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은미의 마음 읽기] 믿고 싶은 것
운동을 하다 손가락에 골절상을 입은 적이 있다. 헬스장에서 잠깐 집중력을 잃은 틈에 25킬로 무게의 덤벨에 한손을 찧은 것이었다. 다행히 새끼손가락에만 금이 가 키보드 작업을 아예 못하진 않겠구나 생각하고 있었는데 의사는 손 전체에 붕대를 감고 있어야 한다고 했다. 그때부터 나는 어쩔 수 없이 반 휴업 상태가 된 채 한 달 넘게 오른손에 붕대를 감고 생활하게 되었다.
손에 흰 붕대를 두툼하게 감고 다니는 건 생각보다 사람들의 시선을 끌었다. 팥죽을 포장하러 들른 식당에서 카운터의 사장님은 마치 이전에도 나를 알던 사람처럼 스스럼없이 내 손에 대해 묻고 걱정을 했다. 어쩌다 그랬는지. 얼마나 불편하겠는지.
■
「 재난 상황서 느끼는 주변 배려
혼자가 아니라는 느낌에 안도
그런 믿음이 더 두터워졌으면
」
다른 곳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카페나 마트에서, 공원이나 상점에서, 이런저런 접수실과 대기실에서, 평소라면 아무 말도 하지 않고 지나쳤을 사람들이 내 붕대 감은 손을 보면서 말을 걸어왔다. 나는 그들이 이전에 겪었던 크고 작은 사고에 대한 얘기를 들었고 신체 여러 부위의 골절과 그에 따른 통증, 치료법과 후유증에 대한 경험담을 들었다. 고개를 끄덕이고, 맞장구를 치고, 얼른 나으라는 덕담에 연신 감사를 표했다.
돌아보면 손에 붕대를 감고 있던 한 달여의 시간 동안 나는 특별한 활기 속에 들어가 있었던 것도 같다. 예상치 못한 작은 사고가 불러온 예외적인 상황 속에서 나는 세상의 다른 결을 문득 실감하게 된 느낌이었고, 내 주위를 감싼 호의와 친절을 그 마음 그대로 흡수해갔다. 한손에 붕대를 감은 채로라면 누구와도 어렵지 않게 말을 틀 수 있을 것 같았고 누구의 도움도 아무런 거리낌 없이 기껍게 받을 수 있을 것 같았다.
내가 맨몸으로 떨어져 내려도 치명상을 입지는 않을 정도의 쿠션감이 내 주위를 감싸고 있는 느낌. 그 느낌을 믿고 싶은 마음. 코로나 시기를 다룬 장편소설을 쓰고 있던 내게 그것은 꽤 매달려보고 싶은 마음이었다.
리베카 솔닛은 『이 폐허를 응시하라』에서 끔찍한 안개에 갇혔던 자신의 친구의 경험을 들려준다. 위험한 안개 때문에 고속도로 순찰대가 캘리포니아 센트럴밸리의 교통을 전면 차단했을 때, 친구와 친구의 남편은 이틀 동안 다른 사람들과 함께 작은 식당에서 오도 가도 못하고 머물게 된다. 식당 벽에 붙은 긴 의자에서 처음 보는 사람들과 어깨를 맞대고 앉아 잠을 자고 먹을 것과 물이 서서히 바닥나는 상황에서도 그들은 뜻밖에도 경이로운 시간을 경험하게 된다. 공통점이 별로 없었는데도 그곳에 모인 사람들이 마음을 열고 자신들의 삶을 터놓고 얘기하게 된 것이다.
도로가 안전해지고 갇혀 있던 식당에서 풀려나 집으로 돌아왔을 때 친구와 친구의 남편은 가족들한테 말한다. 작은 식당에 발이 묶여 있던 재난의 시간 동안 얼마나 넘치는 기쁨을 느꼈었는지. 그 식당에서 보낸 시간은 미국 토박이인 친구의 남편이 난생처음으로 자신이 사회에 속해 있음을 느끼게 해준 시간이었다.
재난은 때로 상황을 더 악화시키지만 때로는 놀라운 해방을 불러와 우리의 다른 자아를 위한 또 다른 세상을 보게 해준다고 리베카 솔닛은 말한다. 평소의 구분과 양식이 파괴된 재난 상황이 되면 인간이 야만적으로 돌변한다는 관점과 달리 실은 대다수 사람들은 이웃을 보살피는 사람이 되려 한다고. 리베카 솔닛이 강조했듯 이것은 믿음의 문제이다. 인간이 그러할 것이라는 걸 알고 믿는다면 가능성에 대한 인식이 달라질 것이라고 그녀는 말한다. ‘믿음이 행동을 결정한다.’
손에 붕대를 감고 있는 기간 동안 느꼈던 세상에 대한 쿠션감이 옅어질 때가 있다. 실은 자주 옅어진다. 인간에 대한 불신과 적대감이 스멀스멀 올라와 내가 이대로 맨바닥에 부딪혀 깨지겠구나 하는 위기감이 들면 스스로에게 몇 가지 처방을 한다. 하나는 믿음과 가능성에 대한 리베카 솔닛을 글을 읽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나를 밖으로 내보내는 것이다. 그 밖은 광장일 때가 가장 좋다. 축제가 열리고 있는 광장이라면 더더욱 좋다.
등을 들고 오가는 사람들이 서로의 곁을 스치고 지나가며 웃고 인사하는 곳. 당신이 거기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손을 흔들게 되는 곳. 내가 쓰러지면 저들이 달려오리라는 것과 저 아이가 쓰러지면 내가 달려갈 것이라는 걸 믿게 되는 곳. 말라가는 식물에 물을 주듯 그 실감 속에 주기적으로 들어가 보는 것은 너무도 중요해서 올여름의 폭염과 태풍이 오기 전에 세상에 대한 쿠션감이 조금이라도 더 두터워졌으면 하는 마음이다. 덜 두려울 수 있도록.
최은미 소설가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성형해서라도 이건 만들라"…주역 대가의 돈 부르는 관상 | 중앙일보
- "개XX야" 교감 뺨 때리고 침 뱉었다…초3이 벌인 충격 만행 | 중앙일보
- “욕망에 충실한 엄마가 낫다” 정신과 의사 상식파괴 육아팁 | 중앙일보
- 대학 총장만 3번째인 야구선수…박노준 이끈 '1만개 전화번호' [안혜리의 인생] | 중앙일보
- "포르노 보는 것 같았다"…마돈나 콘서트 관객, 소송 제기 | 중앙일보
- '혼자 떠난다' 글 남기고 잠적…"신성훈 감독을 찾습니다" | 중앙일보
- 러시아 '비장의 무기' 꺼냈다…첫 자폭드론 '개구리' 위력 보니 | 중앙일보
- 앞글자만 읽어보니 '탄핵만답이다'…尹 겨냥 추미애 6행시 | 중앙일보
- 일왕도 박수 치며 "대단하다"…일본 홀린 25세 박하양의 연주 | 중앙일보
- '셔츠룸' 뭐길래…강남서 전단지 수십만장 뿌린 일당 붙잡혔다 | 중앙일보