B 투자를 유치했다고 9일 밝혔다. 누적 투자액은 467억원이다.
2019년 설립된 포엔은 전기차 폐배터리 중 재사용 가능한 배터리를 선별해 재제조하는 기술을 개발했으며, 이를 상용화했다. 현대차, 기아, LG에너지솔루션, SK온, CATL 등과 협력해 전기차 배터리 밸류체인 플랫폼을 구축했다.
DSC인베스트먼트·슈미트, 현대차증권, SJ투자파트너스, L&S벤처캐피탈, K2인베스트먼트파트너스, 이앤벤처파트너스 등 국내 주요 벤처캐피털이 후속 투자에 나섰다. 신규 투자자에는 산업은행, 신한벤처투자, SV인베스트먼트, KDB캐피탈, 현대해상화재보험, 롯데렌탈(롯데벤처스) 등이 이름을 올렸다.
포엔은 이번 투자금으로 배터리 모듈·팩 개발 및 상용화 등 자사의 기술력 고도화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또 글로벌 지사를 설립하고, 주요 국가의 재제조 배터리를 공급하는 것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포엔은 올해 미국, 독일 등 주요 국가에 법인을 설립한 바 있다.
최성진 대표는 “이번 투자 유치는 우리 회사의 비전과 기술력 등 신뢰를 기반으로 이루어졌다”며 “국내에서 고도화한 배터리 재제조 기술을 전세계에 전파해 지구촌 환경보호, 자원 순환 등에 기여하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中에 반도체 핵심기술 유출’ 前 삼성전자 부장, 1심서 징역 7년·법정 구속
- 삼성, 전 계열사 임원 2000명 소집 ‘삼성다움 복원’ 세미나
- 이지아 父, ‘친일파’ 부친 350억 땅 놓고 형제간 법적 공방
- “슈퍼 리치 몰린다”… ‘패밀리오피스 허브’ 된 홍콩
- 암세포만 방사선 뿜어 죽인다…방사성의약품(RPT) 투자 붐
- [단독] 천장 콘크리트 떨어진 용산 노후 아파트, 긴급점검 결과 “건물 전체 위험 가능성”
- [비즈톡톡] “삼성 가전 어느 정도길래?”… 美 소비자 신뢰도 평가 순위는
- [증시한담] 네카라쿠배, 예전 같지 않나봐?... ‘옛 신의 직장’으로 역이직하는 개발자들
- 서울 '거래절벽' 속 강남선 신고가 행렬… 이유는?
- 현대백화점, ‘농약 우롱차’ 업체는 위탁판매 아닌 특약매입… 판매자 책임 존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