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소프트 사상최고가…"아이폰 모멘트 온다" [글로벌마켓 A/S]

김종학 2024. 6. 18. 08:4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김종학 기자]
미국 뉴욕증시가 장중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연준의 통화 긴축 지속에 대한 불확실성에도 AI 산업에 기댄 기술주 실적 기대치를 반영하며 나스닥과 S&P500 지수가 장 막판 최고치에 올라섰다.

현지시간 17일 뉴욕 증권거래소에서 S&P500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41.63포인트, 0.77% 오른 5,473.23을 기록했다. 장 막판에는 5,488선까지 뛰었다. 나스닥 역시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 등의 강세로 하루 만에 168.14포인트, 0.95% 상승한 1만 7,857.02를 기록했다. 다우존스 산업 평균지수는 188.94포인트, 0.49% 반등한 3만 8,778.1에 거래를 마쳤다.

● 'S&P500 연내 6천선'…월가 전망치 잇단 상향 월가 투자은행들은 지난 금요일부터 연달아 S&P500 지수의 연말 추정치에 대한 상향 조정에 나섰다. 골드만삭스는 세 차례 전망치를 고쳤고, JP모건과 함께 비관적인 전망을 고수하던 에버코어ISI는 가장 낙관적인 목표치를 제시했다.

데이비드 코스틴 전략가가 이끄는 골드만삭스는 S&P500의 전망치를 기존 5,200선에서 연말 5,600선으로 높여 잡았다. AI로 주목받고 있는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알파벳, 아마존, 메타 등 상위 5개 초대형 기술 기업들의 강력한 이익성장으로 나머지 495개 기업의 마이너스 실적을 상쇄할 수 있다는 전망이 기본 시나리오다. 이를 반영한 주가수익비율(PER)은 기존 19.5배에서 20.4배로 높여 잡았다.

골드만삭스는 나머지 기업들이 실적 호전으로 메가캡으로 불리는 대형 기술주와 같은 밸류에이션을 확보할 경우 S&P500 전체 PER을 22배까지 높여 5,900선, 시총 상위 5개 기업의 이익 성장이 예상치를 상회할 경우 PER 23배를 적용해 6,300선도 가능하다고 봤다.

에버코어ISI 역시 강세론으로 돌아섰다. 기존 전망치 4,750선에서 6,000선으로 1,250포인트나 공격적으로 높여 잡았다. 에버코어ISI는 기록적인 미 연방정부의 재정 정책, 미국 가계가 보유한 현금 잔액과 주택 등의 자산 가치로 충분한 소비가 일어나는 것을 가정하고 있다. 기업들은 인공지능을 바탕으로 노동 생산성이 늘고, 연준의 통화 정책이 금리 인하로 굳어지면서 성장과 물가를 모두 잡은 골디락스 시나리오가 펼쳐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에버코어ISI은 인공지능으로 인해 S&P500에 대한 기업가치가 높아졌지만, 과거 1998년, 2020년 상승장과 비교하면 1년 이상 추가 상승 여력이 남아 있다고 봤다. 월가 투자은행 가운데 보수적 전망을 내놨던 씨티그룹도 장 마감 이후 S&P500 목표치를 5,600선으로 높였다.

씨티그룹의 스콧 크로너트 미국 주식 전략가 역시 미국 기술주의 주가 상승이 S&P500을 최고치로 밀어올리고 있고, 전통적 평가 방법론보다 대형주 가중치에 따라 전망치를 수정했다고 밝혔다.

● AI 수혜기업 랠리..MS, 애플, 브로드컴 '사상 최고'

브로드컴은 지난 회계연도 2분기 호실적와 액면분할 호재가 이어지며 이날도 5.41% 올라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다. 인공지능 반도체를 마이크로소프트 등에 공급하는 퀄컴 주가도 3.2% 뛰었고, 메모리 업체 마이크론 주가도 4.58% 치솟았다.

대형 기술 기업 가운데 마이크로소프트 1.31%, 애플 1.97%로 나란히 사상 최고가를 썼다. 기술주 애널리스트인 댄 아이브스가 이끄는 웨드부시는 마이크로소프트에 대해 비중확대와 현재가보다 14% 높은 목표가 550달러를 제시했다. 댄 아이브스는 "AI 혁신에 따른 코파일럿의 광범위한 보급이 가속화하고 있다"며 애플의 '아이폰 모멘트'와 같은 "수익화의 물결이 다가오고 있다"고 전망했다. 웨드부시는 이어 "2024회계연도 AI 사용이 늘고 있지만, 내년이 진짜 변곡점이 될 것"이라며 "마이크로소프트가 AI 수익화의 운전석에 올라 앉았다"고 평가했다.

생성형 AI를 이용해 교체 수요 자극에 성공한 애플은 신제품 출시에 속도를 내고 있다. 대만 TF인터내셔널의 궈밍치 애널리스트는 올 가을 아이폰과 함께 애플이 공개할 신형 애플 워치가 기존 제품들보다 더 얇고 더 큰 화면을 채택할 예정이라고 분석했다. 현재 애플 워치에 쓰이는 41~44㎜에서 각각 4㎜, 5㎜ 화면을 키워 위젯 작동과 음성비서 활용도를 높일 전망이다. 한편 애플은 애플 페이 운용 과정의 비용 효율을 위해 자체적인 미국 내 할부 프로그램을 중단하고 어펌 홀딩스, 씨티 카드를 통한 결제 서비스를 확대할 예정이다.

지난주 깜짝 실적을 내고 AI 열풍 속에 구독 매출을 늘린 어도비는 미 규제 당국과 법정 싸움에 들어갈 전망이다. 미 연방거래위원회(FTC)는 어도비의 크리에이티브 클라우드가 연간 구독 회원들에게 첫해 취소 시 수십만 원의 비용이 발생하는 사실을 알리지 않는 등 피해로 소비자보호법을 위반했다며 고소했다. FTC는 "어도비가 숨겨진 조기 해지 수수료와 수 많은 취소 장벽으로 고객을 1년간 구독 요금제에 가뒀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어도비는 "구독 약관은 투명하게 공개되어 있으며, 해지 절차도 간단하다"고 해명했다.

테슬라는 중국 상하이시에서 일부 지역 공공도로에서 완전자율주행의 시험 운영을 허가했다는 소식으로 5% 넘게 뛰었다. 미디어 기업 가운데 디즈니는 지난 주 개봉한 픽사 애니메이션 '인사이드아웃2'의 미국 내 흥행으로 1% 가량 올랐다. 인사이드아웃2는 현지시간 13일 저녁 사전 상영에서 기존 흥행작인 토이스토리4의 성적을 넘어었고, 주말 1억 5,500만 달러 매출로 인크레더블2가 세웠던 기록에 이어 역대 2위에 올랐다.
김종학기자 jhkim@wowtv.co.kr

Copyright © 한국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