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늙음의 바닥 짚고 일어나 다시 링 위에 서다"...여든여섯 '괴짜 노시인' 황동규
2020년 가을, 당시 여든둘 황동규 시인은 시집 『오늘 하루만이라도』를 펴내며 “마지막 시집이라고 쓰려다 만다”고 적었다. “내 삶의 마지막을 미리 알 수 없듯이 내 시의 운명에 대해서도 말을 삼가자”면서다. 그리고 예언처럼 시는 별난 운명을 살아내 다시 한 권의 시집으로 돌아왔다. 지난달 말 출간된 시인의 열 여덟 번째 시집 『봄비를 맞다』(문학과지성사)다.
운명을 뒤흔든 것은 코로나19였다. 그의 표현을 빌자면 “늙음이 코로나 글러브를 끼고 삶을 링 위에 눕혀버리는” 사태가 벌어졌고, 사람 좋아하고 술 좋아하는 시인은 “사는 게 견디기 힘들 만큼 헐렁해진” 날들에 시를 무기로 싸웠다. 그리하여 탄생한 59편의 시에선 색다른 투지가 팔딱거린다. 지난 18일 오후 그가 자주 찾는다는 서울 사당역의 한 카페 앞, 납작한 모자를 쓴 노시인이 손을 번쩍 들며 다가왔다.
Q : 이번 시집을 ‘늙음의 바닥을 짚고 일어나 다시 링 위에 서는 한 인간의 기록’이라 하셨습니다.
A : 젊은 사람들은 조금 다르겠지만 80세가 넘은 사람들에게 코로나는 그야말로 리얼한 공포였으니까요. 주변의 누군가가 갑자기 죽음을 맞고, 후유증에 고통받는 사람들도 많았습니다. 위기가 닥치니 오히려 치열해지더라고요. 늘 존재하던 삶의 풍경들이 그만큼 선명해지는 것이죠.
Q : 그래서일까요. 밑줄 긋고 싶은 구절들이 많았습니다.
A : 몇몇 평론가들이 저한테 ‘괴짜 노시인’이라고 하더군요. 여든이 넘어 계속 시를 쓰는 것도 신기한데, 밀고 나가는 힘이 더 강해진다고요. 듣는 사람 기분 좋으라는 거짓말이 섞여 있겠지만 어느 정도 일리는 있다고 봐요(웃음). 제 실력이라기보다는 늙음과 코로나라는 역경이 그렇게 만들었겠죠.
이런 구절들이다. 시인은 ‘코로나 집콕’ 중 후배가 보내준 꽃이 내뿜는 향기에 “단 한 번 주어지는 한창 삶”의 강렬함을 느끼고(히아신스), 죽었다고 생각했던 고목나무가 연두색 잎을 내미는 것을 보며 “그래 맞다. 이 세상에/ 다 써버린 목숨 같은 건 없다”(봄비를 맞다)고 외친다. ‘그날 저녁’이라는 시에서는 삶의 마지막 날을 구체적으로 상상해보기도 한다. “세상 뜰 때/ 아내에게 오래 같이 살아줘 고맙다 하고/ 가구들과 눈으로 작별, 외톨이가 되어/ 삶의 마지막 토막을 보낸 사당3동 골목들을/ 한 번 더 둘러보고 가리.”
Q : 죽음에 대한 이야기가 대부분인데 어둡지 않습니다.
A : 죽음에 대한 공포에 사로잡혀 있어서는 삶을 제대로 살 수 없어요. 그 두려움과 싸워 이겨야 “지금을 반기며 사는 것”이 가능해집니다. 40대 후반에 ‘풍장’이라는 시를 쓰면서부터 죽음에 대해 생각했고 이제는 두려운 것이 없어요. 시집 맨 끝에 실린 시에서 ‘살아있는 게 유혹일 때 갑니다’라고 썼는데요. 내가 하고 싶은 일들을 끝까지 철저히 즐기다 가겠다, 그렇게 생각하면 편해집니다.
Q : 늙음도 맞서 싸워야 할 대상인가요.
A : 어떤 인생에도 고통과 시련은 있지요. 그것을 어떻게 이겨내느냐가 한 인간의 삶을 매력적으로 만드는 요소라고 생각해요. 늙으면 온갖 불편함이 찾아옵니다. 눈이 안 좋아 책을 읽기 어렵지만 코로나 와중에 톨스토이를 다시 읽었고, 척추협착증때문에 빨리 걷기 힘들지만 지금도 지하철 타고 약속 장소를 찾아다닙니다. 이 나이에 시집을 내고, 이렇게 기자와 만나 인터뷰를 하는 것도 참 즐거운 일이지요.
“내 그대를 생각함은 항상 그대가 앉아 있는 배경에서 해가 지고 바람이 부는 일처럼 사소한 일일 것이나 언젠가 그대가 한없이 괴로움 속을 헤매일 때에 오랫동안 전해 오던 그 사소함으로 그대를 불러 보리라.” 고등학교 3학년 때 짝사랑하던 대학생 누나를 생각하며 쓴 시 ‘즐거운 편지’는 교과서에도 실린 ‘국민연애시’가 됐다. 발표 당시에는 “고등학생이 어떻게 ‘사소함’같은 단어를 사용할 수 있는가”가 문단에서 화제가 되었다고 한다.
Q : 60년도 더 지난 시인데 요즘 세대의 감수성을 건드립니다.
실제 편지를 받은 사람은 사랑한다는 절절한 외침도 없고, 처음엔 이 시가 별로 마음에 들지 않았다고 해요(웃음). 그 분이 초등학교 동창의 언니라 예순이 넘은 나이에 한 번 같이 만난 일이 있는데, ‘이제서야 이 시가 마음에 든다’고 하더라고요.
Q : 왜 시가 그렇게 좋았나요.
A : 아버지(소설가 황순원)는 문학의 길이 힘든 걸 아시니 제가 법대나 의대에 가기 바라셨어요. 하지만 문학과 음악에 푹 빠져 있던 터라 고집을 부려 서울대 영문과에 갔습니다. 원래는 음악을 좋아해 작곡가가 되고 싶었는데 제가 살짝 음치인 걸 깨닫고 포기했어요. 시가 좋았던 것은 문학의 모든 장르 중 음악과 가장 가깝기 때문이었던 것 같아요.
Q : 시인으로서의 삶은 평탄하셨을 것 같은 느낌인데요.
A : 살아온 세월이 있는데 어떻게 그렇기만 하겠어요. 1978년 나온 시집 『나는 바퀴를 보면 굴리고 싶어진다』는 전두환 계엄령 하에서 검열에 걸릴까 봐 허가를 받지 않고 몰래 찍어내기도 했습니다. 권력과 직접적으로 맞서는 시는 타고난 성향 상 맞지 않았고, 그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마음을 대변하는 게 내 역할이라 생각했어요. 대학교수로 일하면서 사람들 위에 군림하는 ‘장’ 자리를 가급적 맡지 않으려고 노력한 것도 시인으로서의 나를 지키는 원칙 중 하나였지요.
Q : 66년간 시를 쓰셨는데 ‘즐거운 편지’로 기억되는 것이 서운하지는 않으신지요.
A : (새 시집을 가리키며) 늘 새로운 시가 나의 대표작이라고 생각하면서 씁니다. 하지만 그건 내가 정하는 게 아니고 시간이, 역사가 정하는 것이니까요. 난 내가 할 수 있는 최상의 일만 해낼 뿐이지요.
황 시인은 요즘도 “하루 이틀 건너뛸 때도 있지만 대부분의 날은 시를 매만지며 보낸다”고 했다. 남은 생 또 한 권의 시집을 펴낼 수 있을지 알 수 없지만 “시가 내 생명이니 계속 쓸 수 밖에 없다”고 했다. “이 한세상/ 노래 배우는 새처럼 왔다 간다/ 목소리에 금가면/ 낙엽지는 나무에 올라/ 시를 외우다 가겠다”고 쓴 ‘괴짜 노시인’은 헤어질 때도 만날 때처럼 손을 번쩍 들더니 훌훌 자리를 떠났다.
이영희 기자 misquick@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햇반까지 비닐에 욱여넣었다…동생의 고독사, 누나의 ‘득템’ | 중앙일보
- 모친 살해한 '전교1등' 아들, 13년 만에 고백 "두 아이 아빠 됐다" | 중앙일보
- "왜 신차 비닐 안 뜯습니까"...현대차 싹 뜯은 '정의선 스타일' | 중앙일보
- 톱스타 한명 없는데 시청률 터졌다…'우영우' 이은 대박 드라마 | 중앙일보
- "1억 주면 조용히 있겠다"…공정위 신고전 백종원 압박한 점주들 | 중앙일보
- 60대 할머니 몰던 차, 주차장 벽에 '쾅'…10개월 손자 숨졌다 | 중앙일보
- "중국인 왜 남의 나라 더럽히나"…제주 도로서 바지 벗고 대변 '충격' | 중앙일보
- "촉감 궁금해" 노골적 성적요구 강요받았다…하남 교제살인 전말 | 중앙일보
- 팀 동료가 손흥민 인종차별…토트넘 침묵에 서경덕 "FIFA 고발" | 중앙일보
- "부친과 보기 좋았는데…" 이 질문에 박세리 눈물, 수십초 침묵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