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20대는 온라인에서도 '내 방'이 꼭 필요합니다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정누리 기자]
어릴 적 내가 가장 좋아하던 프로그램은 무한도전도, 1박 2일도 아니었다. 바로 해피투게더의 '프렌즈'였다. 연락이 끊긴 옛 친구를 수소문해 방송에서 만나게 해주는 프로그램이다. 떨리면서도 확신에 찬 목소리로 "반갑다, 친구야!"를 외치던 출연자들의 모습이 아직도 생생하다.
▲ 해피투게더 프렌즈 방송 |
ⓒ KBS |
청년층이 전화를 피한다는 말이 있다. 오죽하면 '전화공포증'이라는 단어도 있다. 나도 비대면 소통이 가능한 문자나 DM(인스타그램 전용 다이렉트 메시지)이 좋다. 전화처럼 바로 대답할 필요도, 자리를 뜰 필요도 없어서다.
사실 처음 '전화공포증'이란 말을 들었을 때 나는 콧방귀를 뀌었다. 성질 급한 나는 전화를 곧잘 하고, 낯을 가리는 엄마아빠가 문자를 좋아하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세대 문제라기보다는 개인 성격 탓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어느 날 생각이 바뀌었다.
두 달 간 같이 일했어도 목소리를 모른다
회사에서 대학생 현장실습 프로그램을 열었는데 내가 면접 담당자여서, 지원서를 낸 학생들에게 연락했다. 그런데 열에 셋은 서너 번을 전화해도 받지 않는다. 대신 조금 뒤 문자가 온다. "누구세요?" 회사 소개를 문자로 남기니 그제야 전화로 사과한다. 나중에 말하길, 모르는 번호를 잘 받지 않는단다.
또 한 번은 지인의 소개로 거래처 신입과 연락할 때였다. 그는 엔터테인먼트 업계의 직원이었는데, 공연에 쓸 소품이 망가져 다시 제작해 줄 업체를 찾고 있었다. 도면을 새로 그리고 제작하는 등 약 두 달 정도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수없이 피드백이 오고 갔다. 그 프로젝트를 끝내고 나니 놀라운 점이 보인다.
두 달이나 함께 일했는데도 나는 그녀의 목소리를 모른다! 우리는 항상 카카오톡 메신저으로 작업물을 주고받았다. 답장 속도가 엄청나게 빨랐기 때문에, 서로 불편한 점을 몰랐다. 이쯤이면 사회가 정말 바뀌고 있는지도 모른다. 이 글을 쓰며 내가 놀란 점은 세대 차이, 거리감 등이 아니라 '전화 없이도 소통할 수 있다'는 사실 그 자체였다.
생각해 보면 나도 업무가 아닌 일반 상황에서는 온라인을 기본값으로 해 소통하는 때가 많다. 카톡이나 인스타그램은 물론이고, 취미생활을 할 때도 그렇다.
코로나 시즌에 유행한 게임이 있다. 바로 '어몽 어스(Among Us)'다. 우주선에 들어온 스파이를 찾는 PC게임이다. 자가격리 등으로 한가해진 찰나를 틈타 나도 게임을 깔아봤다. 그런데 이 게임은 특이한 요소가 하나 있다. 바로 유저 대부분이 디스코드(Discord)라는 플랫폼을 통해서 음성채팅을 한다는 점이다. 빠른 속도감과 눈치, 말투의 변화 등으로 범인을 색출해 낼 수 있기 때문에 진정한 재미를 위해선 빠질 수 없다.
이전까지 음성채팅을 해본 적이 없던 나는 머리를 긁적였다. 어몽어스를 포함해 각종 온라인 게임을 섭렵한 동창에게 도움을 구했다. 그가 내게 음성채팅 초대장을 하나 보내준다. 링크를 누르자 10명가량의 사람들이 접속한 채팅방에 들어가진다. 그들은 내 친구와 구면인 듯 편하게 안부를 물었다.
▲ 디스코드 |
ⓒ 디스코드(Discord) |
음성채팅에 빠진 난 다른 게임도 모색했다. 돈 스타브(Don't Starve)라는 역시 속도감과 협동이 중요한 2인용 게임이다. 마침 코로나 때문에 약속을 계속 미뤄야 했던 또 다른 동창이 생각나 카톡으로 그를 꼬셨다. 친구가 게임창에 들어온다. 우리는 게임을 하면서 그간 못 나눴던 일상 수다도 함께 떤다.
거의 매일 밤 2시간 동안 이 일을 반복했다. 코로나가 어느 정도 끝난 이후, 근 2년 만에 친구를 실물로 만났다. 그런데도 우린 전혀 어색함이 없었다. 공간이 온라인일 뿐, 엄연히 말하면 어제도 본 사이니까.
업무는 카톡, 대화는 DM, 정보는 SNS
▲ 업무는 카톡으로, 일상대화는 DM으로. 인스타그램은 친구를 가려 받거나 비공개 계정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사적인 대화를 하기 더 편하다. 인스타 어플 (자료사진). |
ⓒ 픽사베이 |
반면 인스타는 적어도 친구를 가려 받거나 비공개 계정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사적인 대화를 하기 더 편하다. 커뮤니티에서도 쉽게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익명으로 취미 활동을 한다. 마음이 맞으면 소위 말하는 '덕친(덕질을 함께 하는 친구)'을 사귈 수도 있다. 청년들은 온라인 공간 속에서 관계를 분류하고 골라내고, 다시 담는다.
때로는 깍쟁이라는 오해를 받는 MZ세대. 어쩌면 우리는 온라인에서도 '내 방'을 원하는지도 모른다. 부모님도, 친척들도, 회사 동료들도 허락 없인 들어올 수 없는 개인적인 공간말이다. 너무나 개방된 시대 속에서 사생활이 보장받길 원한다.
내 방을 만들어달라며 떼쓰던 어릴 적의 내가 생각난다. 방이 있는 건 중요했지만, 정작 그렇게 원하던 내 방이 생긴 뒤에 난 문을 한 번도 닫지 않았다. 책상에 앉아 숙제를 하면서도 고개를 쭉 빼서 거실에 앉아있는 아빠를 쳐다보곤 했다. 이 정도 거리감이면 되었다. 지금 SNS도 마찬가지, 문을 열어둔 느낌으로 사용하곤 한다.
아! 글을 쓰다 보니 새롭게 깨달은 사실이 있다. 난 이미 '프렌즈'에 출연한 적이 있다. 작년 동창에게 DM을 받았었다. 고등학교 때 더 친해지고 싶었지만 수능 때문에 연락이 흐지부지 됐던 친구다.
그의 DM이 물꼬가 되어 우리는 10년 만에 오프라인에서 만나 처음으로 길게 대화를 나눴고, 지금은 일주일에 세 번 이상 보는 친구가 됐다. 주변 지인들은 우리 둘이 원래 친했냐고 물어본다. 난 대답한다. "얼마 전에 DM이 와서 친해졌어."
친구들은 신기해하면서도, 그럴 수 있다는 듯 고개를 끄덕인다. 이 정도면 진짜 방송 출연은 못 했더라도 거기 나가고 싶었던 이유는 이룬 것 아닐까? "반갑다, 친구야!"를 목소리가 아닌 텍스트로 전한다. 기쁨은 흩어지지 않고 기록에 남는다.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윤 대통령님, 국민의 마음은 안녕하지 못합니다
- 23만명 동의 윤 대통령 탄핵안, 법사위로 넘어갔다
- '최저임금 1만 원'을 폐기하자
- 최은순, '부정요양급여' 행정소송 각하... 23억 안 돌려줘도 된다
- 아리셀 투입 소방관 "조립식 패널 순식간에 주저앉아... 내력벽도 없어"
- 민주당, '김홍일 탄핵안' 당론 채택 "지금 체제는 위법"
- 박종훈 교육감이 '소멸위험' 의령을 주목한 결정적 이유
- '대국민 사과' 아리셀, 정작 유족에겐 전화 한 통 없었다
- "살인마 편에 서지 않도록 정부와 진화위 혼쭐 내야"
- '왜 죽었나' 군 자살 사망자 통계가 말하지 않는 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