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日 반도체 수평 협력으로…국내 팹리스에는 기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반도체 산업에서 한일 협력은 지금까지 수직 협력이었다. 한국은 제조하고 일본은 소재, 장비를 공급했다. 최근엔 한국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술력이 높아졌기에 수평 협력으로 변화해야 한다."
이날 '일본 반도체 산업 현황'을 주제로 발표한 김 전문연구원은 한국과 일본의 반도체 공급망 협력 가능성이 크다고 밝히며 "일본의 반도체 제조 부활 움직임은 (국내) 팹리스에 충분히 기회로 다가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양팽 산업연구원 전문연구원 발표
"반도체 산업에서 한일 협력은 지금까지 수직 협력이었다. 한국은 제조하고 일본은 소재, 장비를 공급했다. 최근엔 한국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술력이 높아졌기에 수평 협력으로 변화해야 한다."
김양팽 산업연구원 전문연구원은 24일 서울대 글로벌공학교육센터에서 열린 '제2회 시스템반도체 상생포럼'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날 '일본 반도체 산업 현황'을 주제로 발표한 김 전문연구원은 한국과 일본의 반도체 공급망 협력 가능성이 크다고 밝히며 "일본의 반도체 제조 부활 움직임은 (국내) 팹리스에 충분히 기회로 다가올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 전문연구원은 일본 반도체 역사가 1950년대부터 시작돼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1950년대 초반 미국에서 트랜지스터를 개발하자 일본에서 빠르게 따라 만든 뒤 트랜지스터 라디오 등을 선보이며 전자 산업을 키웠다는 설명도 했다. 이후 일본 반도체 산업은 군수용 중심이던 미국 반도체와 달리 가전제품 중심으로 발전하며 소형화, 가격 등에서 경쟁력을 갖췄다.
1990년대 접어들면서는 미국 견제와 현지 전자제품 업계 경영난, 대만 촉발 치킨게임 등의 요인으로 일본 반도체 산업이 쇠퇴기를 맞았다. 다만 이는 반도체 제조 분야에 국한된 것이며 소재 및 장비 분야는 반도체 역사 초기부터 지금까지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는 게 김 전문연구원 설명이다.
최근 들어선 주요국 중심으로 반도체 패권 경쟁이 심화하자 일본 역시 반도체 산업 재건에 힘쓰고 있다. 일본 정부가 반도체를 국가전략산업으로 재지정한 데다 기정학 변화로 미국이 협력 중심으로 태도를 바꾸면서 현지에선 1.5나노 반도체 생산까지 논의되고 있다. 일본 라피더스와 대만 TSMC 등이 일본에 제조 공장을 가동하면서 올해 이후 현지 반도체 생산량은 급증할 전망이다.
김 전문연구원은 우리나라와 일본이 반도체 분야에서 경쟁할 수 있지만 협력할 부분도 많다고 봤다. 특히 "양국 팹리스 간 협력은 반도체 산업에서 수평 협력을 했을 때 가장 가능성이 있는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한국과 일본의 팹리스 시장 점유율은 낮고 일본은 더 낮은 상황"이라며 "서로 장점을 합쳐서 해외 시장에 진출한다면 협력할 수 있는 부분이 많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글로벌 반도체 패권 경쟁 주체가 미국과 유럽, 중국 이렇게 큰 세 덩어리이고 인구나 경제 규모 봤을 때 한국이나 일본의 개인 플레이로 맞서기엔 규모 차이가 크다"며 "규모의 경제 달성하려면 한일 협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미국이나 유럽의 협력 및 원천 기술 없이 양국이 공급망 부분에서 협력할 필요가 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김평화 기자 peace@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尹 지지율 최저 경신보다 더 큰 충격…"이재명·野로 표심 움직여" - 아시아경제
- "그런거인줄 몰랐어요"…빼빼로 사진 올렸다가 '진땀' 뺀 아이돌 - 아시아경제
- 커피 28잔 주문에 "완전 XX" 쌍욕한 배달기사…놀란 업주는 눈물 왈칵 - 아시아경제
- "한국여자 본받자"…트럼프 당선에 연애·결혼·출산 거부한 美여성들 - 아시아경제
- 야박한 인심, 바가지는 없다…1인당 한끼 '1만원' 들고 가는 제주식당들[디깅 트래블] - 아시아경
- 축복받으려고 줄 서서 마신 성수…알고 보니 '에어컨 배수관 물' - 아시아경제
- "혈당이 300"…몸무게 38㎏까지 빠져 병원 갔던 연예인 - 아시아경제
- 속도위반만 2만번 걸린 과태료 미납액 '전국 1등'…대체 누구길래 - 아시아경제
- "휴대폰도 먹통"…50년만에 베일벗은 에버랜드 '비밀의 은행나무숲'[조용준의 여행만리] - 아시아
- "한국 안 간다"며 여행 취소하는 태국인들…150만명 태국 몰려가는 한국인들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