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북·러 협력 주시"…北, 우크라 파병 가능성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북한과 러시아가 소련 시절 군사동맹에 준하는 관계 격상에 나서면서 북한의 우크라이나 파병 가능성도 거론된다.
현승수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북·러 조약의 일차적인 목적이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한 양국의 불법적 협력을 정당화하는 데 있다고 본다"며 "북한 공병부대의 능력을 높게 평가하면서 전쟁 지역 복구에 북한군의 지원을 받는 방안을 거론하는 러시아 내 전문가가 더러 있었는데, 그냥 상상 속 아이디어로 치부됐다가 이젠 현실적인 시나리오가 됐다"고 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북한과 러시아가 소련 시절 군사동맹에 준하는 관계 격상에 나서면서 북한의 우크라이나 파병 가능성도 거론된다.
국가정보원은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 체결에 따른 러·북 협력 동향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고 22일 밝혔다. 이 협정은 최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방북을 계기로 북한과 러시아 간에 체결된 새로운 조약이다.
조약 제4조는 '쌍방 중 어느 일방이 개별적인 국가 또는 여러 국가로부터 무력 침공을 받아 전쟁상태에 처하게 되는 경우 타방은 유엔 헌장 제51조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러시아 연방의 법에 준하여 지체없이 자기가 보유하고 있는 모든 수단으로 군사적 및 기타 원조를 제공한다'라고 규정한다. 군사 원조를 명시한 후반부 내용은 1961년 소련 시절 체결된 조·소 우호조약의 '자동 군사개입' 조항과 일치한다. 이 때문에 군사동맹에 준하는 수준까지 관계가 격상된 것으로 평가된다.
일각에선 러시아가 북한에 군사 원조를 제공하는 것 말고도, 반대로 북한의 병력이 러시아 전장으로 투입되는 시나리오도 거론된다. 도네츠크·헤르손·자포리자 등 러시아가 점령한 우크라이나 지역에 북한군이 파병될 수 있다는 것이다.
현승수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북·러 조약의 일차적인 목적이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한 양국의 불법적 협력을 정당화하는 데 있다고 본다"며 "북한 공병부대의 능력을 높게 평가하면서 전쟁 지역 복구에 북한군의 지원을 받는 방안을 거론하는 러시아 내 전문가가 더러 있었는데, 그냥 상상 속 아이디어로 치부됐다가 이젠 현실적인 시나리오가 됐다"고 했다.
장희준 기자 junh@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신세계 회장 딸 문서윤, 가족 반대 뚫고 아이돌 데뷔 "의심 받지만 진심" - 아시아경제
- 민간인 된 BTS 정국 모자에 日 '우익 문구' 논란…"즉시 폐기했다" - 아시아경제
- "지하철 30분 늦으면 택시비 준다"…1400원짜리 이색 보험 - 아시아경제
- 배터리 충전 잠깐 꽂았다가 다 털린 개인정보…"공용 충전기 조심하세요" - 아시아경제
- 골프 연습장서 러닝셔츠만 입고…"눈을 어디다 둬야 할지 모르겠다" - 아시아경제
- "펜타곤서 피자 주문 급증하면 큰일"…피자 주문량으로 전쟁 예측한 누리꾼 - 아시아경제
- 매각가 600억에 코웃음쳤는데 이제 700조짜리…그들을 망친 것은[AI오답노트] - 아시아경제
- 강의실 PC에 '뒤집힌 노무현 바탕화면'…건국대, 일베 의혹에 조사 나서 - 아시아경제
- "검역 뚫렸다"…서울서 '아시아집흰개미' 뒤늦게 확인 - 아시아경제
- 나경원 "전과 4범 대통령에 5범 총리" 김민석 맹비난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