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기 ‘필향만리’] 興於詩 立於禮 成於樂(흥어시 입어례 성어악)

2024. 7. 8. 01:5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살아있는 사람은 선악·희비 등 마음의 움직임이 있기 마련이고, 그것은 표정과 말로 드러낸다. 마음의 움직임을 자연의 질서에 맞춤으로써 사람 사이의 질서를 지키는 게 예(禮)이고, 예 안에서 자연스럽게 흘러나오는 평화가 곧 음악이다. 그래서 공자는 “시에서 사람의 마음을 일으키고, 예에서 사람답게 세우며, 음악에서 사람을 완성한다”라고 했다.

興:일어날 흥, 於:어조사 어. 시에서 사람의 마음을 일으키고, 예에서 사람답게 세우며, 음악에서 사람을 완성한다. 36x70㎝.

정(情)의 흥기가 곧 시심(詩心)인데 요즈음 사람들은 사회의 한 톱니바퀴로 살다 보니 시심을 가질 겨를이 없다. 시심이 동하지 않다 보니 감정이 더욱 메말라 예(禮)가 화석화(化石化)하고, 예가 화석화하다 보니 평화로운 고품격 노래가 흘러나오지 않는다. 순후하지 못하고 ‘막 노는’ 느낌의 노래만 만연하는 경향이 짙다. 당말(唐末) 시인 두목(杜牧)의 “술 파는 여인들은 나라 망하는 줄도 모르고, 강 건너편에서 음란한 노래를 부르고 있네(商女不知亡國恨, 隔江猶唱後庭花)”라는 시가 자꾸 떠오르는 것은 나만의 기우 때문일까?

중앙일보의 ‘시조백일장’과 ‘시조 외우기’ 경연이 시심을 일깨우는 역할을 했으면 좋겠다. 초등학교에서는 성인가요가 얼씬 못하고 밝고 맑은 동요만 흘러나오기를 바란다. ‘가곡 부르기’ 운동으로 시와 예와 악을 동시에 살렸으면 좋겠다.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