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자살 사망자 34% 늘었다, 남성 44%↑…"유명인 자살 모방"

황수연 2024. 6. 14. 17:4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올 1~3월 자살 사망자가 전년보다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같은 팬데믹 이후 회복기 과정에서 자살률이 급증하는 측면이 있는 데다, 지난해 말 유명인 사망으로 베르테르 효과가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14일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최근 자살 동향에 따르면 올 1월 자살 사망자는 1321명으로 전년 같은 달보다 334명(33.8%) 증가했다. 남성이 303명(44%), 여성은 31명(10.4%) 늘었다. 2월에는 1185명으로 123명(11.6%) 늘었다. 남성 97명(12.5%), 여성 26명(9.2%) 증가했다.3월에는 1288명 늘어 전년 동월과 비교해 21명(1.7%) 늘었다. 남성은 33명(3.6%) 증가했고 여성은 12명(3.4%) 감소했다.

한덕수 국무총리가 14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자살예방정책위원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해 자살 사망자는 1만3770명으로 2022년 대비 864명(6.7%) 증가해 2020년 이후 자살 사망자가 가장 많았다.

보건복지부는 “2023년 12월 유명인 사망 사건 직후 7~8주간 자살이 증가해 모방 자살 경향이 나타났다”라며 “유명인 자살 시 유명인이 자신과 비슷한 어려움에 처해 있다고 생각해 유사한 방식으로 자살하는 베르테르 효과가 발생했다”라고 했다. 정부는 자살 방법과 도구, 장소와 동기를 구체적으로 밝힌 보도가 모방 자살을 부추긴다고 지적했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사회적 고립과 경제난 등도 요인으로 꼽혔다. 우울과 불안장애 등 정신 질환으로 진료 받은 국민은 2017년 321만명에서 꾸준히 늘어 2022년 434만명이었다.

응급실 기반 자살 시도자 사후관리사업 수행 기관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2회 이상 반복 자살 시도 경험이 있는 응급실 내원자 비율도 2023년 17%에서 올 1~3월 27%로 증가했다. 특히 청년층의 자해·자살 시도율(인구 10만명당)은 10대 160.5명, 20대 190.8명, 30대 91.5명으로 타 연령대보다 높게 나타났다.

우울증 갤러리에선 미성년자 성착취와 약물 오남용, 자살 시도와 방조가 흔하게 벌어졌다. 사진 셔터스톡


자살 사망이 발생하면 슬픔과 두려움, 불안 등이 지역사회에 확산해 연쇄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데 전국 252곳 시·군·구 중 36곳은 전월 3개월 평균 대비 자살 사망자(2월 기준)가 50% 이상 증가했고 4곳은 200% 이상 급증했다.

보건복지부는 자살예방법에 따라 5년마다 실시하는 자살실태조사에서 19세 이상 75세 이하 성인 2807명을 조사한 결과 국민 수용적 태도 역시 증가했다고 밝혔다. 국민이 어려운 상황에 처했을 때 자살을 하나의 선택지로 인식하는 경향이 높아졌다는 것이다.

정부는 청년(19~34세) 대상으로 자살 시도로 인한 신체 손상과 정신과에 대한 치료비를 100만원 한도에서 지원하기로 했다. 정신건강 사례 관리 서비스에 동의하는 경우 원래 중위소득 120% 이하에 지원하던 걸 소득 수준 상관없이 주기로 했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사례 관리를 받을 때 자살 사망률이 4.6%로, 받지 않았던 것보다 자살 위험도가 낮아져 이런 지원을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유튜브 관련 자살 보도 권고기준 4.0을 곧 마련한다.

정부는 이날 자살위해물건으로 아질산나트륨을 신규 지정했다. 자살위해물건은 자살 수단으로 빈번히 사용되거나 그럴 위험이 있는 물건으로 자살예방정책위원회 심의를 거쳐 보건복지부 장관이 고시한다. 이런 물건을 유통 시 2년 이하 징역이나 2000만원 이하 벌금 등 형사 처벌을 받는다.

아질산나트륨은 흰색 분말 형태로 소시지 등 가공육의 보존제와 발색제로 쓰이는데 4~6g만 섭취해도 숨질 수 있다. 호주와 일본 등에서 신종 수단으로 이용된다. 국내에서도 관련 중독으로 인한 자살 사망자가 2018년 3명에서 2019년 11명, 2020년 49명, 2021년 46명, 2022년 33명 등으로 늘고 있다.

황수연 기자 ppangshu@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