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비열한 도발에 압도적 대응…더 강해져야 북 변화 가능”
윤석열 대통령은 6일 북한의 오물 풍선 살포를 “비열한 도발”로 규정하고 “단호하고 압도적으로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제69회 현충일 추념식에서 윤 대통령은 7분 30초 2000자 분량의 추념사를 통해 ‘힘을 통한 평화 구축’을 재확인하면서 북한에 대한 단호한 대응을 주문했다.
먼저 윤 대통령은 “지금 대한민국은 세계에서 가장 밝은 나라가 됐지만, 휴전선 이북은 세계에서 가장 어두운 암흑의 땅이 됐다”고 말했다. 6·25 전쟁 이후 빠르게 발전한 우리나라와 경제난·전력난을 겪고 있는 북한을 대비한 것이다.
윤 대통령은 이어 북한이 껄끄러워하는 인권 문제를 직접 겨냥해 “바로 이곳에서 불과 50km 남짓 떨어진 곳에 자유와 인권을 무참히 박탈당하고 굶주림 속에 살아가는 동포들이 있다”고 언급했다.
북한 정권을 두고는 “역사의 진보를 거부하고 퇴행의 길을 걸으며 우리의 삶을 위협하고 있다”며 “서해상 포사격과 미사일 발사에 이어 최근에는 정상적인 나라라면 부끄러워할 수밖에 없는 비열한 방식의 도발까지 감행했다”고 지적했다.
윤 대통령은 “정부는 이러한 북한의 위협을 결코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며 “철통 같은 대비태세를 유지하며, 한층 더 강해진 한·미동맹과 국제사회와의 협력을 토대로 국민의 자유와 안전을 단단히 지키겠다”고 강조했다.
전임 문재인 정부의 대북 정책을 ‘굴종’이라고 비판해 온 윤 대통령은 이날도 강력한 국방력에 기반한 평화를 추구하겠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평화는 굴종이 아니라 힘으로 지키는 것”이라며 “우리의 힘이 더 강해져야만 북한을 변화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북한 동포들의 자유와 인권을 되찾는 일, 더 나아가 자유롭고 부강한 통일 대한민국으로 나아가는 일도 결국 우리가 더 강해져야 가능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추념사는 과거 추념사와 비교해도 강경해졌다는 평가다. 취임 한달 뒤인 2022년 현충일 추념사에선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엄정하게 대처하겠다”고 했고, 지난해에는 “강력한 한·미 동맹으로 철통같은 안보 태세를 구축하겠다”며 ‘북한’을 단 한 차례만 언급하고 넘어갔다. 하지만 올해 추념사에선 북한을 4차례나 언급하며 대북 강경 기조 수위를 끌어올렸다.
이는 북한이 비핵화 의지를 전혀 보이지 않고 핵·미사일 능력 고도화에만 열중하는 가운데 최근에는 오물 풍선 살포까지 하는 등 북한 도발이 우리 국민에게 실제적인 피해와 위협을 가하는 상황을 고려해 ‘강력한 대응’ 기조를 밝힌 것으로 분석된다. 남북 간 적대 행위를 금지하는 9·19 군사합의 효력을 전부 정지하고, 대북 확성기 방송의 재개 의사를 밝힌 것도 같은 맥락이다.
검은 정장에 검은 넥타이를 맨 윤 대통령은 이날 국가 보훈을 상징하는 ‘나라사랑큰나무’ 배지를 달고 추념식장에 입장했다. 검은 치마 정장 차림의 김건희 여사가 뒤를 따랐다. 국가유공자 후손과 경찰·소방관 등 제복 영웅들도 추념식에 함께했다. 6·25 참전 용사였던 조부의 뒤를 이어 3대째 군 복무를 하는 성진제 해군 소위가 국기에 대한 맹세를 낭독했으며, 백마고지 전투 참전 용사의 후손인 박희준 육군 중사는 ‘전우에게 전하는 편지’를 낭독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 1월 경북 문경시 화재로 순직한 고 김수광 소방장과 고 박수훈 소방교의 유족 등에게 국가유공자 증서를 수여하고, 국가를 위한 희생과 헌신에 감사를 표했다.
올해 추념식에는 국가유공자와 유족, 정부 주요 인사, 여야 대표를 비롯한 5000여명이 참석했다. 윤 대통령은 퇴장하며 황우여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만나 악수하고 안부를 물었다. 윤 대통령은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와도 악수했는데, 조 대표는 윤 대통령에게 “민심을 받드십시오”라고 말했고, 윤 대통령은 대꾸하지 않았다고 한다.
윤 대통령은 이후 국립서울현충원 내 ‘학도의용군 무명용사탑’을 찾아 참배한 뒤 청와대 영빈관에서 국가유공자·보훈 가족과 오찬을 했다. 국군 의장대가 도열한 가운데 오찬 참석자들을 직접 영접한 윤 대통령은 “국가유공자와 유가족 여러분께 우리 사회가 최고의 예우로 보답해야 한다”고 말했다. 오찬에는 6·25 전쟁 당시 학도병으로 참전했던 박동군, 박차생 참전 용사와 최근 유해가 발굴된 고 전병섭 하사의 조카 전춘자 씨가 특별 초청됐다. 제2연평해전 참전 용사인 황창규 원사, 연평도 포격전에 참전했던 정경식 준위 등 서해 수호 장병 대표와 군 복무 중 순직한 고 전새한 이병의 유족, 임무 도중 순직한 고 장용훈 경장·고 허승민 소방위의 자녀 등 유족들도 함께 자리했다. 추념식에 참석했던 김건희 여사는 오찬에는 오지 않았다.
현일훈 기자 hyun.ilhoon@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할머니도 월 400만원 번다…경단녀가 찾은 제2의 직업은 | 중앙일보
- ‘흰눈이 기쁨되는 날~’ 7공주 막내, 대치동 수학강사 된 사연 | 중앙일보
- [단독]'마누라·子 빼고 바꿔' 31살 삼성전자 위기…주 64시간 근무 | 중앙일보
- '대장암 4기' 전여옥 생환 보고…"수술 무사히 마치고 돌아왔다" | 중앙일보
- 오은영 아버지 별세…"난 부친 위암 선고에 의사 결심했었다" | 중앙일보
- "성형해서라도 이건 만들라"…주역 대가의 돈 부르는 관상 | 중앙일보
- "개XX야" 교감선생님 뺨 때린 초3…학교 7번 옮겨 다닌 사연 | 중앙일보
- 명의는 “거세” 21번 말했다…50대 되면 이 검사 필수다 | 중앙일보
- 현충일에 욱일기 게양한 부산 아파트…"경찰도 어쩔 수 없다" | 중앙일보
- 교감 뺨 때린 초3 학부모 "일방적으로 때렸다? 차별이 원인"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