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기 ‘필향만리’] 臨大節而不可奪(임대절이불가탈)

2024. 7. 1. 00:0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증자는 공자보다 46세나 어린 제자임에도 현명하고 절개도 강한 인물이었던 것 같다. 그는 “어린 임금을 맡길 만하고, 왕과 멀리 떨어진 곳에서 수행해야 하는 임무를 믿고 위탁할 만하며, 큰 절개를 지켜야 할 때에 그 절개를 빼앗을 수 없어야 군자라고 할 수 있다”고 했다. 사전은 절개를 “신념, 신의 따위를 굽히지 않고 굳게 지키는 꿋꿋한 태도”라고 풀이하고 있다.

끝까지 절개를 지켰으면 좋겠지만 혹독한 고문 앞에서 어쩔 수 없이 절개를 꺾은 사람은 이해하고 용서할 수 있다. 그러나, 자신의 이익을 위해 절개를 빼앗긴 사람은 용서할 수 없다. 일제강점기에 자진하여 절개를 꺾고 자원하여 일제의 앞잡이를 한 사람을 용서할 수 없는 이유이다.

臨: 다다를 임, 節: 절개 절, 奪: 빼앗을 탈. 큰 절개를 지켜야 할 때 그 절개를 빼앗을 수 없어야 군자. 26x68㎝.

‘멍텅구리’라는 노래를 지어 중생을 일깨운 경봉 큰스님은 ‘멍텅구리’를 더러 ‘명통구리(明通求利)’로 풀이하곤 했다고 한다. 밝을 명, 통할 통, 구할 구, 이로울 리. ‘이익을 구하는 데에만 밝게 통달한 사람’을 멍텅구리로 본 것이다. 신념과 신의는 없고, 다만 이익을 좇아 자리를 옮기는 일부 ‘구케의원’같은 부류가 곧 ‘멍텅구리’인 셈이다. 절개는 결코 옛 얘기가 아니다. 멍텅구리가 되지 않기 위해 지금 지켜야 할 살아있는 덕목이다.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