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싸 들고도 못 사는 엔비디아…몸값 1위 'AI 황태자'도 고민 있다

박해리 2024. 6. 19. 18:3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993년 미국 캘리포니아 실리콘밸리 새너제이에 위치한 다이닝 ‘데니스’에 젠슨황은 공동창업자들과 함께 커피를 10번 리필해가며 GPU사업을 구상했다. 유튜브 캡처

1993년 미국 캘리포니아 새너제이의 대중 레스토랑 ‘데니스’에 AMD 출신 엔지니어 젠슨 황과 IBM 출신 커티스 프리엠, 휴렛패커드(HP) 출신 크리스 말라코스키가 모였다. 24시간 문 여는 이 식당에서 이들은 커피를 10번이나 리필하며 PC에 사실적인 3차원 그래픽을 구현해줄 칩 사업을 구상했다. ‘인공지능(AI) 황태자’ 엔비디아의 시작이다. 그로부터 꼬박 31년 뒤 2024년 6월 ‘세계에서 가장 비싼 기업’이라는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엔비디아는 지난 18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에서 시가총액 3조3350억달러(약 4600조원)를 기록, 마이크로소프트(MS)와 애플을 제치고 시총 1위 기업에 올랐다. 회사가 시총 10위권 내에 진입한 게 불과 2년 전이었다. 인공지능(AI) 열풍을 타고 미국 증시 역사상 유례없는 속도로 진격했다. 시총 2위인 마이크로소프트(MS)의 주가가 올해 20% 오르는 동안, 엔비디아는 174% 올랐다.


AI 기술 열풍의 상징


엔비디아 CEO 젠슨황이 지난 4일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컴퓨텍스에서 연설을 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창업 당시 젠슨 황을 포함한 3명의 공동창업자들은 이미 인텔 같은 강자가 꽉 잡고 있는 중앙처리장치(CPU) 대신 그래픽처리장치(GPU)로 눈을 돌렸다. 초기에는 3D 비디오 게임을 구동하는 GPU를 제조해 파는 엔비디아를 주목하는 곳은 많지 않았다. 하지만 황 CEO는 대량의 데이터 처리 속도가 중요한 시대가 올 것으로 예견하고 GPU 성능을 꾸준히 높이며 뚝심 있게 사업을 이어나갔다. 2017년 코인 열풍이 불고, 암호 화폐 채굴에 GPU가 사용되면서부터 시장은 엔비디아를 눈여겨 보기 시작했다.
정근영 디자이너

이후 2022년 챗GPT를 비롯한 생성AI 열풍이 불면서 엔비디아의 폭발적 성장이 시작됐다. 챗GPT와 같은 거대언어모델(LLM)을 훈련시키는 데에 GPU가 핵심 역할을 하며 엔비디아가 ‘AI의 황태자’로 거듭난 것이다. AI 모델을 훈련시키려는 빅테크 기업들은 GPU를 구하기 위해 지금도 ‘돈 싸 들고 기다리는’ 상황이다.


엔비디아의 승자독식


엔비디아의 시장 장악력이 커질수록 반(反)엔비디아 연합 움직임도 일어나고 있다. 하지만 시간이 가도 엔비디아의 승자독식 생태계는 더 공고해지고 있다. 강력한 경쟁자로 꼽히는 AMD가 꾸준히 가성비 좋은 신제품을 내놓고 있지만 고객들은 여전히 엔비디아 제품을 택한다. 웰스파고 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데이터센터용 GPU 시장에서 매출 기준 엔비디아 점유율은 98%에 달한다. 엔비디아 스스로 자신들이 AI 산업혁명을 주도하고 있다고 자신하는 이유다.
올해 3월 공개한 초고성능 신형 AI 칩 블랙웰을 통해 회사는 더 큰 수익을 창출할 것으로 보고 있다. 황 CEO는 지난 5월 실적발표에서 향후 블랙웰의 수요가 여전히 공급을 크게 앞지를 거라고 말했다. 블룸버그는 이날 웨이프 자산 매니지먼트 전략가인 라이스 윌리엄스를 인용해 “엔비디아가 영원히 시장 점유율 대부분을 차지할 수는 없겠지만, 현재 누구도 이를 대체할 수가 없는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정근영 디자이너


하드웨어 한계 극복 과제


이런 엔비디아에도 고민은 있다. AI 붐을 타고 급격한 성장세를 이어나가고 있지만, 언젠가는 수요 둔화에 직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 IT 전문지 디인포에미션은 황 CEO가 지난해 크리스마스 무렵 “고객들이 AI 칩을 설치할 데이터센터 공간이 부족해지면 향후 회사 매출에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우려를 표했다고 보도했다. 또 MS나 메타 등 빅테크 기업들은 현재 수익이 확실치 않은 상태에서 미래 투자의 일환으로 AI 칩을 대량으로 구매하고 있기 때문에, 이 구매가 언제든 중단될 위험이 있다고 회사는 분석하고 있다.

엔비디아는 소프트웨어 판매를 늘리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인프라의 결합을 통해 장기적이고 꾸준한 수익을 낼 수 있는 방식으로 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추진하고 있다. 최근 회사는 AI 개발자들에게 더 많은 소프트웨어를 판매하고 있으며 1년 전부터는 자체적으로 서버를 임대하는 DGX클라우드 사업도 시작했다. ‘로봇을 만들지 않는 로봇 사업’ 역시 이 일환이다. 엔비디아는 로봇 하드웨어를 제조하는 대신에 AI를 통해 로봇을 학습시키는 로봇 플랫폼 사업에도 힘을 쏟고 있다. 전체 매출 중 비중이 미미한 이 사업에 대해 엔비디아 전 임원 아샤 오스토직은 “칩 위주의 매출을 보완할 수 있는 이러한 서비스를 성장시키는데 회사는 모든 영향력을 동원할 것”이라고 디인포메이션을 통해 말했다.

엔비디아 로봇과 기조연설 젠슨 황

박해리 기자 park.haelee@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