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비상 경영 성과 낼까…철강·2차전지 소재 경쟁력 회복 시급
대표적인 것이 수소환원제철이다. 수소환원제철은 용광로에 석탄을 가열해 만든 일산화탄소로 쇳물을 생산하는 기존 방식과 달리, 수소를 이용해 철을 생산하는 기술이다. 부산물로 이산화탄소가 아닌 물이 발생해 탄소 배출이 없다.
포스코는 자체 개발한 ‘하이렉스(HyREX)’ 기술로 수소환원제철 시장에 뛰어들었다. 포스코가 보유한 파이넥스 유동로 기술을 기반으로 가루 형태 분광과 수소를 사용해 철강을 제조하는 방식이다. 파이넥스는 석탄 75%에 수소 25%를 환원제로 사용한다. 포스코는 향후 수소 비율을 높여 하이렉스 기술로 고도화할 계획이다.
하이렉스 기술 기반이 된 파이넥스는 포스코가 5000억원 이상 연구개발(R&D) 비용을 투자해 2007년 상용화한 기술이다. 기존 고로 공법이 용광로 안에서 환원(산소 제거)과 용융(액화)이 동시에 이뤄졌다면, 파이넥스는 유동환원로와 용융로를 분리한 것이 핵심이다. 가루 철광석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철광석이나 석탄을 덩어리로 만드는 공정 처리 과정이 불필요하다. 포스코는 2027년까지 연산 30만t 규모 시험 설비를 준공하고 하이렉스 기술 상용화 가능성을 검증할 계획이다. 포스코 관계자는 “2030년까지 데모플랜트를 도입해 수소환원제철 기술을 완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포스코가 수소환원제출 기술을 앞세운 것은 글로벌 철강 산업의 탄소 배출 감축이 중요해졌기 때문이다. 국내 산업계가 배출하는 탄소의 39%를 철강업계가 내뱉는다. 문제는 비용 부담이다.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포스코가 가동 중인 고로를 모두 수소환원제철로 전환하는 데 드는 비용은 약 54조원으로 추산된다. 기존 고로 매몰 비용으로 27조원, 신규 설비를 건설하는 데도 27조원이 든다. 자칫 수년간 벌어온 영업이익을 고스란히 수소환원제철 투자 비용으로 날릴 우려도 크다. 그럼에도 일반 제철 방식에 비해 생산 효율성이 얼마나 높아질지는 미지수다. ‘캐즘’에 빠진 2차전지 사업 경쟁력 회복도 급선무다. 포스코퓨처엠의 경우 생산 중인 단결정 양극재의 수율(완성품 중 양품의 비율)이 ‘키’가 될 것으로 본다.
포스코퓨처엠은 지난해부터 니켈 함량이 86%인 단결정 양극재 ‘N86’을 생산 중이다. 단결정 양극재는 광물을 하나의 입자로 결합해 만든 2차전지 소재다. 입자 간 균열을 줄여 다결정 양극재보다 에너지 밀도가 높고 배터리 수명이 긴 것이 장점이다. 다만 다결정 양극재보다 뛰어난 기술력이 필요해 제조 공정에서 아직 수율이 낮은 것이 단점이다.
이용욱 한화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2분기 중 전남 광양 1~2단계 라인이 단결정 양극재 N86으로 전환될 것”이라며 “문제는 수익성이다. 수율이 올라와야 출하량과 수익성이 개선되는 구간에 진입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전기차 시장이 잠시 주춤하는 상황을 기회로 삼아 우량한 광물 자원을 확보하고, 공장 조기 안정화를 추진해야 한다는 진단이다.
[본 기사는 매경이코노미 제2264호 (2024.06.19~2024.06.25일자) 기사입니다]
Copyright © 매경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배터리 업계 사면초가… ‘사는 사람도 없고 원자재가도 떨어지고’ - 매일경제
- “김호중, 징역 30년형 수준 중범죄”…사실상 지상파 퇴출 - 매일경제
- 동해 가스전으로 95번째 산유국…일본도 30년 만에 개발 재개 - 매일경제
- “집값 때문에 탈서울합니다”…경기·인천 순유입 ‘눈길’ - 매일경제
- 삼성전자 파운드리 결함설...회사는 “사실무근” [오늘, 이 종목] - 매일경제
- 2차전지 좋다더니 왜…실적 전망 8분의 1로 ‘뚝’ - 매일경제
- [속보] 화성 배터리공장 화재로 30명 사상 - 매일경제
- 21세기 최대 유전 가이아나와 유사한 지층 구조 ‘희망적’ - 매일경제
- 출생아 ‘깜짝 반등’…“출산율 더 떨어지기 어려워” - 매일경제
- “부산 6천만원, 대구 7천만원”…지방 분양가도 ‘쑥’ 오른다 - 매일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