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의 발견] 산방산 유채꽃이 빚어낸 맛

2024. 6. 8. 00:3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계절의 변화를 들먹이기에 민망한 속도로 시간이 흐른다.

벌써 올해의 절반이 지나가는 중이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계속 맛이 변해가니 앞으로 두어 달 더 아껴가며 마실 계획이다.

서귀포의 봄을 고스란히 담은 진하고 달콤한 술이라니, 아는 맛이 더 무섭다고 마음이 자꾸 냉장고로 향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고선영 콘텐츠그룹 재주상회 대표


계절의 변화를 들먹이기에 민망한 속도로 시간이 흐른다. 벌써 올해의 절반이 지나가는 중이다. 더없이 짧은 봄날이 가버리고 여름에 접어들었는데, 지난봄 이야기를 다시 꺼내야 할 이유가 있긴 하다.

늦은 봄 우리는 술을 빚었다. 이웃마을 대정읍의 술 다끄는(‘다끄다’는 ‘빚다’의 제주 말) 솜씨 일품인 양조장 청년 사장에게 의뢰를 한 것이다. 지난 가을께부터 생각했던 바였고, 3월에 접어든 산방산 아래 노란 유채꽃이 흐드러지게 피어나면 그 꽃을 따다가 탁주를 빚어야지, 했다. 봄이 왔고 제주에서 가장 먼저 꽃 피는 우리 마을 사계리 유채 농부에게 미리 양해를 구하고는 콧노래 부르며 신나게 꽃을 땄다. 양조장에선 그 꽃을 가져다 잘 말리길 여러 번에 차 우리듯 꽃수를 내어 술을 익혔다.

꽃뿐만이 아니다. 제주에서도 귀한 산듸(밭벼)로 만들었으니 여러모로 귀한 술이 되었다. 잔치 때 쓰려 만든 것이라 판매하는 건 아니다 보니 술 이름도 마음대로 붙였다. 세상에 둘도 없는 특별한 꽃술답게 이름도 근사해야 한다면서 ‘사계 바당 건너 봄이 오면 유채꽃 피고, 우리는 꽃으로 술을 담갔지’라는 긴 이름을 턱 붙여버린 탓에, 술 이름 지은 나조차도 단번에 술 이름을 외우지 못하는 불상사가 생기기도 했다.

여튼, 딱 이백오십 병 정도 나온 터라 여기저기 고마운 분들에게 선물하고 나니까 이제 냉장고에 여남은 병뿐이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계속 맛이 변해가니 앞으로 두어 달 더 아껴가며 마실 계획이다. 서귀포의 봄을 고스란히 담은 진하고 달콤한 술이라니, 아는 맛이 더 무섭다고 마음이 자꾸 냉장고로 향한다. 향기로운 술은 언제나 미쁘다. 제주는 지형 특성상 쌀농사를 거의 짓지 않았고 워낙 척박했던 탓에 술 빚는 문화가 화려하게 발달하진 못했으나 어디 사람 사는 데 술 빠질 수 있을까.

쌀 대신 좁쌀과 보리로도 멋진 전통주를 다끄는 문화가 있었다. 제주 사람들은 흐린조(차조)와 흐린좁쌀(차좁쌀)을 맷돌에 갈고 익반죽해 떡을 빚었다. 빨리 잘 익으라고 술빚을 떡 가운데 구멍을 내어 도넛처럼 만들었는데, 그 구멍떡이 오늘날 제주 특산물인 오메기떡의 원형이다. 제주 전통주 중 대표적인 오메기술은 오메기떡에 보리쌀로 만든 누룩을 섞어 발효시켜 만들었다.

십 수 년 전 제주 오메기술 취재차 들른 성읍마을 김을정 옹의 정지(부엌) 풍경을 지금도 잊지 못한다. 술 다끄는 날이었는지 약간 취기가 오른 옹께서 내어준 시원하고 톡 쏘는 맛의 오메기주와 묵은지 몇 점이 살면서 마신 가장 맛있는 술이었다. 제주 오메기술과 고소리술 명인으로 무형문화재 반열에 올랐던 옹은 3년 전 돌아가셨고 지금은 그의 며느리와 딸이 제주 술의 명맥을 잇는 중이다.

깊은 속을 갖고, 묵묵히 자연에 기대어 포용하며 창조했던 제주 사람들의 삶이 담긴 제주 술 이야기를 안주 삼아 새로운 건배를. 오늘도 아마 냉장고 문이 열리지 싶다.

고선영 콘텐츠그룹 재주상회 대표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