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옮긴 근로소득자, 3명 중 1명은 월급 줄었다
직장인 김모(55)씨는 대전의 한 은행에서 27년간 일하다 지난해 퇴직했다. 퇴직을 앞두고 일자리를 알아보다 중소 식품업체로 이직했다. 김씨는 “인생 2막을 빨리 열고 싶어 공백없이 이직했다”며 “월급은 은행보다 적지만, 일이 편하고 정년 없이 오래 다닐 수 있어서 좋다”고 말했다.
직장을 옮긴 월급쟁이 3명 중 1명은 월급이 더 적은 곳으로 이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이가 많을수록 이런 경향이 두드러졌다. 통계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세가 잦아들던 2022년 당시 상시 임금근로자(일용직·특수직 제외) 중 이직자 415만9000명을 분석한 결과다.
5일 통계청 ‘2022년 일자리 이동통계’에 따르면 나이가 들수록 이직 시 임금 ‘다운 그레이드’를 감수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이직자 중 임금이 더 적은 곳으로 이직한 비중이 60대 이상(39.3%)에서 가장 컸다. 이어 50대(37.9%), 40대(34.4%), 30대(30.9%), 10~20대(29.4%) 순이었다.
이직 전후로 월급이 감소한 폭은 25만원 미만(10.8%)이 가장 많았다. 이어 50만~100만원(6.9%), 25만~50만원(6.2%), 100만~200만원(5.2%), 200만원 이상(5.0%) 순이었다. 성별로는 남성(35.0%)이 여성(32.6%)보다 임금이 줄어든 비중이 더 컸다.
이직이 가장 활발한 세대는 2030 청년층이었다. 임금 근로자 중 이직률은 10~20대(22.1%), 30대(16.6%)가 높았다. 이어 60대 이상(14.7%), 40대(14.0%), 50대(14.4%) 순이었다. 한창 가정을 꾸려나가는 4050세대 이직률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직 시 ‘월급쟁이’ 선호도가 높은 점도 두드러졌다. 임금 근로자는 이직하더라도 92.9%가 임금 근로자로 남았다. 자영업자 등 비(非)임금 근로자는 85.8%가 임금 근로자로 바뀌었다. 중소기업에서 대기업으로 ‘이직 장벽’도 여전해 중소기업 이직자 중 대기업으로 이직한 비율은 12.0%에 그쳤다.
업종별 이직률은 건설(34.6%), 사업시설·지원(24.7%), 보건·사회복지(17.5%)에서 높았다.
세종=김기환 기자 khkim@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할머니도 월 400만원 번다…경단녀가 찾은 제2의 직업은 | 중앙일보
- "개XX야" 교감선생님 뺨을 때린 초3…학교 7번 옮겨다닌 사연 | 중앙일보
- 명의는 “거세” 21번 말했다…50대 되면 이 검사 필수다 | 중앙일보
- "성형해서라도 이건 만들라"…주역 대가의 돈 부르는 관상 | 중앙일보
- 샤넬·디올 그날 무슨 일…김 여사와 2년 대화 담긴 '최재영 톡방' | 중앙일보
- "포르노 보는 것 같았다"…마돈나 콘서트 관객, 소송 제기 | 중앙일보
- "싸이 온다" 수만명 몰리는데…주막 머무르며 춤춘 전북경찰청장 | 중앙일보
- "헬스하다 죽을 뻔, 콜라색 소변 봤다"…훈련병도 앗아간 이 병 | 중앙일보
- [단독] 대학생 94% "독방 달라"…권익위 '기숙사 1인실화' 권고 | 중앙일보
- 입도 못 맞추던 아마존 부족…'머스크 인터넷' 접한 뒤 음란물 중독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