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축제’다워진 위버스콘…세대·국적 뛰어넘어 ‘음악’으로 대통합 [D:현장]

박정선 2024. 6. 16. 23:2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박진영 무대에 방시혁 깜짝 등장...기타·피아노 연주

“나이, 지역, 인종을 떠나서 우리는 모두 음악으로 하나가 됩니다.”

올해로 데뷔 30주년을 맞은 박진영은 후배 뮤지션들과 호흡했고, 다양한 국적의 케이팝 팬덤은 그들이 함께 만든 음악에 호응했다. 그의 말대로 나이와 인종을 뛰어넘어 모두가 ‘음악’으로 하나가 됐다.

ⓒ하이브

16일 인천 영종도에 위치한 인스파이어 엔터테인먼트 리조트에서 열린 ‘2024 위버스콘 페스티벌’(Weverse Con Festival)에서 박진영의 트리뷰트 무대가 마련됐다. 후배들은 박진영의 히트곡을 재해석한 무대를 선보였고, 박진영과 함께 합동 공연을 선보였다.

박진영은 “30년이 넘는 긴 시간동안 끊임없이 새롭고 파격적인 도전을 해오고 있다. 무대를 향한 열정으로 시대와 매체를 넘나드는 독보적인 아티스트, 예술의 경계를 넘는 그의 무대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라는 세븐틴 우지의 소개와 함께 무대에 올랐다.

박진영은 “30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저를, 또 제가 만든 음악을 아껴주시고 즐겨주시고 들어주셔서 감사하다. 여러분이 아니었다면 절대 지금까지 무대에 설 수 없었을 것”이라며 “여러분이 듣고, 즐겨주시는 것만큼 저에게 더 중요한 것은 후배 뮤지션들이 저의 노래를 아껴주고 불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박진영의 노래는 여러 후배 뮤지션을 통해 다시 불려지고 있다. 이날 박진영의 트리뷰트 무대의 첫 게스트인 백호 역시 박진영의 ‘엘리베이터’를 리메이크해 지난해 발매한 바 있다. 그런 면에서 두 사람이 함께한 ‘엘리베이터’는 트리뷰트 무대라는 콘셉트와 가장 잘 맞아떨어졌다. 또 백호는 박진영과 ‘나로 바꾸자’까지 연달아 선보였고 이후 박진영은 프로미스나인 지원과 ‘대낮에 한 이별’을, 엔하이픈 희승과 ‘너의 뒤에서’를, 투모로우투게더 범규와 ‘촛불하나’를, 엔하이픈과 ‘그녀는 예뻤다’를 함께 불렀다.

ⓒ데일리안DB

다양한 협동 무대 중에서도 팬들의 뜨거운 호응을 이끌어낸 건, 하이브 수장이자 박진영의 ‘절친한 동료’인 방시혁의 등장이었다. 방시혁의 기타 연주로 시작된 ‘난 여자가 있는데’에 박진영의 목소리가 더해지자 관객들은 일제히 함성을 내질렀다. 두 사람이 tvN ‘유 퀴즈 온 더 블럭’에 출연해 함께 음악을 선보이긴 했지만, 콘서트 무대에 함께 서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방시혁은 어쿠스틱 기타 연주부터 일렉트로닉 기타 연주를 선보였고, 기타 솔로 파트까지 소화하면서 여전한 음악인으로서의 역량을 자랑했다. 노래를 마친 박진영은 “22년 만에 제 사랑하는 동료 방시혁과 이 노래를 다시 부르게 됐다”고 감격했다.

이어 “이왕 시혁이를 무대에 올린 김에 많이 써먹으려고 한다. 25년 전 저랑 시혁이가 동고동락하던 시절, 구멍 뚫린 모기장으로 들어오는 모기를 잡으면서 만든 노래”라며 방시혁의 피아노 연주와 함께 ‘거짓말’ ‘촛불하나’까지 무대를 연달아 꾸몄다. 박진영은 연달아 “내 동생, 시혁아 고마워”라고 말하며 각별한 애정을 드러내기도 했다.

ⓒ하이브

지난해 첫 선을 보일 때까지만 해도 ‘위버스콘’은 하이브의 축제라는 이미지가 강했다. 그러나 올해는 음악의 장르, 세대를 초월하는 대중음악 공연으로 성장했다. 15일, 16일 양일간 ‘위버스콘’에는 총 24팀의 무대가 펼쳐졌는데 이 중 하이브 레이블즈 아티스트는 9개 팀뿐이었다. 나머지 15개 팀은 위버스에 입점한 국내외 아티스트가 채웠다.

현재 케이팝 시장을 이끄는 세븐틴을 필두로 투모로우바이투게더·르세라핌의 무대는 물론 신인 아티스트 아일릿과 투어스, 제이팝(J-POP)의 매력을 각인시키고 있는 요아소비(YOASOBI)의 무대까지 다채롭게 펼쳐졌다. 뿐만 아니라 버추얼 아이돌로 새 역사를 써내려가고 있는 플레이브의 무대와 JYJ 김준수와 김재중, 박진영 등 지금의 케이팝을 있게 한 선배 아티스트의 무대까지 어우러지면서 ‘위버스콘’은 대중음악의 현주소를 종합적으로 느낄 수 있는 라인업을 완성했다.

기존의 콘서트 개념에서 멈추지 않고, ‘페스티벌’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축제의 구성을 확장한 것도 인상적이다. 그중에서도 다채로운 부대시설을 포함한 것이 특히 팬들의 만족감을 높였다. ‘경험’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MZ세대의 니즈를 충족시킬만한 ‘인생 네 컷’을 비롯해 아티스트의 미공개 셀프 포토카드 증정, AR 기술이 적용된 포토월을 통한 ‘위버스 라이브’ 체험, 나만의 커스텀 머치를 직접 만들고 체험할 수 있는 공간 등이 마련됐다. 위버스 줄서기 시스템으로 현장의 혼잡도를 낮춘 점도 칭찬할 만하다.

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