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협회 "중앙亞 수출 자동차 편중 벗어나 자원서 기회 찾아야"

최선을 2024. 6. 6. 16:0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11월 투르크메니스탄에서 한국국제교류재단과 투르크메니스탄 상공회의소가 공동 개최한 제4차 한·중앙아시아 경제협의체 연례회의에서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하고 있다. 사진 한국무역협회


최근 지정학·지경학적 중요성이 높아지는 중앙아시아 국가들과 민관 공동으로 진출 전략을 만들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는 6일 ‘한·중앙아시아 경제협력 확대 방안’ 보고서를 내고 “전통적으로 러시아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던 중앙아시아 국가들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대외 협력 다각화를 추진 중”이라고 분석했다. 미국·중국·유럽연합(EU) 등은 ‘중앙아시아 5개국+1’ 형태의 정상회의를 열며 협력을 강화하는 중이다.

한국도 중앙아시아 국가들과 경제협력을 지속해서 확대해 왔다. 지난해 한국의 대 중앙아시아 5개국 수출액은 56억4000만 달러(약 7조 7400억원)로 사상 최대였다. 다만 주요 수출 품목은 자동차·차 부품에 편중됐다. 지난해 카자흐스탄을 상대로 한 주요 수출 품목을 보면 자동차(59.7%), 자동차 부품(14.2%), 화장품(3.8%) 등으로 나타났다. 우즈베키스탄 수출 품목도 자동차 부품(36.8%), 자동차(24.6%), 원동기(4.3%)로 수출 다변화가 필요한 상황이다.

투자 부문 협력은 아직 미미하다. 1980년부터 지난해까지 한국의 중앙아시아 5개국 누적 투자액은 38억 달러(5조 2100억원)로 같은 기간 대미 투자액(2223억 달러)의 1.7%, 대중 투자액(936억 달러)의 4.1% 수준에 불과했다.

중앙아시아 및 주변국 지도. 사진 한국무역협회


이에 중앙아시아 경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자원·에너지 산업 등에서 새로운 기회를 찾아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카자흐스탄과 투르크메니스탄은 석유·천연가스 생산과 수출을 위한 인프라 구축에 해외 자본을 적극적으로 유치하고 있다. 광물 자원이 풍부한 우즈베키스탄은 지질 탐사 및 광물 산업 부가가치 제고를 위한 투자 확대를 계획 중이다. 무협은 “풍부한 프로젝트 수행 경험과 기술력을 보유한 우리 기업엔 기회가 될 것”이라며 “자원·에너지 분야 협력 강화는 우리나라의 공급망 안정화에도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무협은 또 도시 인프라와 정보통신기술(ICT), 보건·의료, 스마트팜 등 분야에서 협력이 유망하다고 봤다. 도시 인프라의 경우 한국 기업들은 그동안 중앙아시아에서 뉴타운과 도로 건설, 대중교통 차량 공급 등 사업을 활발히 추진하며 기술력을 입증해 왔다. 디지털 전환 분야 역시 한국 기업들이 기술력을 앞세워 전자정부 시스템, 통신망 고도화, 스마트 팩토리, 사이버 보안 시스템 분야에서 협력 확대가 가능할 전망이다.

팬더믹 이후 위상이 높아진 한국 보건·의료산업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의료 인프라 구축, 디지털 헬스케어 시스템 도입, 의료인력 교육 분야 협력도 활발해질 수 있다. 이밖에 카자흐스탄 정부의 스마트팜 산업 육성 정책과 우즈베키스탄 정부의 자동차·전기차 생산 해외기업 대상 인센티브 확대 정책도 한국 기업에 기회가 될 전망이다.

송효규 무협 연구위원은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경제·산업정책이 국영기업을 중심으로 추진되는 경우가 많아 정부의 영향력이 큰 만큼, 실질적인 협력관계 구축을 위해선 민관 공동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선을 기자 choi.suneul@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