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도 무조건적 사랑은 힘들어 #여자읽는여자

라효진 2024. 6. 28. 16:4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토록 조건적인 사랑.

나의 욕망을 아이에게 투사하는 부모라니, 별로라고 생각했다. 어느 가수 출신 변호사의 아버지가 그랬다는 것처럼 “나는 너의 전부를 사랑하지, 네가 잘할 때만 사랑하는 게 아니야"라고 진심으로 말해주고 싶었다. 어떤 모습의 아이라도 지지하고 응원해 줄 수 있는 부모가 되고 싶었다.

초등학교 1학년 공개수업을 갔을 때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 나는 그런 무조건적인 사랑을 주는 부모가 되기 어렵겠다는걸. 교실 뒤편에 다른 부모들과 나란히 서서 내 눈은 온통 아이가 선생님의 말씀을 잘 듣고 규칙을 잘 따르면서 선생님이 내주는 과제를 잘 수행하고 있는지에 쏠려 있었다.

아이가 학교에서 받는 칭찬 스티커 개수에 민감해 할 때 ‘왜 아이들을 평가하고 줄을 세우냐'라고 분노하면서도, 그래서 오늘은 스티커를 몇 개나 받았는지 너무나 궁금했다. 내 아이가 남들보다 뒤처진다는 생각을 하면 마음이 답답하고 급해졌다. 아이에게 ‘하고 싶지 않으면 안 해도 돼', ‘네 의견을 존중해'라고 입으로 말하면서도 표정은 전혀 그렇지 않은 이중 메시지를 계속 보냈다. 아이가 잘하면 예뻤고 못하면 못나 보였다. 최초의 타인인 엄마가 보내는 시선을 아이가 눈치채지 못했을 리 없다.

아이는 글로 먹고사는 엄마가 일기 검사하는 걸 제일 싫어했다. 아이가 쓴 일기를 읽고 나는 “잘 썼네"라고 기계적이지만 호들갑스러운 칭찬을 한 다음 한마디를 덧붙였다. “그런데 여기에서 한 문장만 더 써보면 어떨까?” 그때마다 아이는 진심으로 짜증을 냈다. “엄마는 맨날 냉정하게 평가해!” “엄마 때문에 더 써야 하잖아!” 그럼 나는 아이에게 말했다. “너는 이것보다 훨씬 더 나은 글을 쓸 수 있는 잠재력이 있어. 엄마는 그걸 끌어내 주려 하는 것뿐이야. 너를 도와주는 거라고.” 그러거나 말거나. 아이는 하기 싫은 티를 팍팍 내면서 한 줄을 더 쓰고 일기장을 쾅 덮었다. 언제부턴가 아이는 내가 보지 않는 곳에서 일기를 썼다.

양육자 상담에서 심리 상담사는 내게 물었다. 그렇게 글 한 줄 더 쓰게 해서 아이가 얻는 게 뭐가 있냐고. 말로는 ‘아이가 최선을 다하는 태도를 가졌으면 해서’라고 했지만 내게는 아이가 더 완성도 높은 글을 썼으면 하는 욕심이 있었다. 내가 정한 ‘잘 쓴 글'의 기준이 있었다. 상담사는 말했다. 아이는 이미 자기 나름대로 일기를 써내는 미션을 스스로 마쳤는데 거기에서 엄마가 한 줄 더 써보라고 하면 아이는 결국 아무것도 이룬 게 없어진다고. 상담사는 나와 눈을 마주치며 이렇게 덧붙였다. “어머니, 아이의 성취는 아이의 것이에요.”

천선란 작가가 쓴 단편소설 〈어떤 물질의 사랑〉은 알에서 태어나 배꼽이 없는 아이 ‘라현'에 대한 이야기다. 배꼽을 찾아달라고 우는 7살 라현에게 엄마는 되묻는다. 배꼽이 왜 꼭 있어야 하냐고. 세상에는 원래 그런 것도 당연한 것도 없다고. 생식기가 없는 라현은 누군가를 사랑하면 그 사람의 성별로 변한다. 자라는 동안 라현은 여자가 되기도 하고 남자가 되기도 한다.

라현이 만나는 사람들은 여자와 남자라는 구분을 떠나 각기 다른 방식으로 이상하고 독특하고 다양하다. 겉으로 다양하지 않은 척 하고 있을 뿐이다. 라현은 어느 순간부터 자신을 규정하고 규명하려는 시도를 그만둔다. 그런 라현 앞에 어느 날 몸에서 비늘이 떨어지고, 책을 좋아하며, 휴대폰이 없고, 글자가 특이한 고향에서 온 ‘라오’가 나타난다. 지구 사람의 기준에서 봤을 때 외계인인 라오는 라현에게 이렇게 말한다.

지구 행성의 개체들은 사물을 단순화해서 분류하는 경향이 있어요. 제가 보기에 지구에서 같은 생명체는 단 한 개체도 보지 못했는데.

나는 아이를 보이지 않는 저울 위에 올려놓고 끊임없이 점수를 매긴다. 이건 합격, 이건 불합격. 아이가 보통과 평범의 범주를 벗어나면 외계인이라도 될 것처럼 전전긍긍 안달복달했다. 내가 평생 나 자신에게 그랬던 것처럼 아이와 나를 동일시하고 통제했다.

라현이 마주한 ‘몸'이라는 난제에 대해 라현의 엄마는 대수롭지 않다는 반응을 보인다. “어쨌든 너는 이 세상에 있잖아, 그런데 무슨 진실이 더 필요해?”라고 말하면서. 이상한 엄마 덕분에 라현은 자신의 이상한 상태를 ‘그럴 수도 있지'라고 받아들인다. 나아가 타인의 이상함을 편견 없이 포용할 수 있게 된다. 내가 라현의 엄마라면 어땠을까. 진작에 배꼽을 뚫어놓지 않았을까.

“이 지구에 같은 인간은 없"으며 “모두가 다 서로에게 외계인"이라는 라오의 말처럼, 우리는 모두 조금씩 다 다르고 이상한 존재들인데 왜 나는 평균 이상과 평균 이하의 경계를 나누고 내가 생각하는 틀 속에 아이를 가두려 했을까. 그게 정말 아이를 위한 게 맞는 걸까. 무엇보다 지금 내가 하고 있는 게 사랑이 맞을까. ‘우주를 가로지르는 사랑’에 대한 소설이 내게는 육아에 대한 소설로 읽혔다.

Copyright © 엘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