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영철 이사장 "JDC면세점, 中 하이난처럼 품목·횟수 규제 없애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내국인도 이용 가능한 면세점이 있다.
바로 제주공항 국내선과 제주항에 있는 JDC면세점(이하 면세점)이다.
양 이사장은 "첫 내국인 대상 면세점이다 보니 과소비 조장과 유통시장 교란 등의 우려가 있어 정부가 보세판매장(해외로 나갈 때 이용하는 면세점)보다 규제를 강하게 걸었다"며 "그러나 구매 횟수와 품목 제한이 없는 입국장 면세점이 생기면서 이 같은 정부 논리가 깨졌다. 제도를 유연하게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입국장 면세점처럼 제약 없어야"
"15종으로 제한된 면세 품목을 네거티브(원칙적 허용·예외적 금지) 방식으로 전환하고, 6회로 묶여 있는 연간 구매 횟수도 폐지해 줄 것을 건의하는 등 제도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양영철 JDC 이사장)
내국인도 이용 가능한 면세점이 있다. 바로 제주공항 국내선과 제주항에 있는 JDC면세점(이하 면세점)이다. 이름에서 유추할 수 있듯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가 운영한다. 면세점 수익은 전액 제주국제자유도시 조성사업에 재투자된다. JDC가 신화역사공원, 영어교육도시, 제주첨단과학기술단지, 제주항공우주박물관 등의 사업을 국고 지원 없이 추진할 수 있는 원동력이다.
지난 14일 오후 방문한 제주공항 국내선 출발장은 출도객들로 시끌했다. 단체로 온 학생들과 가족·친구 단위, 외국인들도 보였다. 비행기 탑승 게이트 앞에서 이들을 맞이하는 면세점은 10~30%씩 세일을 하고 있었다. 하지만 품목은 주류, 담배, 화장품 등으로 가짓수가 한정적이었다.
규모는 제주공항 내 면세점이 3132.3㎡로 가장 큰데 올해 5월 현재 81개 협력사와 284개 브랜드가 입점해 있다. 제주항 면세점은 2부두, 7부두에 각각 281.7㎡, 234.6㎡ 소규모로 위치한다.
배보다 비행기 이용객 수가 많은 만큼 매출은 전체의 약 98%가 제주공항 내 면세점에서 나온다. 지난해 기준 제주공항 5281억원, 제주항 2부두 49억7000만원, 제주항 7부두 53억3000만원의 매출을 거뒀다. 누적 매출과 순이익은 2002년 12월 처음 문을 연 이후 각각 7조7934억원, 1조9218억원을 올렸다. 하지만 무려 10여년 늦은 2011년 개점한 중국 하이난성 면세점과 비교하면 연간 매출(약 13조원)에도 한참 못 미친다.
양 이사장은 "매출은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시기인 2021~2022년에 평년 대비 약 1000억원 정도 상승했다가 엔데믹(전염병의 풍토병화)이 시작된 지난해부터는 2021년 이전 수준으로 돌아갔다"며 "최근 고환율과 불황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 등 복합적인 외생변수들이 매출 하락에 영향을 주고 있어 다양한 대(對)고객 마케팅 프로모션을 펼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근본적인 문제 해결책은 따로 있다고 했다. 6회뿐인 연간 구매 횟수와 15종의 판매 가능 품목을 완화하는 것이다. JDC에 따르면 면세점은 규제 완화에 따른 성장세가 확연했다. 2014년 12월 면세 한도가 종전 400달러에서 600달러로 확대된 후, 2020년 4월 주류·담배에 별도 면세를 적용한 후 각각 1~2년 사이에 매출이 전년 대비 1000억~2000억원가량 뛰었다.
양 이사장은 "첫 내국인 대상 면세점이다 보니 과소비 조장과 유통시장 교란 등의 우려가 있어 정부가 보세판매장(해외로 나갈 때 이용하는 면세점)보다 규제를 강하게 걸었다"며 "그러나 구매 횟수와 품목 제한이 없는 입국장 면세점이 생기면서 이 같은 정부 논리가 깨졌다. 제도를 유연하게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하이난성 면세점은 연간 구매 횟수에 제한이 없고, 면세범위는 10만위안(약 1880만원), 품목은 45종에 이른다"며 "이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기획재정부에 조세 지출을 건의했다. 22대 국회 원 구성이 완료되면 또다시 제도 개선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노경조 기자 felizkj@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가수 벤 "아이 낳고 6개월만에 이혼 결심…거짓말에 신뢰 무너져" - 아시아경제
- 버거킹이 광고했던 34일…와퍼는 실제 어떻게 변했나 - 아시아경제
- 100명에 알렸는데 달랑 5명 참석…결혼식하다 인생 되돌아본 부부 - 아시아경제
- 장난감 사진에 알몸 비쳐…최현욱, SNS 올렸다가 '화들짝' - 아시아경제
- "황정음처럼 헤어지면 큰일"…이혼전문 변호사 뜯어 말리는 이유 - 아시아경제
- "언니들 이러려고 돈 벌었다"…동덕여대 졸업생들, 트럭 시위 동참 - 아시아경제
- "번호 몰라도 근처에 있으면 단톡방 초대"…카톡 신기능 뭐지? - 아시아경제
- "'김 시장' 불렀다고 욕 하다니"…의왕시장에 뿔난 시의원들 - 아시아경제
- "평일 1000만원 매출에도 나가는 돈에 먹튀도 많아"…정준하 웃픈 사연 - 아시아경제
- '초가공식품' 패푸·탄산음료…애한테 이만큼 위험하다니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