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산책] 고암 이응노 120주년…'취야' 연작 등 미공개작 전시

김희윤 2024. 6. 28. 10: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고암(顧菴) 이응노(1904∼1989) 탄생 120주년 기념전이 서울 종로구 평창동 가나아트센터에서 열린다.

이응노가 쓴 중·고등학생용 미술 교재 '동양화의 감상과 기법'(1956)의 초판본과 이 책에 도판으로 실린 정물화 '배추'도 함께 전시된다.

가나아트 관계자는 "이응노의 예술세계는 격동의 한국 근현대사, 그리고 전후 유럽 미술의 영향 속에서 다채롭게 변모했다"며 "그 여정을 따라가며 그가 이룬 예술적 성취를 조명하는 전시"라고 설명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가나아트센터, 고암 탄생 120주년 기념전
1부 고암, 시대를 보다: 사생(寫生)에서 추상까지
'취야' 연작 2점 최초 공개

"역시 나는 권력자보다는 약한 사람들, 함께 모여 살아가는 사람들, 움직이는 사람들, 일하는 사람들, 뭔가 말할 수 있는 사람들 쪽에 관심이 갔고, 그들 속에 나도 살아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어요." -이응노, 박인경, 도미야마 다에코와의 대담 中

이응노, '취야-외상은 안뎀이댜', 1950년대, 종이에 수묵채색, 42 x 55cm. ⓒ Lee UngNo / ADAGP, Paris - SACK, Seoul, 2024. [사진제공 = 가나아트]

고암(顧菴) 이응노(1904∼1989) 탄생 120주년 기념전이 서울 종로구 평창동 가나아트센터에서 열린다.

전시는 9월 초까지 총 2부로 나눠 개최된다. 26일 시작한 1부 전시 '고암, 시대를 보다: 사생(寫生)에서 추상(抽象)까지'는 고암이 문인화(文人?)의 전통을 넘어 삶의 풍경을 그리기 시작한 30대, 일제 강점기와 해방 공간의 풍경화부터 1958년 프랑스로 건너간 이후 콜라주와 문자추상 등 독자적 추상 양식으로 이어지는 흐름을 드로잉 등 평면 작업 110여점과 조각 작품으로 살핀다.

전시에는 1950∼1960년대 미공개 작품이 여러 점 출품됐다. 작가는 한국전쟁 이후 폐허가 된 도시, 그리고 서민의 고단한 삶을 그림에 담았다. 그중 하나인 1950년대 '취야'는 여러 사람이 탁자 주변에 앉아 술을 마시고 그 뒤로 여러 인물 군상이 배경처럼 그려진 연작으로, 이번 전시에서는 두 점이 새로 공개된다.

작가는 취야를 두고 '자화상 같은 그림이었다'고 말한다. "그 무렵 자포자기한 생활을 하는 동안 보았던 밤시장의 풍경과 생존경쟁을 해야만 하는 서민 생활의 체취가 정말로 따뜻하게 느껴졌답니다."

그들 속에서 자신도 살아있음을 발견했다는 고암의 고백은 그림 왼쪽 상단 ‘외상은 안뎀이댜’(외상은 안 됩니다)라고 직접 쓴 글씨로도 생생하게 전해진다.

고암 이응노 탄생 120주년 기념전 전시 전경. [사진제공 = 가나아트]

또한, 이응노가 1967년 동백림사건에 연루돼 수감됐을 당시 옥중에서 그린 풍경화 2점도 새롭게 관객과 만난다. 1968년 대전교도소에서 그린 '풍경-대전교도소에서'와 1969년 안양교도소에서 뒷산인 모락산을 그린 그림이 그 주인공이다.

이응노가 쓴 중·고등학생용 미술 교재 '동양화의 감상과 기법'(1956)의 초판본과 이 책에 도판으로 실린 정물화 '배추'도 함께 전시된다.

대나무를 붉은색으로 그린 1988년 작 '주죽'(朱竹) 또한 이번 전시를 통해 처음 공개된다. 동백림사건 등으로 어려움을 겪은 작가에게 한 미술계 인사가 "왜 하필 붉은 대나무를 그렸냐"고 묻자 이응노가 "그럼, 대나무가 검은색입니까?"라고 대답했다는 일화는 유명하다.

가나아트 관계자는 "이응노의 예술세계는 격동의 한국 근현대사, 그리고 전후 유럽 미술의 영향 속에서 다채롭게 변모했다"며 "그 여정을 따라가며 그가 이룬 예술적 성취를 조명하는 전시"라고 설명했다.

전시는 7월28일까지. 8월 2일 개막하는 전시 2부는 고암의 대표작인 '군상' 연작부터 말년까지의 작업을 망라할 예정이다.

김희윤 기자 film4h@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